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시장 선거는 박빙을 그대로 반영했다. 8일 오후 10시 현재 개표율 28% 상황에서 두 후보는 모두 50%를 얻어 동률을 유지했다. 카루소 후보가 2000여 표를 리드하고 있어 개표가 진행되면서 우열을 가리기 힘든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la시장 박빙 la시장 박빙 결과 수일 카루소 후보
2022.11.08. 22:18
4일 앞으로 다가왔다. 아니 이미 4주(우편투표 개시) 전부터 ‘시작됐다’. 투표 전 마지막 주말을 앞두고 미국에서 한인으로서 지역 시민들의 대표가 되기 위해 ‘표의 심판’을 앞둔 후보들은 막바지 총력전에 돌입했다. 상당수의 한인 후보들은 경쟁 후보들과 접전을 펼치고 있어서 막판까지 긴장을 늦추지 못한다. 연방과 가주 각 후보 진영의 필승 전략과 행보를 확인한다. ▶영 김·연방하원 40지구 영 김 후보가 직접 가가호호 방문하고 자원봉사자들과 ‘투표 참여’ 전화 메시지 작업을 지속한다. 캠프 측은 일단 당선권이 확실하다고 판단하면서도, 있을지 모를 마지막 돌출 변수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 후보는 주말에도 교회에 출석하는 등 일상을 기반으로 한 캠페인으로 남은 기간 총력 매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변이 없는 한 큰 표차로 상대 후보를 따돌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4일 저녁에는 뉴포트에서 열리는 공화당 공동 빅토리 파티에 합류한다. ▶미셸 박 스틸·연방하원 45지구 미셸 박 후보가 내놓은 ‘납세자 보호’와 ‘낮은 세금’ 이슈가 당을 넘어 폭넓은 유권자들과 아시안 커뮤니티에 깊게 어필했다고 판단하고 지지자들의 투표 행렬이 이어지는 한 승세는 이미 굳어졌다고 보고 있다. 주말에도 투표 참여 유도를 위해 가가호호 방문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캠프의 랜스 트로버 대변인은 “최근 폭스비즈니스 등 언론 노출도 지속해서 이어가면서 공화당 가치에 동의하는 많은 유권자의 연락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데이비드 김·연방하원 34지구 ‘인종 차별적 선거 운동’이 논란인 가운데 상대 후보의 교란 작전에 휘말리지 않고 차분하고 지속적인 캠페인에 매진한다. 데이비드 김 후보는 자원봉사자, 캠프 스태프들과 4일 오후 5시부터 차이나타운에서 길거리 인사를 진행하며, 5일 오전에는 보일하이츠에서, 오후에는 하이랜드파크에서 유권자 방문, 길거리 인사를 펼친다. 막판 추격전으로 고메즈 후보의 무차별 흑색선전과 인종 차별적 캠페인으로 실망한 유권자들이 김 후보에게 대거 지지를 보낸다고 판단하고 승기를 굳힌다는 전략이다. ▶최석호·가주하원 73지구 지역구 내 투표 참여가 최대화할 수 있도록 투표 참여를 전화로 당부하고 있다. 어바인 시청에서 공화당 후보들과 함께 3일 마지막 호소를 전한 최석호 후보는 “불리하지만, 공화당 가치를 지지하는 유권자들이 여전히 많다고 믿고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해왔다. 그는 특히 한인과 아시안들의 우편 투표가 많아지긴 했지만, 실제 조기 투표와 당일 투표에 더 많은 유권자가 참가해주길 기대하고 있다. 남은 주말 시간 동안 어바인과 터스틴 등 지지기반 지역을 돌며 세몰이에 나선다. ▶유수연·가주하원 67지구 유수연 후보의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가치에 신뢰를 가진 유권자 그룹과 지역에 집중 화력을 배치한다. 3일 베트남 커뮤니티의 주요 언론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당선의 자신감을 피력했다. 마지막 집회를 5일 캠프 앞에서 오전 9시 시작하며, 오전 10시와 오후 4시 한인 마켓 앞에서 대규모 선전전을 펼친다. 특히 시니어 유권자들의 반응이 뜨겁다고 판단하고 막바지 로보콜도 준비 중이다. 캠프 측은 비공식 자료에 유 후보가 접전을 넘어 상대 후보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 승세를 잡는다는 계획이다. 최인성 기자승부 박빙 한인 후보들 상대 후보 투표 참여
2022.11.03. 19:09
李·尹, 6곳 중 5곳서 오차범위 박빙…0.9∼6.2%p 격차(종합2보) "李 35.7% 尹 36.6% 安10.2%…李 38.4% 尹 44.6% 安 8.3%" 리얼미터 조사에선 오차밖 격차…"李 38.1% 尹 43.4% 安 7.5%" (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김수진 기자 = 7일 발표된 6개의 여론조사 중 5곳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TBS 의뢰로 지난 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11명에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윤 후보가 44.6%, 이 후보가 38.4%를 기록했다. 지지율 격차는 6.2%포인트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이내다. 윤 후보는 지난주 대비 3%포인트, 이 후보는 0.5%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2.3%포인트 하락한 8.3%였고, 정의당 심상정 후보 2.9%, 새로운물결 김동연 후보 0.3% 순이었다. 차기 대선의 성격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52.3%가 '야권 후보로의 정권 교체'를, 38.5%가 '정권 재창출'을 각각 선택했다. 지난 3일 대선 후보 첫 TV토론 이후 이미지가 좋아진 후보로는 40.9%가 윤 후보를, 31.0%가 이 후보를 꼽았다. 