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종교와 트렌드] ‘미키 17’과 인간 영생의 유혹

‘미키 17’은 봉준호 감독이 연출하고 로버트 패틴슨이 주연한 SF 영화로, 에드워드 애슈턴의 소설 ‘Mickey7’을 원작으로 한다. 이야기는 미지의 행성을 개척하는 인간 집단 속에서 가장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존재, ‘디스포저블 휴먼’ 미키7의 이야기다. 죽음을 당하면 기억은 데이터로 저장되고, 새 신체에 업로드되어 다시 살아난다. 그러나 한 미션 후 복제가 진행되던 중, 미키7과 미키8이 동시에 존재하게 되며,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이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이 설정은 단순한 공상과학이 아니라, 오늘날 기술 문명이 인간 존재에 던지는 철학적 도전을 압축해 보여준다. 특히 인간의 기억과 의식을 복제해도 ‘그 존재는 여전히 동일한가’라는 물음은, 영생과 존재의 본질을 묻는 신학적 질문으로 연결된다. 미키 17의 핵심 주제는 ‘죽음을 기술로 극복할 수 있는가’이다. 미키는 죽음을 맞을 때마다 복제되어 새로운 몸으로 살아나지만, 그는 점차 자아의 혼란에 빠진다. 심지어 동일한 기억과 인격을 가진 또 다른 ‘나’(미키8)를 마주하며, 정체성과 인간성의 경계가 무너진다.   기독교 신학은 이러한 설정에 깊은 이의를 제기한다. 인간은 단순한 기억과 데이터의 집합체가 아니다. 기독교는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존재’(창세기 1:27)로 본다. 이는 물리적 신체나 의식의 연속성만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인간의 정체성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주어진 고유한 인격과 소명에 근거한다.   요한복음 17장 3절은 이렇게 말한다: “영생은 곧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가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니이다.” 즉, 기독교에서 영생은 단순히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 안에서 누리는 ‘생명의 질’이다. 반면, ‘미키 17’의 복제 기술은 기억과 육체의 재생을 통해 존재를 ‘연장’할 뿐이다. 그 속에는 하나님도, 영혼도, 도덕적 책임도 없다. 이는 생명에 대한 ‘전능한 인간’의 환상이며, 죽음을 피하려는 인간의 욕망이 극단적으로 드러난 결과이다.   미키7과 미키8이 동시에 존재하며 ‘누가 진짜인가’를 두고 갈등을 벌이는 장면은 현대인의 분열된 자아를 상징한다. SNS 속의 ‘나’, 회사에서의 ‘나’, 가정 속의 ‘나’는 모두 다르다. 기억과 역할은 같을지 몰라도, 진정한 ‘나’는 어디 있는가. 기독교는 여기에 명확히 답한다. “너는 너를 지으신 하나님 안에서 진짜 자아를 발견해야 한다.”   얼마 전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에서 마이크로칩을 뇌에 이식한 임상 성공 뉴스를 보았다. 우리는 기술적 영생의 길에 한 걸음 다가섰지만, 아직 신학적으로나 윤리적으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우려스럽다. 인간 존재의 의미와 미래의 인간상을 고민해야 한다.   [email protected] 이종찬 / J&B푸드컨설팅 대표종교와 트렌드 미키 영생 기술적 영생 미키 17 인간 영생

2025.08.04. 18:55

“그 동양놈 어디 갔어?”...한인 배우, 프렌즈 촬영장서 인종차별 경험

최근 개봉한 영화 ‘미키 17’에 출연한 한인 2세 배우 스티브 박(사진)이 과거 할리우드에서의 ‘인종 차별’ 경험담을 공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5일 인디펜던트 등 매체에 따르면 그는 최근 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1997년 시트콤 ‘프렌즈’ 촬영장에서 벌어진 일을 소개하며 “유해한 환경이었다”고 밝혔다. 제작진이 동료 배우인 제임스 홍을 찾으면서 “그 동양놈 대체 어디 갔어, 그놈 데려와(Where the f*** is the Oriental guy? Get the Oriental guy)”라고 말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스티브 박씨는 “1997년 할리우드에서는 이런 환경이 평범한 일이었고 누구도 이를 고치려 하거나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충격을 받은 그는 당시 배우 조합(Screen Actors Guild)에 이를 알렸고 조합의 조언에 따라 유력 신문사에 제보까지 했다. 그러나 기사는 보도되지 않았다.     그는 “촬영장에서 인종 차별을 하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은 매우 고통스러운 경험이었다”며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와 배려가 상당히 부족하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주변 사람들에게 보내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 이메일은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왔다고 그는 덧붙였다.   박씨는 이 사건을 겪은 뒤 “세상을 오로지 인종 문제의 시각에서만 바라보게 돼 자유가 없다고 느끼게 됐다”며 연기 활동까지 중단하게 됐다고 말했다.       역대 최고 흥행 시트콤인 프렌즈는 인종을 포함한 여러 면에서 다양성을 반영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스티브 박은 2013년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 등으로 연기 활동을 재개했다. 그리고 역시 봉 감독의 2025년 신작인 ‘미키 17’에 출연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인종차별 프렌즈 한인 배우 동양인 아시아인 스티브 박 봉준호 미키 17

2025.03.05. 20:1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