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반려동물 관리 비용 “장난 아니네”

반려동물에 들어가는 비용이 해가 갈수록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금융 사이트 ‘싱크로니’가 최근 발표한 ‘2025 반려동물 평생관리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이후 반려견에 들어가는 비용은 10%, 반려묘는 20% 가까이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 약 5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10명 중 8명 꼴로 반려동물 관리 비용을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실제 지출이 크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15년 동안 개를 기른다고 가정했을 때 현재는 2022년보다 평균 11.65% 증가한 2만2125달러~6만602달러가 든다. 고양이의 경우 증가폭이 더 커 2022년보다 평균 19.4% 증가한 2만~4만7106달러 이상이 드는 것으로 파악됐다.   비용 부담을 느낀다고 답한 주인은 2022년 3명 중 1명꼴이었던 반면, 올해는 거의 2명 중 1명꼴로 증가했다. 반려동물 보호자 4명 중 3명(74%)은 250달러가 넘는 ‘예상치 못한 반려동물 관리 비용’를 부담한 적 있다고 답했으며, 31%의 보호자만이 고액의 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고 답했다. 싱크로니 측은 “개 보호자의 60%, 고양이 보호자의 61%, ‘포켓 펫(크기가 주머니에 들어갈 정도로 작은 햄스터 등)’ 보호자의 59%가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지만, 많은 사람들이 진짜 재정적 부담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려견 보호자의 경우 평생 관리 비용을 약 8000달러로 추산하는데, 실제로 15년간 드는 평균 관리 비용은 2만2000~6만 달러 수준. GPS 목줄, 스마트 급식기, 원격 수의사 플랫폼 등 신기술과 기기가 도입되면서 그만큼 비용도 증가했다.       반려묘도 마찬가지다. 반려동물제품협회(APPA)에 따르면 현재 국내 4900만 가구(전체의 37%)가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데, 이는 지난해 30%보다 7%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고양이 보호자들은 고양이의 평균 수명 15년을 기준으로 6000달러 미만을 지출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실제 지출액은 2만 달러에 가깝다. 자동 변기, 사료 공급기 등의 스마트 기기들이 도입되면서 연간 지출 비용이 185~385달러에서 350~480달러로 증가했다.     햄스터와 같은 ‘포켓 펫’에도 수명이 6년이라고 가정했을 때 7600달러~1만4938달러가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켓 펫의 주인들이 관리 비용을 과소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6년간의 반려동물 수명 중 최대 1만5000달러 가까이 들지만, 3000달러 미만 지출한다고 생각했다.  윤지아 기자반려동물 비용 고양이 보호자들 반려동물 보호자 반려동물 수명

2025.06.17. 14:38

썸네일

[웰컴 투 펫팸] 수의사 컨퍼런스를 다녀와서

 매년 11월 첫 주에 뉴욕 재비스센터에서는 수의사 컨퍼런스가 열린다. 올해는 아무래도 팬더믹의 여파로 규모가 축소되고 많은 사람이 온라인으로 참석하면서 북적북적한 느낌은 없었다. 컨퍼런스에는 강의뿐 아니라 제약사·사료업체·물품업체 등 펫 관련 업체들이 부스를 차려서 제각기 자사 제품을 홍보한다. 이때 전시 부스를 돌면서 새로이 출시된 것들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평소 동물병원에서 약을 주기적으로 타가는 반려동물 보호자에게는 대체로 공통된 걱정거리가 있다. 약을 제대로 먹이기 힘들다는 것이다. 가루약이든 알약이든 물약이든 대부분의 반려동물은 약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래서 보호자들은 뭔가 맛있는 간식이나 캔 사료 등에 섞어서 먹이는 방법을 선호한다. 하지만 간식이나 캔 사료에서 약 냄새가 난다면 귀신같이 알아채고 외면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혹여 가루약인 경우 복용해야 할 용량의 반도 못 먹이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번 수의사 컨퍼런스에 소개된 제품은 복용해야 하는 약 성분을 맛과 향이 좋은 것들과 섞어서 여러 가지 형태로 조제해주는 것이었다. 약 형태는 씹어먹을 수 있는 형태(Chewable), 물약·알약·캡슐·가루약 등 원하는 대로 조제해준다. 일단 어떤 맛을 가장 좋아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참치 맛·닭고기 맛·베이컨 맛·소고기 맛·연어 맛 등 여러 가지 맛의 츄어블을 먹여본다. 가장 선호하는 맛을 고른 후 약과 함께 다시 츄어블 형태로 섞어서 제공한다. 관련 회사는 첫 25개 츄어블까지는 무료로 제공해서 반려동물이 약과 섞인 츄어블을 잘 먹는지 테스트해 볼 기회를 준다. 만성질환으로 매일 여러 개의 약을 먹여야 하는 보호자라면 동물병원에 의뢰해서 맞춤형 츄어블을 시도해 볼 만 하다.   반려동인의 식이를 추적하는데 스마트폰이 도우미로 등장했다. 반려동물에게 장착한 마이크로칩과 급식기 또는 급수기를 연동, 먹는 습관을 모니터링하는 제품도 인기를 끌었다. 한 집에 여러 마리의 개와 고양이를 키운다고 치자. 개·고양이의 사료가 다르고 일반사료와 처방 사료가 제각각이어서 구분해 먹여야 할 경우에도 서로 간의 음식 도둑질이 있기 마련이다. 이 경우 마이크로칩과 연동된 급식기(microchip pet feeder connect)가 유용하다. 즉, 급식기와 연동하는 마이크로칩을 가진 반려동물이 가까이 다가섰을 때만 사료가 나온다. 그리고 얼마나 자주, 어느 정도의 양을 먹었는지 등이 계산돼 보호자의 앱으로 송출된다.     물의 양과 마시는 횟수를 모니터링해주는 드링킹 모니터도 있다. 역시 마이크로칩 주인이 다가가면 물이 나오고 그 결과를 앱으로 보내준다. 여러 마리의 고양이가 있으면 각자의 마이크로칩을 인식해서 각각 마신 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보내주기도 한다. 집에 설치하는 반려동물 전용문도 스마트해졌다. 마이크로칩 연동 캣도어(microchip cat door connect)를 설치하면 집에서 나가고 들어오는 것을 트래킹할 수 있고 외부 동물이 캣도어를 통해 집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캣도어에 대한 통금시간도 정해놓을 수 있다.   몇 년 뒤 수의사 컨퍼런스에 가면 로봇을 이용한 인공지능 도그 시터와 캣 시터가 나와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웨어러블 헬스 모니터링 기계도 등장할 수 있다. 스마트시대가 되면서 반려동물을 스마트하고 보다 간편하게 키울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오는 것이다. 그래도 그들이 줄 수 없는 한 가지는 있을 듯 하다. 우리의 눈과 귀와 손을 대신해서 반려동물을 살필 많은 것들이 발명된다 할지라도 우리의 심장에서 전해지는 반려동물에 대한 무한 사랑이 그것이다. 정소영 / 종교 문화부 부장·한국 수의사웰컴 투 펫팸 컨퍼런스 수의사 수의사 컨퍼런스 반려동물 보호자 반려동물 전용문

2021.11.17. 20: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