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을 트렌드라 하지 마라. 음악 장르의 범주를 넘어섰다. 대중 속으로 파고들어 글로벌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젊은 세대에게 K팝은 문화적 아이콘이다. 26일(내일)부터 사흘간 LA에서는 K팝 최대 축제인 케이콘(KCON)이 열린다. 거대 이벤트를 통해서만 이러한 열기를 느낄 수 있는 게 아니다.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 할리우드에서조차 K팝이 흐르고 있다. 지난 18일 본지는 K팝에 모두가 미쳐있는 현장을 찾아갔다. 할리우드에서는 지금 ‘서울’이 구현되고 있다. “다 꼼짝마라, 다 꼼짝마” 빅뱅의 노래(뱅뱅뱅) 가사다. 한인도 아닌 타인종들이 목청껏 한글 가사를 따라 부르고 있다. 18일 오후 11시, 이곳은 할리우드 불러바드 한복판에 있는 클럽 ‘아카데미 LA’다. 세계적 음악 잡지 ‘디제이매그’가 선정한 전 세계 클럽 24위에 오를 정도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은 지금 발 디딜 틈이 없다. ‘일렉트릭 서울(ELECTRIK SEOUL)’ 이벤트가 열리기 때문이다. 소주가 보드카를 대신하는 이벤트다. 디제이가 밤새 전자음악(EDM)을 뒤섞은 K팝만 튼다. 그야말로 할리우드 속 서울인 셈이다. 이 클럽의 보안요원 닉은 “클럽 오픈 한 시간 만에 이렇게 사람이 가득 차는 경우를 거의 본 적이 없다”며 “보통 자정을 넘어야 가득 차는데, 유명 디제이가 오지 않는 목요일 행사인데도 이렇게 사람이 몰려드는 게 믿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클럽 측에 따르면 이미 1000여명 정도가 클럽에 입장했다. 클럽 밖엔 입장을 원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긴 줄을 이루고 있다. 클럽 직원들이 나와 티켓이 매진되어 더는 입장이 불가하다고 알리고 있다. 클럽 내부에서는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오는 K팝이 쩌렁쩌렁 울리고 있다. 1층의 천장과 벽 등을 둘러싼 LED 대형 스크린에는 온통 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가 흘러나온다. 백인, 히스패닉, 아시안 할 것 없이 모두가 형형색색의 야광봉을 흔들고 있다. 바텐더들은 야쿠르트와 버블티를 섞은 칵테일을 쉴 새 없이 만들고 있다. 갑자기 환호가 더 커진다. 블랙핑크의 곡(핑크베놈)이 흘러나오자 난리가 났다. 곳곳에서는 떼창을 하고 심지어 블랙핑크의 안무까지 그대로 따라 한다. 이곳이 할리우드라고는 도저히 믿기지 않는다. 서울 속 이태원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다. 일렉트릭 서울은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 5월2일(아카데미 LA)과 6월13일(아발론 할리우드) 등 할리우드 지역 클럽에서 진행됐던 이벤트에도 매번 1000명 이상씩 몰려들었다. 이날 외주를 받아 영상 촬영을 한 조나(TFTI 이벤트사)는 “한인 위주의 행사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다양한 인종이 참석해서 너무 놀랍다”고 말했다. 2층으로 향했다. ‘네 컷 사진’을 찍으려는 사람들이 가득하다. 네 컷 사진은 최근 SNS와 한국 내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셀프 사진 방식이다. 사진을 찍기 위해 줄을 선 웨슬리(28)는 “평소 K팝뿐 아니라 한국 인디 밴드 음악까지 즐겨 듣는다”며 “최근 관광차 한국을 방문했는데, 한국 문화, 음식, 사람들 다 너무 좋았다”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아이돌 포토 카드도 무료로 나눠주고 있다. 아이돌 카드를 집어 든 히스패닉계 에딧(24)은 “노래가 좋고 음료가 특별해, 세 번의 행사에 모두 참여했다”며 “평소 한국 드라마도 즐겨 보고, LA한인타운의 한식당도 자주 간다”고 말했다. LA에서만 오는 게 아니다. 아시아계 레아(48)는 “일렉트릭 서울 때문에 라스베이거스에서 왔다”며 “막걸리랑 소주가 집에 쌓여 있고, 조만간 한국도 방문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일렉트릭 서울’ 중심에는 한인이 있다. 전국적으로 다양한 음악 페스티벌과 클럽 등에서 이벤트를 개최하는 주류 회사 인섬니악(Insomniac)에서 크리에이티브 디자인 매니저로 활동하는 이승훈(25)씨가 일렉트릭 서울의 총괄 프로듀서다. 