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한인 위암 발병률, 백인의 12~13배”

미국에 사는 한인들의 높은 위암 발병률의 심각성을 알리고, 이를 막기 위한 미국 정치계의 법제화 추진 등을 위해 오는 28일(목) 오후 4시에 뉴저지주 포트리 배리모어 필름센터에서 ‘뉴욕 헬스 포럼(New York Health Forum)’ 행사가 열린다.   ‘위암 불평등: 장벽을 넘어(Stomach Cancer Disparities: Overcoming the Barriers)’를 주제로 ‘뉴욕 헬스 포럼’이 주최하는 이번 행사에는 뉴욕 일원 유명 병원의 한인 전문의와 일반 동포들, 로버트 메넨데즈 연방상원의원(민주·뉴저지), 앤디 김 연방하원의원(민주·뉴저지주 3선거구) 등 정치인들이 참석하거나, 축하 메시지를 보낼 예정이다.   한인사회에 위장 전문의로 잘 알려진 ‘뉴욕 헬스 포럼’ 현철수 이사장(MD, PhD, MPH)은 “미국에는 인종적으로 의료불평등이 존재하는데 한인들의 경우 백인에 비해 위암 발병률이 12~13배나 높은데, 이는 조기진단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이라며 한인들의 위암으로 인한 발병과 사망을 막기 위해, 이러한 의료불평등을 홍보하고, 정치인들에게 알려 이를 법제화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이번 행사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또 현철수 박사는 “위암은 조기진단을 하게 되면 사망률이 크게 낮아지는 병으로, 현재 한국에 사는 한국인들의 위암 사망률이 미국에 사는 한인들보다 크게 낮은 것은 조기진단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잘 갖춰졌기 때문”이라며 미국에서도 이러한 위암 관련 의료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 이 문제를 정치인들에게도 알리고 법률로 만들어 피해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뉴욕 헬스 포럼’은 ▶위암 투병을 하고 있는 환자의 실제 사례 발표 ▶미국에서의 위암 발병에 대한 전문의들의 역학 조사 결과(위암의 진단과 치료·위암 외과 치료 등) ▶커뮤니티 홍보와 법제화(정책 입안) 등을 주제로 한 토론과 질의응답(한국어·영어) 등 3파트로 나눠 진행될 예정이다.     현철수 박사는 “미국은 의료가 발달한 나라지만 소수계 보건 문제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 체계적인 암 스크리닝 제도가 충분하지 않다”며 “이번 포럼은 위암으로 인한 한인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의료불평등 문제를 공론화하고, 정치인들에게 알리기 위한 100% 열린 행사이기에 많은 분들의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발병률 한인 위암 발병률 위암 사망률 위암 불평등 현철수 현철수 박사 현철수 이사장 뉴욕헬스포럼

2023.09.21. 21:26

뉴욕 알츠하이머 발병률 전국 2위

전국 50개 주 가운데 뉴욕이 알츠하이머 발병률 2위를 차지했다.     알츠하이머협회의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됨에 따라, 뉴욕주 노인국은 “60세 이상이 뉴욕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게 되는 2030년이 오기 전 발병률을 개선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뉴욕주 보건국에 따르면 올해 약 41만 명의 뉴요커들이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았으며, 2025년에는 이 숫자가 46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뉴욕이 알츠하이머 발병률 전국 2위로 꼽힌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전문가들은 ▶독소와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 등 환경적 요인 ▶식습관 ▶유전적 특징 등으로 인해 발병률이 높다고 분석했다. 특히 유색인종이나 저소득층, 뉴욕 외곽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알츠하이머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질 좋은 음식에 대한 낮은 접근성, 만성 대기 오염에 대한 노출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뉴욕주는 지난 몇 년 동안 알츠하이머 환자와 간병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수백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알츠하이머 치료 우수센터, 알츠하이머 지역사회 지원 프로그램 및 간병인 지원 이니셔티브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발레리 드라운 알츠하이머 간병인 지원 이니셔티브 책임자는 “치매 치료에 훈련된 인력 구축이 최우선 과제”라며, “뉴욕은 인구 밀도에 비해 알츠하이머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전국적으로 알츠하이머 발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연방 차원에서도 대책을 마련 중이다. 국립노화연구소에 따르면 전국에서 최소 670만 명이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고, 이 숫자가 공식적인 진단만 반영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 발병률은 더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알츠하이머 발병률 알츠하이머 발병률 뉴욕 알츠하이머 알츠하이머 간병인

