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과열 보조 배터리 110만개 리콜…화재·폭발 피해 보고 19건

  과열로 인한 화재 및 화상 위험이 제기된 리튬이온 배터리 110만여 개가 리콜된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발화로 인한 화상 가능성이 있는 앵커의 보조배터리 ‘파워코어 10000(사진)’ 약 115만8000개를 전량 회수한다고 지난주 밝혔다.   리콜 대상은 해당 배터리 제품 중 모델 번호가 A1263인 제품이다. 제품 전면에는 브랜드명이 새겨져 있고, 하단에는 모델 번호와 ‘SN’으로 시작하는 시리얼넘버가 표시돼 있다. 이번 리콜은 제품 내 리튬이온 배터리가 과열되어 화재나 폭발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는 보고에 따른 것이다.     CPSC는 지금까지 총 19건의 화재 및 폭발 사고가 보고됐으며, 이 중 2건은 경미한 화상 피해, 11건은 총 6만700달러 상당의 재산 피해를 남겼다. 리콜 제품은 지난 2016년 6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앵커 공식 웹사이트, 아마존, 뉴에그, 이베이 등 온라인 판매처를 통해 약 27달러에 판매됐다.   CPSC는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은 즉시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업체에 무료 교환 신청할 것을 당부했다.     교환을 위해서는 제품에 ‘recalled’라는 문구와 이름, 날짜를 적은 뒤 제품에 모델 번호와 일련번호가 보이도록 사진을 찍어 제출해야 한다.   한편 리튬 이온 배터리는 화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반드시 지역 폐기물 처리소 등에 폐기 여부를 문의한 후 관련 규정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웹사이트(anker.com/product-recall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훈식 기자아마존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리콜 제품 과열 보조

2025.06.16. 20:43

썸네일

배터리, 위탁수하물 안된다…기내용 가방에 넣어 반입 가능

연방 정부가 항공기 안전관리 목적으로 리튬 배터리 장착 전자기기 휴대 및 수하물 규정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배터리는 휴대수하물로만 기내에 반입이 가능하게 돼 한인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연방교통안전청(TSA)과 연방항공청(FAA)은 공항을 이용하는 이들에게 관련 규정 숙지를 당부했다.     최근 FAA는 웹사이트에 항공기 이용객 대상 리튬(이온) 배터리 관리 규정을 새롭게 발표했다. TSA도 FAA 발표에 따라 공항 탑승검색대 이용객을 대상으로 소지품 확인 작업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기내 반입품 휴대 규정 강화 조처는 기내 화재 예방을 위함이다. 최근 한국 등 항공기 운항 과정에서 승객이 소지한 전자기기 발열 및 불꽃 현상으로 항공기 화재가 발생하는 등 우려가 커지면서 이에 대한 규정이 강화된 것이다.     우선 리튬 배터리가 들어가는 전자기기는 전과 달리 위탁수하물(checked luggage)로 보낼 수 없다. TSA에 따르면 ‘휴대용 충전기, 셀폰 배터리 케이스, 리튬 보조 배터리’ 등은 위탁수하물로 부치면 안 된다.       TSA 측은 “해당 기기는 반드시 기내용 가방(carry-on bags)에 넣은 뒤 공항 탑승검색대를 통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표 참조〉     항공기 반입 허용 기준은 일회용 리튬 배터리당 리튬 함유량 2그램(g) 이하다. 충전용 리튬 이온 배터리는 개별 배터리당 충전용량 100와트시(Wh)이하다. 리튬 배터리 리튬 함유 2~8g, 충전용 리튬 이온 배터리 충전용량 101~160와트시 이상(최대 2개 허용) 소지자는 사전에 항공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는 ‘카메라, 셀폰, 랩톱, 태블릿, 전자시계, 계산기, 전자담배(펜형 포함)’ 등도 기내용 가방으로만 반입이 가능하다.     TSA 측은 “만약 항공기 이용 승객의 위탁수하물에서 해당 품목이 발견될 경우 탑승검색대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추가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 과정에서도 해당 품목은 압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FAA는 리튬 배터리를 소지한 항공기 이용객은 사전에 안전확인 검사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FAA에 따르면 리튬 배터리는 ‘과충전, 과열, 외부충격, 수분접촉’ 시 쉽게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이 일어난다. 때문에 위탁수하물로 운반 시 자칫 큰 화재가 날 수 있다. 열폭주 현상을 목격할 경우 곧바로 기내 항공사 직원에게 알려야 한다. FAA 측은 리튬 배터리를 기내용 가방에 넣을 때도 보호케이스 등을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한편 TSA는 기내반입 제한 및 금지 품목 494종을 웹사이트로(tsa.gov/travel/security-screening/whatcanibring/all) 안내하고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항공기 배터리 리튬 배터리 항공기 리튬 항공기 이용객

