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Amazon)이 연말연시 쇼핑 대목을 맞아 밀려드는 주문 처리에 분주한 가운데 시카고 지역 물류창고 직원들이 근무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연대 파업을 시작했다. 시카고 서부 시세로와 남서부 게이지 파크 소재 아마존 물류창고 2곳의 일부 직원은 22일 오전 파업을 선언하고 근무 현장을 나와 시위를 벌였다고 시카고 언론이 이날 보도했다. WGN방송은 "미국에서 아마존 시설 2곳 이상에서 동시에 파업이 벌어진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고 전했다. 시위 참가자들은 경영진에 "두 물류창고의 직원 수를 늘리고, 시간당 임금을 각각 3달러씩 인상할 것"을 요구했다. 시카고 지역 아마존 직원 협의체 측은 "아마존 경영진은 물류창고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직원 수를 계속 줄였고 이로 인해 불안전한 작업 환경이 조성됐다"며 "직원 모두가 급하게 움직여야 하고 그렇다 보니 상품 위로 넘어 다니거나 몸에 무리를 주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10시간 야간작업을 하는 등 힘에 부치는 교대근무 체제를 감내하는 데 대해 정당한 대우를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아마존이 같은 일을 하는 타지역 물류창고 직원의 임금을 일관성 없이 올렸다면서 "급여와 상여에 대한 약속을 지키고 각 현장이 안전하게 유지되는데 필요한 인력을 배치해달라"고 말했다. 아마존 측은 시위대의 요구에 대한 즉답을 피한 채 "직원들에게는 항의할 권리가 있고 우리는 이들의 법적 권리를 존중한다"며 "아마존은 최고 수준의 급여와 경쟁력 있는 복지혜택, 회사와 함께 성장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ABC방송은 아마존 사측이 '파업하면 해고하겠다'고 했다고 협의체가 주장했지만 아마존 대변인은 이를 부인했다고 보도했다. 1994년 설립된 아마존은 노동조합이 없는 기업이다. 앨러배마 주 베서머 지역 아마존 물류창고 직원들이 올 초 처음으로 노조 결성 시도를 했으나 무산됐고 뉴욕 지역 물류창고 4곳 직원들이 지난 10월부터 노조 결성을 추진하고 있다. Kevin Rho 기자•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아마존 물류창고 물류창고 직원들 타지역 물류창고 소재 물류창고
2021.12.23. 15:02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전자상거래가 급증하면서 땅 넓은 미국에서도 물류시설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시카고 언론은 글로벌 부동산서비스업체 'JLL'(Jones Lang LaSalle)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 지난 3분기 시카고 지역 물류창고 공실률이 역대 최저치인 4.4%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금년 들어 지난 9월 말까지 시카고 지역의 물류창고 임대면적 순증가분(Net Absorption)은 총 2700만SF(약 250만㎡)로 작년 한해 순증가분 2500만SF(약 230만㎡)를 이미 넘어섰지만 수요가 공급을 웃도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개발업자들은 교통 요지에 상업용 설비를 서둘러 조성하고 있으나 시카고 지역 3분기 물류창고 공실률은 2분기 4.9%에서 더 낮아졌다. 의료용 장갑 제조업체 'U.S. 메디컬 글로브'(U.S.Medical Glove)는 최근 시카고 서남부 교외도시 몽고메리에 소재한 9만4천SF(약 8천700㎡) 규모의 전 캐터필러(Caterpillar) 제조설비를 물류창고로 임차하는 계약을 맺었다. 시카고 지역에 현재 건설 중인 물류시설의 총면적은 2780만SF(약 258만㎡)로 올 들어 완공된 총면적 1320만SF의 2배가 넘는다. 지난해 새로 공급된 물류창고의 총면적은 2400만SF. 부동산전문매체 '리얼 딜'(Real Deal)은 시카고와 인디애나 주를 잇는 80번 주간고속도로(I-80) 인근과 시카고 북부 교외지역으로 연결되는 위스콘신 주 동남부 등에 대규모 신규 시설이 건설되고 있다고 전했다. 시카고 지역의 금년 상반기 상업용 부동산 거래 규모는 15억 달러로 연간 누적치는 작년에 기록된 21억3천만 달러를 쉽게 넘어설 전망이다. 한편 뉴욕 맨해튼에 인접한 롱아일랜드 지역의 3분기 물류창고 공실률은 2.6%까지 떨어졌다. 지역 매체에 따르면 이 수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4.5% 보다 30% 이상 낮아진 것이다. 오하이오 주도 콜럼버스의 경우 3분기 공실률이 이미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2분기 3.68% 보다도 더 낮은 2.78%로 확인됐다. 시카고에 기반을 둔 상업 부동산 서비스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 & Wakefield)는 "지난 9월 말 기준 전국적으로 5억2140만SF(약 4천800만㎡)의 물류창고가 건설 중에 있다"며 "사상 최고 기록"이라고 전했다. 전국 평균 공실률은 4.1%, 임대료는 스퀘어피트당 7.18달러로 모두 최저 기록을 세우고 있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물류창고 시카고 물류창고 공실률 시카고 지역 물류창고 임대면적
2021.10.29. 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