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과속카메라 설치 ‘논의만 2년째’…시스템 문제, 장소 선정 난항
LA 지역의 과속 차량 단속을 위한 무인 카메라 설치가 내년까지 늦춰질 전망이다. 이미 가주법에 의해 LA 내 무인 카메라 설치가 허용됐음에도 시스템 문제와 장소 선정 문제 등이 겹치며 도입이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매체 LAist는 LA 지역 도로에 설치되는 무인 카메라 시스템이 적어도 2026년 말까지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11일 보도했다. LA 교통국 한 엔지니어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시스템 운영과 기술적 문제 등을 테스트하고 있다”며 “LA 지역의 무인 카메라 단속 시행은 다른 지역 도시들보다 뒤처질 것 같다”고 말했다. 주의회는 지난 2023년 가주 내 6개 도시에 무인 카메라를 시범적으로 설치해 과속 수준에 따라 벌금을 부과하는 내용의 법(AB 645)을 통과시켰다. 6개 도시에는 LA를 비롯한 샌호세, 오클랜드, 글렌데일, 롱비치, 샌프란시스코 등이 포함된다. LA 지역 교통 안전 정책 비영리 기관인 SAFE의 브렛 슬라우겐하우프트 디렉터는 “LA에는 총 125대의 카메라가 설치될 예정”이라며 “자체 조사에 따르면 LA의 무인 카메라는 당초 목표치의 25%만 설치된 상태”라고 말했다. LA 시의원들은 늑장 설치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트레이시 박 LA 시의원은 “설치가 승인된 지 2년이 지났는데도 우리는 아직 논의만 하고 있다”며 “설치가 지연되고 있는 것에 대해 매우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LA 교통국의 크리스 라이더 엔지니어는 “지난 2년간 각 시범 도시의 진행 상황과 데이터 등을 모니터링해왔다”며 “카메라 설치 기준 등을 구체화했고 곧 지역사회로부터 의견 수렴 기간을 거쳐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LA 교통국이 지난 10일 시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무인 카메라 설치 우선순위는 학교 주변 ‘스쿨존’과 불법 도로 점거 등이 잦은 지역이 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와 관련해 LAist는 “경찰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LA에서만 총 304명이 과속에 의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며 “최근 감사 보고서를 보면 시정부 부서 내 협력이 원활하지 않은 것도 문제로 지적되는데 이는 올해까지 교통사고 사망자를 ‘0명’으로 만들겠다는 LA 시의 목표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AB 645는 주요 도시에 무인 카메라를 시범적으로 설치한 후 과속 차량을 적발, 번호판을 촬영해 벌금 티켓을 우편으로 발송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한 속도보다 11~15마일 초과 시에는 50달러의 티켓이 발부된다. 100마일 이상일 경우에는 500달러다. 이 프로그램은 2032년 1월 1일에 만료된다. 강한길 기자과속카메라 완료 la 과속카메라 무인 카메라 카메라 설치
2025.09.14. 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