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를 냉장고에 집어넣는 요령이 많이 있다. 그중 미국인들은 이런 방법을 선호한다. ①냉장고 문을 열고 그 속에 앉아있는 사자를 끄집어낸다. ②코끼리를 냉장고에 집어넣는다. ③냉장고 문을 다시 닫는다. (혹시 ①에서 사자가 아니라 기린이 서 있으면 기린을 침착하게 끄집어낼 것.) 인터넷에 떠도는 한국식 세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①식품영양적 방법: 코끼리를 도축하여 통조림을 만든 후 냉장고에 넣는다. ②정치적 방법: 코끼리에게 냉장고에 들어가라는 판결을 내린 후 불복하면 구속영장을 때린다. ③의사들이 쓰는 방법: 수련의에게 일을 떠맡긴다. 이 심오한 명제에 대한 토론의 범람이 인터넷에서 당신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그렇다. 방금 상상(想像)이라 했다. 생각 想. 모양 像.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 또는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보는 일이 상상이다. 나무(木)를 바라보는(目) 마음(心)이 생각 想. 사람 人과 코끼리 象이 합쳐진 모양 像의 오른쪽 부분은 누가 봐도 코끼리를 그려 놓은 상형문자다. 고대 중국 은나라 시절의 기후는 지금과 달리 열대에 가까웠기 때문에 황하 유역에 코끼리가 많이 서식했다 한다. 춘추전국시대부터 인구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하여 코끼리들이 자취를 감추면서 후대에 이르러 구전으로만 전해지던 코끼리의 모습을 상상으로 그렸다 해서 ‘모양 像’자가 만들어졌다는 사연이다. (네이버 한자사전에서 발췌) 철학적 뜻을 내포하는 현상(現象)에는 ‘코끼리 象’이 등장하는 반면에 사진현상(寫眞現像), 할 때는 ‘모양 像’이다. 철학은 사물의 심오한 의미를 추구하지만 달랑 사진 한장은 사진에 그칠 뿐. 감상(感想), 공상(空想), 몽상(夢想), 망상(妄想) 같은 글자에는 코끼리가 개입되지 않아서 다행이다. 이런 단어들이 강한 중량감을 풍기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고통이다. 객담이지만, 코끼리가 동물계 패션쇼에 참가하면 예선에서 떨어질 것임이 분명해요. ‘elephant in the room’이라는 희한한 관용어를 생각한다. 어떤 확연한 화제, 질문사항을 모두가 뻔히 알면서 누구도 언급하기를 꺼리는 상황을 뜻한다. 상상해 보라. 쑥스럽거나 난처한 이슈를 앞에 놓고 누군가 용기 있는 사람이 결국은 말문을 트는 장면을. “There’s an elephant in the room that nobody wants to talk about…” 하며 닥쳐올 논란을 감수하면서. 이 관용어는 러시아의 우화작가 이반 크릴로프(Ivan Krylov: 1769~1844)가 ‘호기심 많은 사람’이라는 우화에서 박물관을 구경하는 한 사람이 소소한 것들에만 신경을 쓰다가 코끼리를 전혀 보지 못하는 정황을 묘사한 데서 시작했다 한다. 그 후 당신이 좋아하는 도스토예프스키와 내가 좋아하는 마크 트웨인이 그 표현을 부각했고그 후 1959년에 뉴욕타임스가 그 비유법을 미국에서 처음 썼다는 기록이다. 안데르센 동화에서 눈부시게 아름다운, 솔직한 눈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그런 옷을 걸친 왕을 가리키며 “왕이 벌거벗었다!” 하며 한 어린이가 소리친다. 부정직한 어른들은 부재하는 옷을 존재하는 옷으로 치부했다. 무(無)를 유(有)로 착각한 것이다. 방 안의 코끼리는 어떤가. 거대한 코끼리가 떠억 자리 잡고 있는데 사람들은 코끼리가 없는 것처럼 행동한다. 코끼리를 냉장고 속에 은닉했기 때문일까. 하여간 현상계(現象界)는 코끼리 세상이다. 당신 눈에 방 안의 코끼리가 보이건 보이지 않든 간에. 서량 / 시인·정신과 의사잠망경 코끼리 방안 식품영양적 방법 정치적 방법 우화작가 이반
2025.03.04. 20:15
미국 금융당국이 은행발 경제위기를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모든 예금을 보장해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21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재무부 당국자들이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의 지급 보장 대상을 모든 예금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전했다. 이는 금융위기를 막기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은행 업계가 요청해 온 사안이기도 하다. 현재 제도 하에선 미국의 예금자 보호 한도는 계좌당 25만 달러다. 하지만 FDIC는 파산 사태를 맞은 실리콘벨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에 대해선 이 한도를 넘는 예금도 전액 지급 보증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국자들은 FDIC가 일시적으로 의회의 승인 없이도 한도를 넘겨 예금에 대한 지급 보증을 하게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는 재무부의 긴급 조치 권한을 발동해 외환안정기금(ESF: Exchange Stabilization Fund)을 활용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1930년대에 만들어진 ESF는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외화를 사고파는 데 쓰이는 자금인데, 최근에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의해 긴급 대출 기관의 보증에 활용된 