2025.06.04. 20:54

썸네일

OC남부 배터리 저장소 건립 논란

오렌지카운티 남부 샌후안캐피스트라노의 새들백 칼리지 인근 부지에 리튬 배터리 저장 공장을 짓는 안을 두고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가주에너지위원회가 지난달 29일 캐피스트라노통합교육구 이사회장에서 개최한 공청회에서 수십 명의 주민은 화재, 환경에 미칠 악영향 등을 이유로 들며, 공장 건립 반대 발언을 쏟아냈다.   10시간여 동안 진행된 이 날 회의에선 컴퍼스 에너지 스토리지가 가주에너지위원회에 제출한 250㎿ 규모 배터리 저장 공장 건립 신청서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보이스오브OC의 2일 보도에 따르면 컴퍼스 측 대표자들은 화재 위험성이 매우 낮고 만약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불길이 해당 지역에 머물며, 주위로 확산하지 않도록 설계된다고 밝혔다.   공장 건립안 마련에 화재 예방 컨설턴트로 참여한 크리스천 응 엔지니어는 컴퍼스의 공장은 실내가 아닌, 야외의 컨테이너 유닛 형태이며,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피해가 해당 유닛으로 제한된다고 설명했다.   건립에 반대하는 이들은 공장이 들어설 13에이커 부지가 샌후안캐피스트라노와 라구나니겔의 접경 지역 주택가, 학교, 산불 발생 위험 지역과 너무 가깝다고 지적했다.   트로이 본 샌후안캐피스트라노 시장은 “컴퍼스 측이 공장 화재 가능성이 1%라고 밝혔으며, 자신은 그 말이 사실이라고 믿는다”면서도 현재 공장 부지는 인근 지류의 침식과 안정성 문제에 더해 사태 우려도 있기 때문에 반대한다고 발언했다. 레이 제네웨이 라구나니겔 시장도 공장 부지가 시 주택가와 너무 가깝다고 지적했다.   카트리나 폴리 OC수퍼바이저, 다이앤 딕슨, 로리 데이비스 가주하원의원은 반대했다. 마이크 레빈 연방하원의원은 지난달 27일 가주에너지위원회에 보낸 서한에서 부지가 주택 단지, 트라뷰코 크릭, 5번 프리웨이에 가깝고 어떤 형태의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주민에게 큰 영향을 줄 것이라며 공장 건립 불허를 요청했다.   올해 초, 몬터레이 카운티에선 배터리 저장 공장에 불이 나 약 1500명의 주민이 대피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두통과 기침 등의 증세를 호소한 바 있다. 샌디에이고 카운티에선 지난 2년간 3곳의 저장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가주에너지위원회는 주민 의견을 더 수렴한 후 공장 건립 승인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임상환 기자배터리 저장소 공장 건립안 리튬 배터리 규모 배터리

