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뉴욕시 방역물품 가격 폭등에 잘못 대응

뉴욕시정부가 팬데믹 초기 방역물품(PPE) 가격 폭등 사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급증한 소비자 불만신고에 대한 처리가 크게 지연됐을 뿐만 아니라 단 3분의 1만 처리했다는 것이다.     브래드 랜더 뉴욕시 감사원장은 23일 시 소비자보호국(DCWP)이 코로나19 사태후 공급부족으로 가격이 폭등한 PPE에 대한 소비자 불만사항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다는 내용의 감사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0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DCWP에 총 3만8010건의 마스크, 손 소독제, 물티슈 등 PPE에 대한 불만사항이 접수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팬데믹 이전 비슷한 제품류에 대한 불만사항 접수 건수의 2배가 넘는 수치다.     구체적인 신고내용 중에는 8온스짜리 손 소독제가 28달러, 10개 들이 마스크 한 박스가 300달러까지 한 사례가 있었다.     하지만 이같이 폭등한 신고에 대해서 시정부의 처리는 크게 부족한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3월 4일부터 같은해 9월 16일까지 신고된 1만1708건 중 DCWP가 처리한 민원은 단 28%에 해당하는 3278건에 불과했다.     또, 처리된 신고의 대응에 평균 43일이 걸렸을 정도로 처리시간도 지연됐다.     처리된 3278건 중 30일 내 처리된 것은 절반에 해당하는 1825건이었고, 90일 이상이 소요된 경우가 502건으로 전체의 16%를 차지했다.     이같은 감사결과에 대해 랜더 감사원장은 “비상시의 과도한 가격 인상은 불법일 뿐만 아니라 비도덕적”이라고 전하고, “미래의 비상사태에 대응해 뉴욕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정부 기관의 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접수 후 최장 35일 이내 조사를 시작하고 ▶조사를 위한 독립적인 검토 프로세스를 정립할 것, 그리고 ▶소비자 불만 해결에 대한 성과 모니터링 등의 개선 요구사항도 제시했다.     팬데믹 직후인 2020년 3월 시정부는 필수품목 및 서비스에 대해 10% 이상 가격인상을 금지하는 규정을 발효했다. 이에 대한 위반시에는 525달러의 벌금이 부과되고, 2회 및 3회차 위반시에는 각각 1050달러와 3500달러의 벌금이 부과된다.   장은주 기자 [email protected]방역물품 폭등 뉴욕시 방역물품 초기 방역물품 소비자 불만신고

2022.02.24. 21:01

민권센터 코로나19 방역물품 무료 배포

민권센터는 9일 100여 명의 주민들에게 신종 코로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자가진단 기기·KN95 마스크·손세정제 등을 무료로 나눠줬다. 방역물품 배포는 두 차례 더 실시할 예정인데, 민권센터는 노인센터와 여성셸터 등을 방문해 전달할 자원봉사자도 모집한다. 718-460-5600.   [민권센터]민권센터 방역물품 방역물품 배포 방역물품 무료 자가진단 기기

2022.02.10. 18:22

민권센터, 더나눔하우스에 방역물품 전달

 민권센터 방역물품 방역물품 전달

2022.01.26. 19:51

썸네일

에빈뉴욕, 뉴욕한인회 통해 방역물품 기부

글로벌 뷰티회사 에빈뉴욕(대표 존 박)은 30일 뉴욕한인회(회장 찰스 윤)를 통해 지역사회에 21만여 달러 규모의 방역물품을 기부했다. 이날 플러싱 푸드팬트리 ‘라 요나다(La Jornada)’에서 23팔레트, 1400박스에 달하는 손세정제와 페이스쉴드를 전달하는 모습. 왼쪽부터 뉴욕한인회 김경화 수석부회장, 찰스 윤 회장, 피터 구 뉴욕시의원, 베아트리즈 칼달다 에빈뉴욕 시니어 매니저, 샌드라 황 뉴욕시의원 당선자, 페드로 로드리게스 라 요나다 사무총장.   [뉴욕한인회]뉴욕한인회 방역물품 방역물품 기부 뉴욕한인회 김경화 뉴욕시의원 당선자

2021.12.30. 17:01

썸네일

LA총영사관 방역물품 지원

 la총영사관 방역물품 la총영사관 방역물품 흑인 커뮤니티 커뮤니티 화합

2021.10.27. 14:0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