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해동안 미전국에서 주택이 가장 많이 팔린 우편번호(ZIP code) 순위에서 1~4위가 모두 텍사스주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달라스 모닝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온라인 부동산 매매 사이트인 ‘오픈도어’(Opendoor)는 오픈도어 중개업체(Opendoor Brokerage)가 운영하는 지역 다중 리스팅 서비스(Multiple Listing Services)의 데이터를 분석해 주택이 가장 많이 팔린 톱 20 우편번호(hottest ZIP codes by home sales in the U.S.)를 선정했으며, 순위는 2024년 상장 후 90일이내에 계약이 체결된 주택수를 기준으로 매겨졌다. 전국 주택 최다 판매 우편번호 1위는 휴스턴에서 서쪽으로 약 30마일 떨어진 케이티와 파크 로우 타운을 포함하는 ‘77493’으로 작년 한해동안 총 2,406채가 팔렸다. 2위는 휴스턴 메트로지역에 있는 사이프러스 타운을 커버하는 ‘77433’으로 2,405채의 주택이 판매됐다. 3위는 샌 안토니오 북서부를 포함하는 ‘78253’으로 2,273채가 팔렸으며 4위는 오스틴과 샌 안토니오 사이에 있는 뉴 브라운펠스가 포함되는 ‘78130’으로 2,183채의 주택이 팔렸다. 전국 주택 최다 판매 우편번호 상위 1~4위를 모두 텍사스주에서 휩쓸었다. 더욱이 6위도 포니를 포함하는 ‘75126’이 1,972채의 판매량으로 차지했고 10위도 오스틴 인근 카일, 울랜드 타운 등이 포함되는 ‘78640’이 1,648채의 판매량으로 이름을 올렸다. 톱 10 가운데 무려 6개 우편번호가 모두 텍사스 주내인 것으로 조사돼 지난해에도 텍사스의 주택시장이 가장 활발했음을 증명하고 있다. 이밖에 맥키니, 셀리나 등이 포함되는 우편번호 ‘75071’도 1,626채의 주택 판매로 전국 12위에 랭크됐다. 전국 주택 최다 판매 최상위권을 싹쓸이한 텍사스 주내 우편번호들은 모두 인구가 급성장하고 있는 지역들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우편번호 ‘77493’과 ‘77433’이 속해있는 해리스카운티, ‘75126’이 속한 카우프만 카운티, ‘75071’이 속한 콜린 카운티는 최근 수년 동안 인구증가율이 미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의 하나다. 일례로, 2023년 연방센서스국의 인구 조사 추정치에 따르면, ‘75126’ 우편번호에는 포니 타운을 포함해 약 80스퀘어마일에 총 7만7,000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또한 ‘75071’ 우편번호에는 약 79스퀘어마일에 걸쳐 6만4,000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오픈도어는 “작은 타운의 매력, 주요 대도시와의 근접성, 강력한 경제적 기회 등 완벽한 균형을 제공하는 텍사스 주내 우편번호들이 주택 구매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이는 주택 소유자들이 번창할 수 있는 활기찬 커뮤니티를 찾는 것을 명확하게 반영한 것이며 구매자와 판매자가 다음 행보를 계획하는데 있어 귀중한 출발점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메트로텍스 부동산 중개인 협회(MetroTex Association of Realtors)의 데이터에 따르면, 콜린 카운티의 12월 주택 중간 가격은 약 50만달러, 카우프만 카운티는 32만5천달러를 조금 상회했고 달라스-포트 워스의 주택 중간 가격은 40만달러였다. 손혜성 기자우편번호 미전국 판매 우편번호 한해동안 미전국 모두 텍사스주인
2025.01.13. 7:31
