"12학년 1학기에는 절대 D이하의 학점은 받지 말아야 한다. C학점도 좋지 않다. 기대 이하의 성적이 나왔을 경우에도 역시 제 시간에 지원한 대학에 1학기 성적표를 보내야 한다. 만일 공부에 전념할 수 없었던 특별한 사유가 있었다면 추가로 편지를 동봉하는 것도 좋다. 대학은 합격통지서를 보낸 학생들 중 몇 %가 최종 입학을 결정했는지에 따라서도 대학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기 대학에 꼭 오고 싶어하는 학생들을 합격시킨다. 따라서 비록 12학년 1학기 성적은 기대 이하이지만 '이 과목을 커뮤니티 칼리지에 가서 재수강하겠다' 는 등의 편지를 통해 등록을 원하는 마음을 전달하는 것이 좋다." 얼리에서 디퍼(deferred)를 받았다 "디퍼(Deferred)통보를 받은 지원자는 그 대학에 합격할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 학생임을 의미한다. 매년 얼리 지원자들 중에 일부 지원자들에게 이같은 디퍼 편지를 보낸다. 이 편지는 바로 결정선에 있는 학생들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다는 신호로 다음과 같이 준비하는 것이 좋다. 첫째, 입학국 관계자와 접촉하라. 입학사정관은 지원자가 전화했을 때 그 이유를 설명해 주지 않는다. 하지만 고교 카운슬러가 컨택했을 경우 지원자에 대해 무엇을 더 알고 싶어하는지를 알아낼 수도 있다. 둘째, 지원서에서 변화된 내용을 전달하라. 일반적으로 대학들은 지원자의 12학년 1학기 말 성적을 받은 후 이와 함께 입학 심사를 시작한다. 지원자들은 커버 레터를 만들어 디퍼 통보를 받은 대학에 합격이 된다면 반드시 입학할 것이라는 강한 의지를 담은 내용을 넣으면 좋을 것이다. 셋째, 대학 방문을 해봐라. 가능하다면 1월과 2월 중에 시간을 내어 대학을 직접 방문하면 입학 담당자들을 대면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넷째, 추가 추천서를 발송하라. 추가 추천서를 보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너무 많은 추천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학기 성적 1학기 성적표 12학년 1학기 대학 방문
2023.12.24. 18:00
-희망 대학은 어떻게 선택하고 몇 개를 지원해야 하나. "예전에 비해서 더 어려워졌다. 지난해에는 심지어는 30곳에 지원한 학생도 있었다. 이미 마감한 UC와 달리 사립대학들은 표준시험 성적도 참고한다. 덕분에 약간의 가늠도 가능하다. 그래서 합격해도 가고 싶지 않은 대학에 지원해 시간과 노력을 낭비할 필요는 없다. 먼저 가고자 하는 대학, 갈 수 있는 대학에 대해서 연구해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분류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또 무엇을 전공하고 싶은지, 환경적으로 어떤 대학을 선호하는지, 대학 학자금의 한계는 어떤지 등을 살펴본 후 지원할 대학 리스트를 만들어야 한다. 지원할 대학 리스트는 여러가지가 있다. 원칙이 있는게 아니다. 예를 들어 Reach, Possible, Probable, Safety 대학으로 구분하는 전략이 가능하다. 각기 2개~3개 대학까지 선정해 볼 수 있다. Reach School은 합격 가능성을 10%정도로 보고 Possible은 30~40%, Probable은 60%, Safety는 80~90% 합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대학으로 분류해 지원할 수 있다. 일종의 포트폴리오인 셈이다. 이런 방법이 필요한 것은 지원서상에 각 대학이 원하는 서플먼트를 작성해야 하는데 이것이 정성을 넣고 쓰다 보면 시간이 많이 필요해 물리적인 한계로 꼽히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표준시험 성적으로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시험 성적이 대부분 선택이지만 완전히 무시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전년도 합격자의 중간 성적을 본다. 상위 25% 이하부터 하위 25% 이상의 성적이 공개된다. 어떤 학교의 중간 범위 50%가 26~30점일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ACT성적이 30점이라면 이 학생은 reach로는 최하위권, possible로는 하위권, probable로는 상위권이고 safety로는 최상위권이다. 최상위권일수록 합격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이 점수(30점)로 만약 중간범위 50%가 22-26인 대학에 지원할 경우 합격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다만 대입이 성적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런 학생이 전국적인 성과가 있다면 성적을 커버할 수 있다. 물론 서플먼트가 최상이어서 다른 비교가 필요할 경우다."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대학 지원 safety 대학 대학 학자금 희망 대학
2023.12.03. 19:16
초등학생 자녀가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다고 답답해 하는 학부모도 종종 보인다. 초등학생이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마음처럼 움직이지 못하는 이유는 공부하는 만큼 성적 향상 효과가 쉽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공부한다고 무조건 책상 앞에 앉아있는다고 해도 성적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럴 때 부모의 역할은 되도록 어린 나이부터 제대로 된 공부 방법을 알려 주는 것이다. 대부분의 학생은 공부를 무조건 외우는 것으로 알고 있다. 실제 많은 학생이 암기력에 의존하여 수업에 실패를 한다. 암기(memorizing)가 아닌 이해력(understand)이 학교 수업의 기초임을 알아야 한다. 내용을 이해하려고 연구를 하고 다음 순서가 중요한 부분을 외우는 것이다. 이해를 먼저 쉽게 시작하는 것은 교과서다. 공부는 책을 읽는 것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인 독서와는 다르다. 