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중국읽기] 시진핑 방한의 한가지 해법

나라의 사귐은 국민의 친함에 있다(國之交在於民相親). 맞는 말이지만 현실은 꼭 그렇지도 않다. 중국의 경우 지도자 눈치가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국민의 친함’에 앞서 ‘지도자 간 친함(領導相親)’이 선행돼야 한다. 지도자 우의는 어떻게 다지나. 교류부터 해야 한다. 가장 좋은 건 상호 방문의 정상외교다. 이를 한·중 관계에 대입하면 윤석열 대통령이 방중하거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국을 찾는 것이다.   누가 먼저 가야 하나. 2013년 박근혜 대통령 방중에 이어 2014년엔 시 주석이 한국을 찾았다. 이후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과 2019년 두 차례 중국을 방문했다. 이젠 시 주석이 올 차례다. 한데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면 한국부터 찾겠다는 시 주석의 방한 계획은 감감한 상태다. 코로나는 핑계일 뿐 사드(THAAD) 사태 이후 양국 관계가 바닥이 어딘지 모를 정도로 추락하며 분위기가 뜨지 않는 게 진짜 이유일 거다.   그렇다고 윤 대통령이 먼저 중국을 찾는 것도 국내 정서상 쉬운 문제가 아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 우리 정부가 연내 개최를 목표로 추진 중인 한·중·일 3국 정상회의가 돌파구가 될 수 있겠다. 2008년 시작된 3국 정상회담은 2018년 일본, 2019년 중국에서 열린 뒤 한·일 관계 악화와 코로나 사태 등으로 중단됐다. 올해 연다면 의장국은 한국으로 중·일 정상이 와야 한다. 이제까지 중국에선 총리가 참석해 리창 총리의 방한이 유력하다.   그러나 리창 대신 시진핑 주석이 참가해도 무방할 것이다. 시 주석은 관례에 연연해 하지 않는다. 과거 영국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리커창 총리의 초청으로 중국에 왔을 때 리 총리를 대신해 주로 캐머런을 상대한 건 시 주석이었다. 시 주석 입장에선 3국 정상회의 참석을 이유로 한국을 찾는 모양새가 나쁘지 않고 한국은 어쨌거나 중국 정상의 방한이 이뤄졌으니 다음 윤 대통령의 방중 일정을 잡기 편하다. 그렇게 정상간 왕래가 잦아져야 더 나빠질 것도 없는 한·중 관계가 풀릴 것이다.   일본은 리창의 방일을 먼저 성사한 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중국을 찾아 시 주석을 만나는 일정을 추진하는 모양새다. 우리로선 한덕수 총리가 먼저 방중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 같다. 경제 살리기에 나선 리창 총리와 한·중 경제협력을 다지는 한편 시 주석의 방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정부가 추진하는 3국 정상회의 개최가 속도를 낼 필요가 있겠다. 유상철 / 한국 중앙일보 중국연구소장·차이나랩 대표중국읽기 시진핑 방한 방한 분위기 방한 계획 정상회의 참석

2023.04.10. 21:08

존 오소프 상원의원, 내주 경제 사절단과 방한

존 오소프 연방 상원의원이 2021년에 이어 다음 주 두 번째 방한 계획을 발표했다.   오소프 의원은 26일 지역 정치인들과 함께 애틀랜타 중앙장로교회(담임목사 한병철) 예배에 참석하여 4월 첫째 주 경제 사절단을 이끌고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조정 중이라고 전했다.     오소프 의원은 예배 전 한병철 담임목사의 통역과 함께 "상원의원으로 당선되고 처음으로 방문한 국가가 한국"이라며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은 특별한 해에 다시 한번 한국을 방문하게 됐다고 이 자리에서 처음 밝힌다"고 말했다.     오소프 의원은 이어 첫 경제사절단 방문 이래 한국과 조지아 사이에 많은 경제 협력 프로젝트가 있었다며 한화큐셀 투자유치, 사바나 현대자동차 메타플랜트 기공식 등을 언급했다.     의원실에 따르면 이번 방한은 양국 간 경제 및 안보 관계 강화를 목적으로 하며, 오소프 의원은 한국 정·재계 인사들과 만나 한미 관계와 더불어 한국과 조지아간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할 예정이다.     4월 26일로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 계획에 대해 오소프 의원이 백악관에 서한을 보내 윤 대통령의 국빈방문 초청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오소프 의원은 2021년 한국을 방문하여 최태원 SK 회장, 당시 윤석열, 이재명 대선후보 등과 면담했다. 윤지아 기자방한 방한 계획 경제사절단 방문 이번 방한

2023.03.27. 16:0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