덴버-오로라-레이크우드의 자녀 1인당 연간 양육비용이 미국에서 6번째로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 양육과 관련된 비용을 이해하는 것은 개인 재정 계획뿐만 아니라 가족 복지를 지원하는 공공 정책을 형성하는 데도 필수적이다. 평균적으로 미국내 대도시(메트로폴리탄)에서 자녀 1명을 양육하는데 드는 비용은 연평균 2만5,181달러에 달한다. 자녀를 키우는데 드는 비용은 육아, 추가 주택, 식량, 의료 필수품, 기타 등등 매우 다양하며 지역별로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개인금융정보 사이트인 ‘스마트에셋’(SmartAsset)은 각 지역별 자녀 양육 비용을 파악하기 위해 미국내 최대 메트로폴리탄 대도시 50곳의 생활비 데이터를 비교, 조사해 순위를 매겼다. 각종 비용 환산은 메사추세츠 공대(MIT)의 2024 생활 임금 계산기(MIT Living Wage Calculator for 2024)를 이용했다. 콜로라도주 덴버-오로라-레이크우드에서 자녀 1인당 드는 양육비용은 연간 3만1,663달러로 50대 메트로지역 중 최상위권인 전국 6위를 차지했다.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식비 2,062달러 ▲보육(childcare) 18,250달러 ▲의료 2,176달러 ▲주택 4,415달러 ▲교통비 2,845달러 ▲시민(civic) 1,380달러 ▲기타 535달러 등이다. 50대 메트로폴리탄 지역 가운데 연간 자녀 양육비용이 가장 비싼 곳은 보스턴-케임브리지-뉴튼으로 3만7,758달러에 달했다. 양육비용 중 보육(2만2,806달러)과 주택(5,425달러)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두 번째로 비싼 곳은 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버클리로 3만5,642달러였으며, 워싱턴 DC가 3위(3만5,554달러), 샌호세-서니베일-샌타 클라라가 4위(3만4,425달러), 코네티컷주 하트포드-이스트 하트포드-미들타운이 5위(3만2,135달러)에 랭크됐다. 7~10위는 샌디에고-출라 비스타-칼스베드(3만829달러), 시애틀-타코마-벨뷰(3만781달러), 뉴욕-뉴왁-저지시티(3만463달러), 로스앤젤레스-롱비치-애나하임(3만231달러)의 순이었다. 반면, 양육비용이 제일 저렴한 곳은 뉴올리온스-메테리로 연간 1만7,887달러에 그쳤다. 이어 멤피스(1만8,677달러), 켄터키주 루이빌-제퍼슨카운티(1만9,830달러), 세인트루이스 시티(1만9,858달러), 올랜도-키시미-샌포드(2만173달러)의 순으로 적었다. 이밖에 주요 메트로지역의 양육비용과 순위는 다음과 같다. ▲시카고-네이버빌-엘진($24,957/전국 20위) ▲피닉스-메사-챈들러($24,513/22위)▲디트로이트-워렌-디어본($24,176/23위)▲클리블랜드-엘리리아($24,007/24위)▲볼티모어시티($23,934/25위) ▲피츠버그($23,891/26위) ▲버지니아 비치 시티($22,750/31위)▲마이애미-포트로더데일-폼파노비치($22,606/32위)▲오스틴-라운드락-조지타운($22,406/33위)▲애틀랜타-샌디스프링스-알파레타($22,095/34위)▲달라스-포트워스-알링턴($21,926/35위)▲휴스턴-더우드랜즈-슈가랜드($21,396/38위)▲샌안토니오-뉴브론펠스($21,014/41위) 이은혜 기자레이크우드 미전국 반면 양육비용 콜로라도주 덴버 지역별 자녀
2024.09.06. 13:37
덴버와 오로라 지역의 식료품 매장들이 미전국에서 가장 낮은 평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웹사이트 솔리테어드(Solitaired)는 미전역 100개 도시 3천개 개별 식료품 매장을 대상으로 구글 리뷰를 분석해 ‘최고 및 최악의 식료품점 톱 50’(Top 50 Best & Worst Grocery Store in U.S.)를 선정했다. 고객 서비스, 음식 품질, 가격, 계산대 속도까지 포함된 이번 평가에서 덴버 및 오로라 시내 식료품 매장들은 최고의 톱 50에는 단 1개도 포함되지 못한 반면, 최악의 톱 50에는 5군데나 포함돼 식료품점 수준이 미전역에서 가장 나쁜 지역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특히 최악의 식료품점 톱 10 가운데 3, 5, 6, 8위 등 최상위권에 무려 4곳이 포함됐으며 1곳은 역시 상위권인 16위에 랭크됐다. 