2025.06.03. 20:00

화재 위험 보조 배터리 대량 리콜…케이슬리 파워포드 43만개

아마존 등 온라인에서 판매된 무선 휴대용 보조 배터리 약 43만 개가 화재 및 화상 위험으로 리콜됐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케이슬리의 ‘파워포드 5000mAh’ 무선 휴대용 충전기(사진) 42만9200개를 리콜한다고 지난 17일 발표했다.     리콜 대상은 제품 뒷면의 모델 번호가 ‘E33A’인 제품으로, 앞면 우측 플레이트에 브랜드명인 케이슬리가 음각돼 있다. 제품은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출시됐다.   이번 리콜은 해당 제품에 내장된 리튬이온 배터리가 과열돼 충전 중 팽창하거나 불이 붙는 경우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CPSC에 따르면 지금까지 총 51건의 과열 또는 발화 사례가 접수됐고, 이 중 6건에서는 경미한 화상 피해가 보고됐다.   해당 제품은 지난 2022년 3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케이슬리 공식 웹사이트, 아마존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 30달러에서 70달러 사이에 판매됐다.   업체는 즉시 해당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무료로 교환을 신청할 것을 당부했다.     교환을 원하는 구매자는 제품 앞면에 “Recalled”라는 문구와 날짜를 유성 마커로 기입한 사진과 뒷면 모델명이 보이도록 찍은 사진을 준비해 공식 리콜 페이지(getcasely.com/pages/2025-recall)에 업로드하면 된다. 구매 영수증은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CPSC는 해당 배터리를 일반 쓰레기나 재활용 쓰레기통에 버리지 말고, 지역 유해 폐기물 수거소 또는 지역 정부 폐기 지침에 따라 안전하게 폐기할 것을 권고했다. 우훈식 기자파워포드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공식 리콜 해당 배터리

2025.04.20. 19:00

썸네일

뉴욕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화재 급증

뉴욕시에서 전기 자전거와 전기 스쿠터 배터리 화재가 심각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뉴욕시 소방국(FDNY)에 따르면, 2025년 4월 현재까지 리튬 이온 배터리로 인한 건물 화재는 총 40건 발생해, 작년 같은 기간의 26건보다 53% 증가했다.   건물 외부에서 발생한 전기 자전거 화재는 지난해 25건에서 올해 19건으로 감소했지만, 실내 화재는 오히려 크게 늘었다.     FDNY는 “충전 여부와 상관없이, 배터리는 언제든 폭발할 수 있다”며 실내 충전이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배터리 화재는 2019년엔 단 13건에 불과했으나 이듬해 44건으로 3배 이상으로 늘어난 후, 해마다 급증하는 추세다.     폭발 원인 대부분은 인증되지 않은 저가 배터리 때문이다.     온라인이나 일부 스쿠터 매장에서는 비공식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배달 종사자들이 백업용으로 구입하는 사례가 많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가 늘어나면서, FDNY는 전기 자전거 및 전기 스쿠터 소유자들에게 공장에 설치된 배터리만 사용하고, 밤샘 충전을 금하며, 가능하면 자전거를 실외에 두도록 장려하는 공익 광고 캠페인 ‘Take It Outside(밖에서 충전하세요)’을 대대적으로 시작했다.     또한 시 의원들에게 인증되지 않은 리튬 이온 배터리 판매를 불법화하는 법안을 마련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전기 자전거 매장에 대한 검사도 강화하고 있다. 서만교 기자 [email protected]리튬이온 배터리 배터리 화재 뉴욕시 리튬이온 폭발 화재

2025.04.03. 22:04

전기차 배터리로 가정 전력 공급…기아 EV9 양방향 충전기 출시

기아가 플래그십 전기 SUV EV9용 가정 전력 공급 기술(V2H) 양방향 충전 시스템을 출시했다.   기아는 지난 4일 EV9 구매자 와 리스 계약자를 대상으로 가정 전력 공급 기능을 지원하는 양방향 충전기인 월박스의 퀘이사 2 사전 주문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주문은 한정된 초기 물량으로 재고 소진 시까지 선착순이다.   양방향 충전은 전기차 충전 시 배터리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전기의 흐름을 역전시켜 다시 전력을 집 또는 다른 전기차로 보낼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이 기술은 악천후 또는 재난으로 정전 발생 시 차량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설정을 통해 전기차 충전 시 요금이 비싼 피크 시간대에 차 배터리의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고, 전기가 저렴한 시간대에 자동차를 충전해 에너지 요금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EV9과 호환되는 퀘이사 2는 최대 12kW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방전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하고 전력 복구 장치도 포함되어 있다. 가격은 세금 및 설치비를 제외하고 6440달러다.   주문은 월박스 홈페이지(wallbox.com)에서 할 수 있다. 우훈식 기자전기차 배터리 양방향 충전기 전기차 배터리 전력 공급