그는 인섬니악에서 일하는 유일한 한인이다. 본래 EDM 페스티벌을 주로 기획하는 인섬니악이 K팝 이벤트를 기획한다는 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이 프로듀서는 “K팝의 수요를 인지하고 이에 부응하는 재미난 행사를 기획하기 위해 회사에 EDM과 결합한 이벤트를 제안했었다”며 “K팝은 단순히 음악 장르를 넘어 하나의 큰 움직임이 됐는데 중독적인 가사와 멜로디에 EDM의 에너지까지 더해지면서 시너지가 어마어마하다”고 말했다. 실제 K팝의 열기는 한국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최근 ‘2023년도 4분기 외래 관광객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외국인 관광객들은 한국 여행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로 K팝과 같은 ‘한류 콘텐츠(31.9%)’를 가장 많이 꼽았다. 한인 2세 디제이 벤저민 이(31)씨는 “음악뿐 아니라 영화 기생충과 드라마 오징어 게임 등 최근 수년간 한국 문화들이 대중 속으로 파고들었다”며 “한국의 콘텐츠는 이제 세계적인 수준”이라고 말했다. 일렉트릭 서울은 계속된다. 네 번째 이벤트는 내달 9일 샌디에이고 지역 유명 클럽인 블룸에서 진행된다. 이어 22일에는 LA지역 익스체인지 LA에서도 다섯 번째 이벤트가 열린다. 미국에서 서울을 느낀다. 그 중심에 K팝이 흐른다. 할리우드=정윤재 기자 [email protected]할리우드 K팝 케이팝 일렉트릭 서울 LA 로스앤젤레스 미주중앙일보 인섬니악 ELECTRIK SEOUL 이승훈 빅뱅 네컷 사진 방탄소년단 BTS 블랙핑크 KPOP
2024.07.24. 20:51
지금은 ‘병역법’에 통폐합된 ‘병역의무특례규제에 관한 법’, 일명 ‘병특법’이 처음 제정된 건 1973년이다. 법 1조에 나오듯 ‘군 소요 인원의 충원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국가 발전에 필요한 인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만든 법이다. 국가 발전에 필요한 인력을 ▶한국과학원(현 카이스트) 학생 ▶군수산업 종사자 ▶기간산업체 종사자, 그리고 학술·예술·체능의 특기를 가진 자로 정했다. 기술·재능을 가진 젊은이를 해당 분야에서 활용하려고 ‘군대를 빼주는’ 법이다. 당시 우리가 가진 자원이라고는 인력자원이 전부였다. 제정 당시 군복무 기간은 33개월(육군). 정말 ‘군대 3년’이던 시절이다. 국가 발전이라는 ‘목적’을 위해 병역특례라는 ‘수단’을 쓴 거다.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9월 개막 예정이던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연기됐다. 뒤따라 나오는 관심사는 온통 선수, 특히 축구·야구선수 병역 면제 차질 얘기다. 두 종목이 특히 주목받는 건 연령 제한 때문이다. 아시안게임의 경우 축구는 올림픽처럼 23세 이하, 야구는 24세 또는 프로 3년 차 이하 선수만 출전한다. 야구는 지난해 KBO가 그렇게 정했다.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올해 열렸다면 출전했을 일부 선수가 내년에는 출전할 수 없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때도 관심은 온통 손흥민의 금메달 획득 여부에만 쏠렸다. 1992년생 손흥민이 더는 입대를 미룰 수 없는 시점이었기 때문이다. 최근 방탄소년단(BTS) 뉴스는 온통 군대 얘기뿐이다. 문화체육관광부까지 발 벗고 나서 “(BTS가) 병역 의무 이행으로 인해 활동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 이는 분명한 국가적 손실로 이어질 것”(지난 4일 황희 전 문체부 장관)이라고 총대를 멨다. BTS 소속사 하이브 역시 대놓고는 아니지만 이 문제를 공론화하는 분위기다. 병역 문제에서 대중예술이 순수예술(클래식·발레·무용·국악 등)에 비해 차별받는다는 점을 부각하고 있다. 그 전부터도 BTS 군대 얘기가 있었는데, 멤버 맏형인 1992년생 진(김석진)이 더는 병역을 미룰 수 없게 된 게 논의를 촉발했다. 현재 병역법 2조 10의 3항은 ‘예술·체육요원이란 예술·체육 분야의 특기를 가진 사람으로서 문화창달과 국위선양을 위한 예술·체육 분야의 업무에 복무하는 사람’으로 규정한다. 자격 기준과 복무 형식은 시행령과 규칙으로 정하는데, 어디에서도 법의 ‘목적’은 찾을 수 없다. 사실상 이들에게 병역 면제 혜택을 주는 ‘수단’으로 전락한 형국이다. 요즘 군복무 기간은 18개월(육군 기준). 군 복무로 인한 경력 단절을 말하기에 긴 시간도 아니다. ‘병특법’이 처음 생긴 50년 전과 비교해 모든 게 변했다. 더는 예술·체육요원의 군 복무가 그들의 업적보다 더 큰 관심사여선 안 된다. 병역법, 이번에는 꼭 고치자. 장혜수 / 한국 중앙일보 콘텐트제작에디터J네트워크 방탄소년단 병역법 현재 병역법 야구선수 병역 최근 방탄소년단
