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폐쇄됐던 원자력 발전소 재가동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원자력 에너지 진흥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폐쇄됐던 원자력 발전소 재가동 프로젝트가 뒷심을 받고 있다. 이 행정명령에 의해 미시간주의 팰리세이즈 원자력 발전소가 재가동 절차를 밟고 있다.     크리스 라이트 연방에너지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저렴하고 안전한 전력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일자리 증가와 에너지 독립성을 보장시킬 목적으로 원자력 에너지를 바라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팰리세이즈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의 원자력 르네상스가 곧 다가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발전소는 오대호 중 한 곳인 미시간호를 끼고 밴 뷰런 카운티에 위치해 있다. 이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홀텍 인터내셔널은 재가동을 위해 연방에너지부로부터 최대 15억 2천만 달러를 지원받았다. 홀텍 인터내셔널 측은 800메가와트의 청정 에너지를 미시간에 다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며 “팰리세이즈 발전소의 역사적인 재가동으로 600개 이상의  숙련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팰리세이즈 발전소는  2025년 10월 재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예상 수명은 향후 50년이다. 이 발전소는 2022년 5월 노후화로 인해 50년만에 가동이 중단됐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거액의 보조금을 집행해 최초의 상업용 원자로 재가동을 결정했다. 연방에너지부에 의하면 미국에는 버지니아 등에 모두 94기의 원자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발전량은 연간 97기가와트에 이른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원자력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원자력 에너지 원자력 르네상스

2025.09.29. 10:25

썸네일

미시간 주에 완공된 한국 발전소

한국이 투자한 발전소가 중서부 지역에 완공됐다. 이 발전소는 앞으로 35년간 남부 미시간과 북부 인디애나 주에 전기를 생산해 공급하게 된다.     지난 2019년 착공해 34개월 간의 공사를 거쳐 지난 7월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 미시간 주 나일스시의 인덱 나일스 에너지 센터는 한국남부발전(KOSPO)과 대림에너지가 투자한 복합화력발전소다. 천연가스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인 이 발전소는 1085메가 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이는 인근 지역 70만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이다.     KOSPO는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로 인덱 나일스 에너지 센터의 대주주로 지분 50%를 확보하고 있다.     이 발전소의 건설에는 모두 11억달러가 투자됐는데 이 중 한국산 기자재도 상당수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한국 금융사가 사업금융에 참여해 향후 미국내 인프라 투자 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도 다졌다.     미시간주 나일스 시는 미시간호수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소도시로 노터데임대학이 있는 사우스 벤드 북쪽에 있다. 인근에 원자력 발전소가 최근 문을 닫았고 기존 화력발전소에 비해 일산화탄소 배출이 60% 이상 적으며 효율도 좋은 복합화력발전소라는 장점이 있다.     KOSPO는 앞으로 35년간 이 발전소를 운영하면서 연간 5억달러의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는 20일 착공식이 열릴 예정이다.     한편 최근 한국 기업들은 중서부 지역 진출을 활발히 하고 있다.     인디애나폴리스 인근의 코코모에 삼성 SDI가 세계 4위 완성차 업체인 스텔란티스와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 또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 합작으로 오하이오와 미시간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키로 했다.     한국 기업들의 미국내 배터리 공장 건설은 최근 연방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 발효로 국내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이 중요하면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Nathan Park 기자미시간 발전소 기존 화력발전소 미시간호수 남서부 원자력 발전소

2022.09.12. 15:21

썸네일

[디지털 세상 읽기] 아인슈타인의 발전소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천재의 대명사처럼 불리는 이론 물리학자였지만, 그의 아버지 헤르만 아인슈타인과 삼촌 야콥 아인슈타인 역시 과학기술에 조예가 깊었다. 두 사람은 전기에 관한 이해가 뛰어나 독일 뮌헨에서 전기 장비를 제조하는 회사를 만들었고, 이탈리아로 이주한 후에는 밀라노 남부 지역에 수력발전소를 만들기도 했다. 당시 알베르트가 10대 후반이었다.   헤르만 아인슈타인의 수력발전소는 문을 닫은 지 오래지만 오래된 건물을 함부로 허물지 못하게 하는 이탈리아의 엄격한 법 때문에 건물과 내부 설비가 대부분 멀쩡하게 남아 있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 이탈리아의 한 사업가 부부가 이 발전소를 사들여서 수력발전을 재개할 준비를 하고 있다. 100년이 넘은 설비이지만 1960년대 초까지도 전기를 생산했을 뿐 아니라, 최신 수력발전 설비 대비 95%의 효율을 보이고 있어서 충분히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 부부는 어떤 사람들이고 왜 수력발전을 하려는 걸까. 이들은 로마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자동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운영하고 있고, 우버와 에어비앤비 같은 세계적인 기업들이 이들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AI분야는 앞으로 더 빠르게 성장해서 전기 소모량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천연자원뿐 아니라 오래된 시설까지 재활용하는 사례다. 박상현 / 오터레터 발행인디지털 세상 읽기 아인슈타인 발전소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헤르만 아인슈타인 자동번역 서비스

2021.12.29. 20: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