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이 아침에] 메멘토 모리

이민 초기, 아이들 학교에서 학부모로 처음 만나 이웃으로 지내며 자녀들을 함께 키우고 수많은 경험을 공유한 친구가 있다.     그녀는 미국에 오기 전, 한국에서 수학 교사였다. 많은 교육적인 충고를 해주고 내가 털어놓는 인생의 고충도 차분하고 논리적으로 짚어주는 언니 같은 존재였다. 아이들에게 바이올린, 발레, 스케이트를 시킨 것도 그 친구 덕분이었다.   그녀는 공으로 하는 운동이라면 무엇이든 뛰어났다. 탁구대 위의 날카로운 스매시, 골프장의 부드러운 스윙, 운동에 소질 없는 나는 감히 흉내도 못 낼 지경이었다. 그 모습은 내게 건강과 활력의 상징이었다.     생활 속 작은 습관부터 병을 예방하는 법까지 건강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아낌없이 전수해 주었다. 10여 년 전 머리숱을 많게 해준다는 말에 동충하초를 오래 복용하다가 간 수치가 올랐다고 언뜻 들은 기억이 있다. 하지만 그녀는 여전히 건강하고 활기차 보였기에 이번 병은 너무 갑작스러웠다.   우리는 종종 바닷가 모래밭을 맨발로 걸었다. 맨발 걷기의 효능을 설명하며 아침잠 많은 나를 깨워 데리고 다닌 것도 그녀였다. 간경화로 복수가 찼을 때도 보험을 바꾸며 좋은 간 전문의를 찾았다고 함께 기뻐했기에 나는 큰 걱정을 하지 않았다.   발병 소식을 듣기 전, 남편과 함께 그녀의 사무실에 들러 먹고 싶다던 추어탕을 함께 먹었는데, 그것이 우리의 마지막 식사가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이제 그 순간은 되돌릴 수 없는 이별의 장면이 되었다.   2주간의 여행에서 돌아와 몇 차례 전화를 걸었지만 받지 않아 의아해 하던 중, 벨이 울리며 친구의 번호가 떴다. 그러나 전화를 건 사람은 그녀의 막내딸이었고, 엄마가 패혈증으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전했다.   가족장으로 조용히 치르고, 바다에 뿌렸다는 소식을 뒤늦게야 들었다. 작별 인사조차 나누지 못한 채 그녀는 이미 먼 바다로 떠난 뒤였다. 어젯밤, 꿈속에서 그녀를 보았다. 마치 ‘괜찮다’라는 듯 손을 흔들었다. 친구의 재가 뿌려진 태평양 바다를 바라본다. 밀려왔다가 밀려가는 파도 속에 그녀의 숨결이 머물다 사라지는 것 같다.   병마를 이겨내려는 그녀의 마음가짐에 도리어 내가 위로를 받기도 했는데. 친구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내게 삶의 유한함을 다시금 일깨워 준다.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당신도 죽는다는 걸 기억하라)’. 이 말은 단순한 경고가 아니다. 언젠가는 죽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때 삶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를 깨닫게 된다.   지금, 이 순간을 더욱 소중히 여기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사랑을 나누라는 메시지로 다가온다.   죽은 사람은 누군가의 마음에 기억되는 한 결코 완전히 죽은 것이 아니다. 그녀와 함께한 시간이 내 마음속에 영원히 살아 숨 쉬길 바란다. 부디 고통 없는 곳에서 편히 쉬기를.  최숙희 / 수필가이 아침에 메멘토 모리 메멘토 모리 태평양 바다 발병 소식

2025.08.19. 17:2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