2025.03.05. 0:44

썸네일

LG 엔솔 등 배터리 기업 피소…주민들 "저장소 화재로 피해"

LG에너지솔루션 등 배터리 관련 기업들이 피소됐다. 지난달 중가주에서 발생한 대규모 리튬이온 배터리 저장 시설 화재가 지역 사회에 피해를 입혔다는 이유다.   7일 LA타임스에 따르면, 몬터레이 카운티 주민 4명은 지난 1월 16일 이 지역의 모스랜딩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설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피해를 봤다며 리튬이온 배터리를 설치한 LG에너지솔루션, 저장 시설 소유 업체 비스트라 에너지, PG&E 등을 상대로 지난 6일 소송을 제기했다.   피해 주민들은 저장 시설에서 발생한 화재로 피부, 눈, 호흡기 자극 피해를 호소했다. 소송을 제기한 주민들은 저장 시설의 운영 및 관리를 맡은 업체가 화재 방지 시스템을 제대로 유지하지 않았고, 안전 규정도 준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보도에 따르면 해당 화재로 저장 시설 1마일 이내 토양에서 중금속이 정상 수준보다 100~1000배까지 높게 측정됐다.   소송과 관련해 PG&E 대변인은 “모스랜딩 에너지 저장 시설은 PG&E 변전소와 인접해 있지만, 벽으로 구분돼 별개로 운영된다. PG&E 직원들은 배터리 화재를 감지하고 긴급 대응 절차에 나섰다”고 밝혔다. 반면, LA타임스는 LG에너지솔루션 측이 소송과 관련한 논평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전국 최대 규모로 알려진 모스랜딩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설에서는 지난 2019년 이후 총 4차례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달 발생한 화재는 리튬이온 배터리 저장소 내부에서 화재 진압 시스템이 고장 나면서 비롯됐다.   모스랜딩 에너지 저장 시설은 몬터레이시 해안에서 18마일 떨어진 곳에 있다. 이번에 발생한 화재는 나흘 동안 계속됐고, 거대한 화염 속에 유독가스 등이 방출됐다. 당시 소방당국은 안전을 우려해 1200명 이상의 주민에게 대피령을 내리기도 했다. 김형재 기자LG 배터리 배터리 화재 모스랜딩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캘리포니아뉴스 미국뉴스 LA뉴스 미국 남가주 미주중앙일보 LA중앙일보 한인사회 미국 한인

2025.02.11. 21:43

산불 꺼졌지만…배터리·유해물질 처리 '난제'

산불은 대부분 꺼졌지만, 복구 작업은 쉽지 않다.   최근 발생한 대형 산불로 전기차 등이 불에 타면서 폭발 위험이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수거 및 처리 작업이 진행중인 가운데, 유해물질 처리장 위치를 둘러싼 갈등도 커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FOX에 따르면 환경보호청(이하 EPA)은 현재 화재로 소실된 차량과 주택에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1단계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EPA 측은 “리튬이온 배터리는 극도로 위험한 물질”이라며 “내부 손상이 있을 경우 자발적으로 재발화하거나 폭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EPA 현장 지휘관 스티브 칼라녹은 “이처럼 많은 전기차가 산불로 인해 불에 탄 것은 전례 없는 일”이라며 “배터리 처리는 고도의 기술과 신중함이 필요한 작업”이라고 밝혔다.   LA 카운티에서는 지난해 9만 9000대 이상의 전기차가 판매됐다. 가주 에너지위원회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 Y, 모델 3, 사이버트럭 등이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 모델이다. 전문가들은 화재로 손상된 배터리가 수 주 또는 수개월 후에도 발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한다.   문제는 배터리뿐만이 아니다. 수거된 유해물질을 어느 지역에 보관하고 처리할 것인지를 두고도 논란이 커지고 있다. EPA는 말리부와 퍼시픽 팰리세이즈 인근에 임시 유해물질 처리장을 설치할 계획이지만, 지역 주민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EPA는 퍼시픽 코스트 하이웨이(PCH) 인근의 주정부 소유 부지를 처리장으로 선정했다. 해당 부지는 5에이커 이상의 면적을 갖추고 있으며, 유해물질 차량들이 쉽게 오갈 수 있도록 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은 유해물질이 해안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우려하며 반대 시위를 준비 중이다.     퍼시픽 팰리세이즈 주민 로빈 크리스천슨은 “바다가 이제 막 회복됐는데 오염 물질이 흘러들어 갈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EPA 측은 “유해물질이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엄격한 안전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현장에서는 방수 포장 및 덮개 설치 작업이 진행 중이며, 일부 구역에는 임시 지붕까지 마련될 예정이다.   한편, 복구 작업은 연방재난관리청(FEMA) 주도로 2단계까지 진행된다.     1단계에서 유해물질 제거가 완료되면 곧바로 잔해 정리 작업이 이어진다. EPA 측은 “복구 작업이 주민들에게 추가적인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기차 배터리 처리 문제, 주민들의 반발, 환경 오염 우려 속에서 복구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정윤재 기자유해물질 배터리 임시 유해물질 유해물질 차량들 가운데 유해물질