바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ESF는 재무부가 전적으로 관리하는 자금이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지금 당장 이와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백악관 대변인실의 마이클 기쿠카와는 모든 예금을 보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지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으면서 "지역 은행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모든 수단을 동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정부와 규제기관들이 지난 주말 적절한 대응을 했기에 전국의 모든 지역 은행에서 예금이 안정화됐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신감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막후 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은 그만큼 백악관도 은행 위기를 우려하고 있음을 뜻한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지급 보증을 받지 못한 예금자들이 불안감에 은행에서 돈을 대량 인출하는 '뱅크런'에 이번 달에만 은행 세 곳이 무너졌다는 점에서 중견 은행들은 더욱 폭넓은 정부의 개입을 촉구하고 있다. 김은별 기자연방정부 방안 연방정부 일시적 예금 보장 예금자 보호
2023.03.21. 21:40
LA한인타운의 대표 상징물이 될 ‘게이트웨이’의 착공 일정이 마침내 확정됐다. 내년에 공사를 시작해 2024년 말 완공 예정이라고 한다. 게이트웨이는 한인타운 중심 도로인 올림픽과 노먼디 길 교차로에 대규모 아치형 조형물을 설치하는 프로젝트다. 공사 비용으로 360만 달러가 책정됐다고 하니 상당히 큰 규모다. 또한 LED 장식을 해 밤에도 화려한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한인타운에 새로운 명소가 하나 더 탄생할 것으로 벌써 기대를 모으고 있다. 게이트웨이는 2008년부터 시작된 한인타운 숙원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다. 급성장하는 타운에 변변한 상징물 하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타운과 가까운 LA차이나타운에는 ‘드레곤 게이트(Dragon Gate)’가 있고, 리틀 도쿄에도 ‘파이어 타워(Fire Tower)’가 있는데 반해 코리아타운에는 이에 견줄만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올림픽과 노먼디 코너에 다울정이 있기는 하지만 타운을 대표하는 상징물이라고 하기엔 너무 초라하고 출입조차 불가능하다. 게이트웨이는 추진 과정에서 우여곡절도 많았다. 예산 문제 등으로 중단 위기를 겪기도 했지만 관계자들의 끈질긴 노력으로 마침내 결실을 이룬 것이다. 하지만 이것으로 끝이 아니다. 완공 후의 관리 문제가 남아있다. 아쉽게도 이번 착공 일정 발표에서 이 사안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한인타운 게이트웨이가 제 기능을 하려면 지속적인 유지·보수는 필수다. 완공 후 방치된다면 상징물이 아니라 흉물로 전락할 위험성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에 필요한 안정적인 재원 확보와 이를 실행할 주관 단체 선정이 필요하다. 한인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혜가 필요한 이유다. 사설 게이트웨이 방안 한인타운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 관리 한인타운 숙원
2022.08.10. 19:31
물가 상승률이 공공행진이다.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 3월 전년 같은 달보다 8.5% 오른데 이어 4월에는 8.3%를 기록했다. 경제는 침체하고 있는데 물가는 계속 오르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인력수급의 불균형, 물류대란 등으로 촉발된 소비자물가 인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면서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에 이어 다음달에도 금리를 인상할 계획이지만 물가 상승은 멈추지 않는다. 구인난으로 노동자의 임금이 올랐다고 해도 오른 물가를 반영한 실질임금은 오히려 줄었다. 중산층 이하의 실질임금의 하락은 빈부격차를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 정부에서 물가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 가시적인 성과는 없다. 11월 중간선거까지 ‘물가 잡기’에 성공하지 못하면 바이든 행정부와 집권 민주당의 정치적 입지도 좁아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정책의 최우선 과제를 물가 안정에 두어야 한다. 미국의 경제를 이끌어 가는 한 축은 다수의 중산층과 서민들의 소비활동이다. 소비가 위축되면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은 가중된다. 정부는 물가를 내리기 위한 모든 방안을 동원해 생활 경제를 안정시켜야 한다. 또한 고물가로 고충을 겪는 저소득층의 생계 지원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사설 물가 방안 소비자물가 인상 물가 상승률 물가 잡기
2022.05.25. 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