이미지가 나빠진 후보로는 44.4%가 이 후보를, 41.2%가 윤 후보를 택했다. KSOI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 면접조사(무선 100%)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9.4%다. 엠브레인퍼블릭이 뉴스1의 의뢰로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1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는 '만약 내일이 대통령 선거일이라면 누구에게 투표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36.6%가 윤 후보를, 35.7%가 이 후보를 각각 꼽았다. 격차는 오차범위(95% 신뢰수준 ±3.1%포인트) 내 0.9%포인트로 초박빙이었다. 안 후보가 10.2%, 심 후보가 3.9%로 각각 뒤를 이었다. 지난달 16∼17일 같은 기관 조사와 비교해 윤 후보는 2.2%포인트, 이 후보는 0.1%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안 후보는 4.2%포인트 내렸고, 심 후보는 1.5%포인트 올랐다. 지지 여부와 별개로 당선 가능성을 물은 조사에서는 윤 후보가 46.5%, 이 후보가 41.1%였다. 엠브레인퍼블릭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 면접조사(무선 100%)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응답률은 20.4%다. 글로벌리서치가 JTBC 의뢰로 지난 5∼6일 전국 성인 1천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윤 후보 39.9%, 이 후보 34.1%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 ±3.1%포인트) 내 5.8%포인트 격차를 보였다. 안 후보의 지지율은 8.3%, 심 후보는 3.3%였다. 지지 후보와 관계없이 당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윤 후보가 46.0%, 이 후보가 38.7%의 응답률을 얻었다. 조사는 무선(100%)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7.8%다.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이 MBC 의뢰로 지난 5∼6일 전국 성인 1천12명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윤 후보가 37.1%, 이 후보가 35.3%를 나타났다. 1.8%포인트 격차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 ±3.1%포인트) 내 초접전 양상이다. 안 후보는 11.9%였고, 심 후보는 3.5%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지지 여부와 관계없이 당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46.7%가 윤 후보를, 43.3%가 이 후보를 지목했다. 조사는 무선(100%) 전화면접으로 이뤄졌고 응답률은 25.6%다. 넥스트리서치가 SBS 의뢰로 지난 5∼6일 전국 성인 1천4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는 윤 후보가 35.0%였고, 이 후보는 30.6%로 역시 오차범위(95% 신뢰수준 ±3.1%포인트)인 4.4%포인트 차였다. 지난달 15∼16일 조사와 비교해 윤 후보는 3.4%포인트 상승했고, 이 후보는 2.3%포인트 하락했다. 안 후보는 10.6%, 심 후보는 2.8%였다. 조사는 유선(87%), 무선(13%)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23.3%다. 다만,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지난 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5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윤 후보는 43.4%, 이 후보는 38.1%를 기록, 지지율 격차가 5.3%포인트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 ±2.5%포인트)를 벗어났다. 지난주 조사와 비교하면 윤 후보는 3.2%포인트 상승했고, 이 후보는 0.4%포인트 하락했다. 안 후보는 2.8%포인트 떨어진 7.5%를 기록했다. 심 후보는 0.1%포인트 오른 2.5%였다. 차기 대선 당선 가능성 조사에서도 윤 후보는 49.0%로 이 후보(40.8%)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안 후보는 4.2%, 심 후보는 0.5%로 뒤를 이었다. '공약을 잘 이행할 후보' 조사에서는 이 후보 39.2%, 윤 후보 38.2%, 안 후보 10.6%, 심 후보 3.8%로 집계됐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국민의힘이 4.2%포인트 상승한 39.4%, 민주당은 3.3%포인트 오른 37.6%를 기록했다. 국민의당은 1.1%포인트 하락한 7.3%, 정의당은 0.5%포인트 내린 2.8%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임의걸기(RDD)로 무선(95%)·유선(5%) 표본을 추출해 전화면접(24%)과 자동응답(76%) 방식으로 시행됐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오차범위 박빙 대선 후보 오차범위 박빙 김동연 후보
2022.02.07. 2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