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한인타운서 매일 약 100건씩 민원 전화 접수

지난 한 해 LA 한인타운에서만 하루 평균 100건에 가까운 민원 전화가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인타운에서 접수된 민원 전화 10건 중 1건은 노숙자 텐트 신고 건으로 조사됐다.   통계·분석 매체 크로스타운은 LA시 민원 전화 서비스 ‘My LA 311’의 통계를 인용, 지난해 LA시에서는 총 141만 5288건의 민원 전화가 접수됐다고 21일 보도했다. 이는 전년 대비 5.2% 증가한 수치다.   민원 전화 접수 건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보일 하이츠 지역이 4만 9775건으로 가장 많았다. 한인타운(3만 4519건)은 밴나이스(4만 1280건), 웨스트레이크(3만 9284건), 노스할리우드(3만 5443건)에 이어 다섯 번째로 민원 전화 접수 건이 많은 지역이었다. 한인타운에서만 매일 94건의 민원 전화가 접수된 셈이다.   주목할 부분은 LA시 전역에 접수된 민원 전화 중 노숙자 텐트 신고 건이 지난 7년(2018~2024) 이래 가장 많았다는 점이다.   지난해 접수된 노숙자 텐트 신고 건은 총 8만 5991건이다. 이는 전년(7만 2351건) 대비 약 19% 늘어난 것이다. 또, 2018년(3만 9947건)과 비교하면 무려 115% 이상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LA 지역의 노숙자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인타운의 경우, 지난 한 해 노숙자 텐트 신고 건은 총 3254건이었다. 매일 10건에 가까운 노숙자 텐트 신고가 접수됐음을 알 수 있다.   캐서린 이(39·LA) 씨는 “아파트 주변에 버려진 소파 등 대형 물품 쓰레기가 조금만 쌓이면 금세 노숙자들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며 “주민들도 311에 노숙자 텐트 신고를 여러 번 했지만, 노숙자들이 잠시 사라졌다가 다시 돌아오기 때문에 민원 전화가 과연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가장 많은 요청 건이 있었던 민원은 쓰레기 수거 요청(전자제품·대형 생활 쓰레기·가전제품·가구 등 포함)이었다.   311 통계에 따르면 전체 민원 전화 중 거의 절반(67만 4508건·약 47.7%)이 대형 생활 쓰레기를 수거해달라는 요청이었다. 이어 낙서 제거(약 31만 7400건·약 22.4%)가 두 번째로 많았다. 민원 전화 10건 중 7건이 쓰레기와 길거리 낙서 문제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현재 LA 한인타운의 경우 KYCC(한인타운 청소년회관)가 거의 모든 낙서 제거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KYCC에서 낙서 제거 자원봉사를 하는 제니퍼 남(16) 학생은 “쓰레기와 낙서가 많은 곳을 보면 대부분 노숙자가 많은 길목”이라며 “길거리가 깨끗해지면 안전 문제도 그만큼 개선되기 때문에 특히 시니어가 많은 한인타운에서 여러 학생이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도 지난해 동물 사체 처리 요구는 총 3만 2398건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지난 7년(2018~2024) 이래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동물 사체 처리 요구 건은 샌피드로(870건), 노스리지(848건), 밴나이스(810건), 실마(792건) 등의 순이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민원전화 완료 민원 전화 노숙자 텐트 노숙자 문제

