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축유 6000만 배럴 방출 합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유가가 지속해서 오르고 있는 가운데 국제에너지기구(IEA) 회원국들이 1일 유가 안정을 위해 비상 비축유 6000만 배럴을 방출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초기 분량으로, IEA는 상황에 따라 추가 방출도 검토하기로 했다. IEA 31개 회원국은 이날 화상 회의를 열어 이처럼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국제 원유시장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공급 부족은 없을 것이라는 통일되고 강한 메시지를 주기 위한 조치라고 IEA는 설명했다. 회원국들이 비상 비축유를 방출키로 뜻을 모은 것은 2011년 이후 처음이며, 1974년 아랍의 석유금수조치로 제도가 설정된 이후 네 번째다. 한편 이런 조치에도 국제유가는 이날 큰 폭으로 뛰며 100달러대를 돌파하면서 2014년 여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3월 0.5% 금리인상 가능성” 연방준비제도(연준)가 3월 기준금리를 0.5%포인트(p) 인상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애틀랜타 연준의 라파엘 보스틱 총재가 지난달 28일 밝혔다. 보스틱 총재는 하버드대 주최의 온라인 행사에서 연설을 통해 3월 15~16일 열리는 통화정책결정회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금리를 0.5%p 올려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지금부터 FOMC가 열리기 전까지 약 2주 동안 나오는 지표들이 높은 인플레이션을 지속할 경우 예상보다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3월 회의에서 금리 (인상)폭을 25베이시스포인트(bp, 1bp=0.01%p)로 하는 것을 여전히 선호하지만 주단위로 상황이 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히 예의주시하는 한 가지 데이터는 전월 대비 인플레이션의 변화”라고 그는 설명했다. 이어 보스틱 총재는 “데이터가 높은 수준을 지속하거나 심지어 다른 방향(상방)으로 더 움직이면 3월 (금리 인상폭) 50bp로 더 기울 것”이라며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지켜볼 것”이라고 덧붙였다.브리프 비축유 방출 방출 합의 비상 비축유 금리 인상폭
2022.03.01. 17:55
유가가 치솟는 가운데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르면 오늘(23일) 비축유 방출 방침을 밝힐 예정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22일 보도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23일 인플레이션 등 경제와 관련한 연설을 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블룸버그는 바이든 대통령의 비축유 방출 발표는 한국과 인도, 일본과 함께 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현재 상황은 유동적이고 계획이 변동될 수 있지만, 미국은 3500만 배럴 이상의 방출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백악관은 비축유 방출에 대해 결정된 게 없으며, 미국은 다른 나라들과 접촉하고 있고 유가 억제를 위한 다양한 옵션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의 비축유 카드는 코로나19 대유행 국면에서 경제회복 저해 요소인 유가 상승을 억제하라는 압박에 따른 것이다. 앞서 연방 정부는 국제 유가 억제를 위해 한국과 중국, 인도, 일본 등 주요 석유 소비국에 비축유 방출을 요청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조치가 비석유수출국기구(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 국가들이 미국의 증산 요구를 거부한 상황에서 유가를 억제하려는 주요 석유 소비국들에 의한 전례 없는 노력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비축유 방출 비축유 방출 비축유 카드 오늘 비축유
2021.11.22. 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