일반적으로 신문이나 요리 책, 소설 책을 읽으면서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재미를 느낀다. 이와 달리 공부하기 위해서 하는 책 읽기는 정신을 집중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아울러 공부하는 데는 교과서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요령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대개의 학교에서는 학습 방법 또는 기술을 가르치지 않는다. 첫째, 자녀가 학교에서 돌아오면 공부하는 일정한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이상적인 장소는 자녀 방에 있는 책상이다. 자녀는 그 곳이 가장 자유롭고 편안한 곳이다. 공부를 위한 조용한 곳은 TV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요즘 많은 아이들이 음악을 들으면서 공부하는 방법을 택하지만 공부할 때는 배경 음악은 피해야 집중력이 좋고 오래 기억을 할 수 있다. 둘째, 자녀는 규칙적인 공부 시간을 가져야 한다. 먼저 공부하고 다른 것은 나중에 하게 한다. 직장에서 일하는 것 같이 공부 시간표를 만들어 보자. 공부는 집중을 하는 어려운 일이므로 에너지가 많은 시간에 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만드는 것이 효과적이다. 당연히 TV를 시청한 후 공부하는 것보다는 공부를 마친 후 TV를 보는 것이 좋다. 셋째, 자녀에게 책을 읽는 것과 책을 공부하는 것과의 차이를 가르쳐라. 독서할 때는 한 번만 읽으면 되지만 공부할 때는 책을 여러 번 읽어야 한다. 공부의 목적은 책을 잘 읽고 책에 있는 내용을 확실히 기억하는 일이라고 설명해주자. 상당수 학생은 한번만 읽고 공부했다고 믿는다. 넷째, 가장 중요한 공부 방법은 교과서를 통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기가 시작하면 교과서를 새로운 물건처럼 조사해 봐야 한다. 각 장(chapter)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각 단원은 도입 전개를 어떻게 하였는가 살펴야 한다. 교과서를 새로 구입한 가전 기기와 같이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교과서를 이루는 장은 기본적인 구성 단위다. 효율적인 공부를 하기 위하여 각 장을 훑어보는 것을 여러 번 반복하여야 한다. 첫번째 단계는 장 전체를 대충 훑은 다음 굵은 글씨로 표시한 중요 부분을 읽고 요약한다. 그 장에 나오는 골자를 2~3개 주제로 생각해 본 다음 적어 놓아라. 이 질문들은 장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를 스스로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장병희 기자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초등 자녀 공부 시간표 공부 기술 공부 방법
2023.11.26. 17:00
고교에 들어가면 시작해야 하는 것중 시간관리 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이전에는 시간을 조금 낭비해도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고교에선 절대적으로 효율적인 시간 사용이 필요하다. 대입 성공은 물론, 인생 성공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바로 '시간 관리(Time Management)'다. 어려서부터 시간 관리 능력만 잘 익힌다면 앞으로 걱정할 것이 없다. 하지만 자녀에게 이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으므로 부모가 가르쳐야 한다. 누군가 "시간을 지배하는자, 세상을 지배한다"고 했다는데 맞는 말이다. 가장 먼저 자녀에게 깨우쳐야 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하루는 24시간이라는 것이다. 만약 쓸데 없이 시간을 낭비하면 그만큼 잠을 덜 자든 밥먹는 시간을 줄여야지 공부하는 시간을 줄여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녀들은 공부나 숙제하는 시간이 얼마나 필요한지 모르기 쉽다. 주어진 24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자유롭게 관리하는 방법을 안다면 엄청난 스케줄을 놀라울 정도로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을 수 있는데 그게 쉽지가 않다. 시간을 지배하는 능력을 어떻게 길러줘야 싶지만 시간 관리능력은 사실 대단한게 아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동안 해야 할 일을 정확히 파악한 후 시간을 배분하는 것이 핵심이다. 대부분 학교는 학생에게 스스로 매일해야 할 일을 정리할 수 있도록 '데일리 플래너'를 나눠준다. 학생은 플래너에 각 클래스의 과제물, 프로젝트 준비물 등을 적도록 되어 있지만 실제로 많은 학생은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학교 웹사이트에 교사가 올려 놓는 게시물에 따라하는 것보다는 플래너에 적는 습관을 갖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수업에 집중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부모는 데일리 플래너에 한 가지 더 기입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제물에 필요한 시간을 미리 예측하고 방과 후 과제물을 끝내는 순서를 정해두는 것이다. 각 과제물을 차례로 기입한 후 이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예상시간(ET), 실제 소요시간(AT), 순서(O), 완성(D) 여부를 표시하는 칸을 만들고 매일 체크하는 습관을 갖도록 가르쳐야 한다. 장병희 기자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시간관리 자녀 시간 관리능력 시간 사용 데일리 플래너
2023.11.19.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