2025.01.21. 19:42

썸네일

311 민원전화, 20년간 민원 5억2500만 건 접수

지난 20년간 뉴욕시 민원전화(311)로 5억2500만 건 이상의 민원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뉴욕시가 311 민원전화 서비스 운영 20주년을 맞아 발표한 '311 민원 통계'에 따르면 2003년 3월부터 2023년 3월 현재까지 전화·웹사이트·문자·메시지·SNS·모바일 앱 등을 통해 접수된 전체 민원 건수는 5억2500만여건, 이중 68%가 전화(3억5900만 건)로 접수돼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웹사이트(1억4700만 건), 모바일 앱(1600만 건), 문자메시지(300만 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형별로 가장 많이 접수된 민원은 20년간 비슷한 유형이 많았지만 시간에 따라 약간 달라졌다. 2004년 당시 가장 많았던 민원 문의(Inquiry) TOP5는 ▶프레온가스 제거 ▶주차 티켓 ▶이웃간 소음 ▶주거지 난방 ▶건물주의 건물 관리 순이였는데, 2022년에는 ▶주차 티켓 또는 과속 카메라 위반 ▶건물주 건물 관리 ▶불법 주차 ▶견인 차량 ▶주거지 난방으로 나타났다.   또 민원전화 서비스가 시작된 2003년에는 총 451만6512건의 민원이 접수됐지만, 2022년 한해 동안에는 총 3503만7317건에 달해 민원전화가 67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평균으로 보면 2003년 1만5133건에서 2022년 일일 평균 9만5993건으로 534.3%가 늘었다.   311에 민원이 가장 집중됐던 시기는 눈폭풍이 심각했던 2011년과 2013년, 허리케인 샌디가 뉴욕을 강타했던 2012년으로 집계됐다.   에릭 아담스 시장은 “20년 전 시작된 311 민원 핫라인 서비스는 소음과 청결, 주차 문제 등 뉴욕시민들의 삶과 직결된 민원들을 가장 먼저 접수, 처리해 온 시민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했다”며 “20년간 시민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밤낮없이 수고한 311 직원들에게 감사를 표한다”고 밝혔다.   NYC311은 콜센터(311)·문자(311-NYC)·웹사이트(portal.311.nyc.gov)·모바일 앱·SNS(트위터·인스타그램)를 통해 1년 365일 24시간 연중무휴, 180개 언어로 운영된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민원전화 접수 민원전화 서비스 뉴욕시 민원전화 민원 핫라인

2023.03.10. 17:40

뉴욕시 311 민원전화, 다양한 언어로 가능해진다

앞으로 뉴욕시 311 민원전화로 전화를 걸 경우 다양한 언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민원전화 대기시간도 공개해 서비스에 걸리는 시간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뉴욕시의회는 지난달 29일 열린 본회의에서 311 민원전화 언어서비스를 확대하는 내용의 조례안(Int 296-A)과, 311 전화 대기시간을 공개해 속도를 앞당기는 내용의 조례안(Int 206-A)을 통과시켰다. 조례안을 대표 발의한 샌드라 황(민주·20선거구) 의원은 “뉴요커의 약 25%는 영어구사 능력이 제한돼 있는데, 이들도 모국어가 영어인 이들과 마찬가지로 정부 서비스 및 정보 접근권한을 가질 자격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불행히도 311에 전화를 걸면 필요한 정보를 얻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오늘 통과된 또다른 조례안은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높이는 내용”이라고 밝혔다.   이날 시의회는 스몰비즈니스서비스국(SBS)이 뉴욕시 소기업들을 위한 ‘원스톱 온라인 포털’을 만들도록 하는 조례안(Int 116-A)도 통과시켰다. SBS는 뉴욕시에서 소기업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라이선스 신청서와 각종 서류를 한 데 모아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포털을 만들어야 하며, 이 포털은 10여개 언어로 동시에 제공해야 한다.   ‘원스톱 온라인 포털’에서는 사업주가 각종 라이선스 허가와 면허 신청상태를 추적할 수도 있다. 사업주가 규정을 위반했을 경우, 미결제 잔액을 정산하거나 벌금 등을 지불할 수 있는 링크도 온라인 포털에 포함하도록 했다. 또 이 포털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SBS는 3년마다 소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결과를 공개해야 한다.     시의회는 팬데믹 이후 급증한 상업용 렌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례안(Int 383-A)도 통과시켰다. 상업용 렌트가 비어있을 경우 건물주는 정식 보고 기간이 아니더라도 시 정부에 알리도록 하는 내용이다.     한편 이날 시의회는 그 동안 자연보호를 위해 개발이 제한됐던 더글라스턴 노던불러바드 선상에 위치한 미즈미 뷔페 식당시설의 확장과, 인근 지역 소매업을 촉진할 수 있는 조닝 수정안(231-06 Northern Boulevard Commercial Overlay)도 통과시켰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민원전화 뉴욕 민원전화 언어서비스 민원전화 대기시간 언어 서비스

2022.09.30. 21:4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