최악의 식료품점 전국 3위는 별 3.6개(3.6 stars)를 받은 오로라의 월마트 슈퍼센터(14000 block of East Exposition Avenue), 5위는 덴버의 세이프웨이(750 block of East 20th Avenue/별 3.6개), 6위는 오로라의 월마트 네이버후드 마켓(10400 block of East Colfax Avenue/별 3.6개), 8위는 오로라의 월마트 슈퍼센터(3300 block of Tower Road/3.7개), 16위는 덴버의 킹 수퍼스 스토어(1331 Speer Blvd./별 3.7개)다. 또한 덴버와 오로라 지역의 식료품점들은 이번 평가의 세부 항목인 계산대 대기줄(Worst Lines), 고객 서비스(Customer Service), 품질(Food Quality)의 소비자 불만 신고율에서도 최고의 톱 50에는 1곳도 선정되지 못했으며 최악의 톱 50에만 총 13곳이 포함됐다. 계산대 대기줄이 너무 길다는 불만 신고율이 가장 높은 톱 50 가운데 오로라 소재 5곳의 매장이 포함됐는데 이중 킹 수퍼스(3050 S. Peoria St.)가 4.95%로 전국 1위를 차지했고 1155 S. Havana St.에 있는 킹 수퍼스가 3.64%로 전국 3위, 655 Peoria St. 소재 킹 수퍼스가 2.74%로 전국 7위, 1150 S. Ironton St. Unit 130 소재 스프라우츠 파머스 마켓이 2.05%로 전국 17위, 25701 E. Smoky Hill Rd. 소재 킹 수퍼스가 1.67%로 전국 26위를 기록했다.오로라에 거주하는 한인 박 모 씨는“특히 바쁜 주말에는 계산대 대기줄이 너무 길어 짜증날 때가 많다. 직원 활용을 효율적으로 운용해서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했으면 좋겠다”라고 전했다. 고객서비스에 대한 불만 신고율이 가장 높은 톱 50 순위에 포함된 식료품점은 오로라 4곳과 덴버 1곳에 있는 킹 수퍼스였다. 오로라시내는 4271 S. Buckley Rd.에 있는 킹 수퍼스 매장이 5.68%로 전국 18위, 3050 S. Peoria St. 매장이 29위(4.95%), 1155 S. Havana St. 매장이 30위(4.94%), 6412 S. Parker Rd. 매장이 36위(4.75%)에 올랐고 덴버 시내 825 S. Colorado Blvd.에 위치한 매장은 4.57%로 전국 41위에 랭크됐다. 식품의 품질이 안좋다는 불만 신고율이 제일 높은 톱 50 오로라 소재 킹 수퍼스(3050 S. Peoria St.)가 4.95%로 전국 18위, 역시 오로라에 있는 스프라우츠 파머스 마켓(1150 S. Ironton St. Unit 130)이 3.72%로 29위, 콜로라도 스프링스 소배 마이 바겐마트(2841 E. Fountain Blvd.)가 2.88%로 전국 48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미국내 대형 식품점 체인 가운데 최고 톱 10과 최악의 톱 10도 공개돼 관심을 모았다. 최고의 톱 10은, 1위 트레이더 조스(평점 별 4.638개), 2위 코스트코(4.600), 3위 웨그만스(4.600), 4위 퍼블릭스(4.510), 5위 센트럴 마켓(4.491), 6위 H.E.B.(4.478), 7위 윈코 푸즈(4.464), 8위 리디(4.443), 9 알디(4.439), 10위 프레쉬 마켓(4.433)이었다. 최악의 톱 10은 1위 킹 수퍼스(평점 별 3.938개), 2위 세이브 어 랏(4.019), 3위 크로거(4.023), 4위 월마트(4.024), 5위 자이언트 이글(4.040), 6위 애크미(ACME/4.063), 7위 세이프웨이(4.071), 8위 피글리 위글리(4.075), 9위 주얼-오스코( 4.140), 10위 프레드 마이어(4.170)이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웹사이트(https://solitaired.com/worst-and-best-grocery-stores-in-america)를 참조하면 된다. 이은혜 기자식료품 미전국 식료품점 전국 식료품 매장들 식료품점 수준
2024.03.29. 1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