2022.05.19. 19:06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미 3대 음악 시상식 중 하나인 ‘빌보드 뮤직 어워즈’(BBMA)에서 3관왕에 오르며 6년 연속 수상 기록을 세웠다. 음악 매체 빌보드는 15일 BTS가 ‘톱 듀오/그룹’, ‘톱 송 세일즈 아티스트’, ‘톱 셀링 송’ 등 3관왕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빌보드 뮤직 어워즈는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그래미 어워즈와 더불어 미 대중음악계 3대 시상식으로 꼽히는 상으로, 빌보드 차트에 기반해 시상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시상식에는 지난해 4월 10일부터 올해 3월 26일까지 차트가 반영됐다. BTS는 2017년 ‘톱 소셜 아티스트’ 부문을 수상한 이래 지난해까지 5년 연속 수상에 성공하는 등 이 시상식과 인연이 깊다. 지난해에는 후보에 오른 부문 모두 휩쓸며 4관왕에 오른 바 있다.방탄소년단 빌보드 방탄소년단 빌보드 빌보드 뮤직 그래미 어워즈
2022.05.15. 19:44
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 인 라스베이거스(Permission To Dance On Stage in Las Vegas)가 8일 콘서트를 시작으로 9일, 15일, 16일 등 총 4일간 개최된다. 콘서트에 맞춰 라스베이거스 곳곳도 BTS를 테마로 한 이벤트가 한창이다. 사진은 콘서트 기간 중 BTS 메뉴를 판메하는 만달레이 베이 호텔내 레스토랑 카페 인 더 시티의 모습. 라스베이거스 이균범 기자 이균범 기자사설 방탄소년단 라스베이거스 이균범 라스베이거스 곳곳 콘서트 기간
2022.04.08. 21:02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그래미 어워즈 무대에서 3년 연속 공연을 펼친다. 그래미상을 주관하는 미국 레코딩아카데미는 다음 달 3일 열리는 제64회 시상식에서 공연할 아티스트 명단을 15일 발표했다. 이 명단에는 BTS를 비롯해 올리비아 로드리고, 빌리 아일리시, 릴 나스 엑스 등 팝스타들이 이름을 올렸다. 이로써 BTS는 2020년부터 3년 연속으로 그래미 시상식에서 공연을 펼치게 됐다. 제64회 시상식은 내달 3일 라스베이거스 MGM 그랜드 가든 아레나에서 열리며 오후 5시부터 CBS 방송을 통해 생중계된다.방탄소년단 그래미 그래미 시상식 그룹 방탄소년단 그래미 어워즈
2022.03.15. 19:11
그룹 방탄소년단이 오는 4월 8∼9일과 15∼16일 라스베이거스 얼리전트 스타디움에서 대면 콘서트 ‘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 - 라스베이거스’를 연다고 소속사 빅히트뮤직이 23일 밝혔다. 이번 공연은 지난해 11∼12월 21만명 이상(공연장 입장 관객 기준)을 동원한 LA콘서트 이후 약 4개월 만의 미국 콘서트다. 이번 공연 역시 티켓을 구하지 못하는 아미(방탄소년단 팬)를 위해 공연장 인근 MGM 그랜드 가든 아레나에서 대형 스크린을 통해 실시간 생중계도 이뤄진다. 특히 마지막 날인 4월 16일 공연은 온라인으로도 생중계된다. 방탄소년단은 콘서트에 앞서 4월 3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시상식이 열리는 그래미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후보로 올라 있다.라스베이거스 방탄소년단 4차례 라스베이거스 그룹 방탄소년단 la콘서트 이후
2022.02.22. 19:30
17일 방탄소년단(BTS)이 2년 만에 대면 콘서트를 개최하기 위해 LA에 도착했다. BTS가 공항을 빠져 나갔다는 소식을 듣고 팬들이 입국장 밖으로 나와서 행방을 찾고 있다. 일부 팬들은 응원도구인 아미봉을 흔들며 "보라해 BTS"(We purple you, BTS)라고 외쳤다. '보라해'는 BTS와 팬들 사이에서 '사랑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말이다. BTS는 이달 27∼28일과 다음 달 1∼2일 LA 소파이 스타디움에서 콘서트를 연다. [연합뉴스] BTS 방탄소년단 도착 방탄소년단 la we purple
2021.11.17. 14:44
김상진 기자방탄소년단 방탄소년단 열기 방탄소년단 공연
2021.11.11. 2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