2023.08.14. 23:01

“간암 발병률 아시안이 최고” 안상훈 암전문의 조언

 “아시안 남성들이 B형 간염 바이러스때문에 간암에 잘 걸린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코로나 팬데믹과 함께 기저질환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졌다. 면역체계가 약한 기저질환자의 코로나 관련 사망이 많기 때문이다.     암전문의로 유명한 안상훈 박사는 “아시안 커뮤니티, 특히 한인커뮤니티에서도 간암과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아져야 한다”면서 “평소 당뇨검사를 통해 당뇨만 일찍 찾아도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아시아안이 간암의 위험성에 잘 알아야 하는 이유가 있나.   “통계에 따르면 간암은 특히 아시안들에게서 심각하다. 백인보다 간암 사망률이 70%나 더 높다.다른 어떤 인종보다 발병률이 높다. 아시안 여성도 백인 여성에 비해 간암 발병률이 2배나 높다.”   -아시안이 특히 간암에 잘 걸리는 이유는.   “간암의 잠재적인 위험 요인 3 가지가 있다. 즉, 기저질환, 생활방식의 선택, 인종을 포함한 유전적 요소다.”   -기저질환은 무엇인가.   “간암의 기저질환은 B형 간염 바이러스(HBV)가 대표적이다. 미국전체 간염환자는 86만명인데 이중 절반이 아시안이다.간염은 결국 간경변, 간암으로 이어지기 쉽다.”     -다른 질환도 있나.   “당뇨병이다. 아시안은 백인보다 제2형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거의 2배나 높다. 특히 간암 위험으로 이어져 간암 원인 사망위험과 관련이 있다.”   -다른 요인도 알려달라.   “생활방식의 문제다. 과도한 음주는 간암의 발병률이 5배나 더 높다. 흡연도 간암 발병 가능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   -흔히 간암은 진행 단계로 발전되기까지 증상이 없다는데.   “간암도 일반적인 증상이 있다.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을 경험하면 가급적 의사를 만나라. 별다른 이유 없이 체중 감소, 식욕부진 또는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는 조기 포만감, 메스꺼움 또는 구토, 갈비뼈 아래 부분의 팽만감.간비대 또는 비장 비대의 가능성 징후, 복부 통증 또는 오른쪽 어깨 부위의 통증, 복부 팽만, 가려움,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색 되는 경우다.”    -간암은 완치가 가능한가.   “성인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간암의 유형은 간세포성암 (HCC)으로 알려져 있다. 간세포성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수술로 암을 제거하거나 간이식을 통해 완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간세포성암을 진단받은 환자의 70%의 경우는 성공적인 수술로 암을 제거하거나 간이식이 불가능하다.”   -간암 위험 관리를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체질량 지수 (BMI)가 23 이상인 경우 각별히 당뇨병 검사를 받아보라. 아시안은 다른 인종에 비해 낮은 체질량 지수에도 불구하고 흔히 제2형 당뇨병에 걸리게 된다. 과도한 음주의 자제와 금연은 당연히 지켜야할 것이다.”   -간암에 대해 자세한 정보는 어디서 얻나.     “간암에 대한 내용은 웹사이트(www.liverfirst.com)를 방문하라. 한국어로도 제공된다.” 장병희 기자발병률 아시안 간암 발병률 간암 사망률 흡연도 간암

2021.11.26. 19: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