2025.02.03. 22:05

썸네일

[Nathan Park 기자의 시사분석] 소듐 이온 배터리

현대 생활에서 빼놓고는 살 수 없는 것을 꼽으라면 단연 배터리가 들어가야 한다. 생활의 필수품이 된 스마트폰과 랩탑, 태블릿 등에도 배터리가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기본적으로 이 기기들은 휴대를 해야 하는데 휴대를 위해서는 배터리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요즘 배터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은 리튬과 이온이다. 그래서 이를 리튬 이온 배터리라고 부른다. 이 배터리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작동하는지 등의 고급 기술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지만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기 때문에 상품성이 있고 전세계에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이 있기 때문에 사용되고 있다고 추측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코발트와 니켈 등이 들어가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도 약점이 있다. 가장 먼저 지적되는 점이 호주와 칠레 등 극히 일부 국가에만 리튬이 매장되어 있고 매장된 자원을 채취해 상품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엄청난 환경 공해를 발생시킨다는 점이라고 한다. 리튬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많은 물이 필요하고 이 물이 다시 자연을 오염시킨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없다. 또 리튬 이온 배터리를 생산하는 시설이 중국에 집중되어 있다보니 원자재를 수송해서 제조하고 이를 또 전세계로 배송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에너지 배출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이런 이유로 최근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것이 소듐 이온 배터리다. 이 배터리는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리튬이 아니라 소듐을 이용해서 배터리를 제작한다. 소듐은 바닷물에서 얻을 수 있다. 리튬 등에 비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수천배나 많고 배터리로 제작하는데 큰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공급이 쉬운 만큼 시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까지 기술적으로 극복해야 하는 장애물도 많다. 가장 큰 장애는 리튬 배터리에 비해 저장할 수 있는 전기량, 에너지량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또 리튬 에너지에 비해 비싸고 어려운 제작 공정으로 인해 보다 싸고 쉽게 만들어야 한다는 점도 넘어야 할 산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앞선 기술을 가진 곳이 시카고대학교 분자 공학 연구소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소는 시카고 다운타운 웨스트 루프에 연구소를 차리고 소듐 이온 배터리의 상품화에 전념하고 있다. 현재는 소듐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안전한 제조 환경을 갖추고 장갑을 낀 채로 물질을 만져야 하는 상태다. 하지만 연구 개발이 끝나면 리튬 배터리에 못지 않는 에너지 저장 용량을 확보하면서 제작 단가를 낮출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연방 정부로부터 6000만달러 이상의 지원금을 받아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상용화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본적으로 리튬 배터리가 현재와 같이 전세계 보급에 이르기까지 걸린 시간은 30년이다. 리튬 배터리의 가격은 같은 기간 동안 99%가 낮아졌고 성능은 5배가 상승할 만큼 기술 개발에 큰 진전이 있었다. 소듐 배터리 개발을 위해서는 이보다 더 빠른 시간내에, 효율적인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과제가 놓여 있는 셈이다. 시간도 많지 않다. 일리노이의 경우 탄소 배출이 없는 에너지 생산을 위해서 데드 라인을 설정해 놓았지만 이를 위한 대체 에너지 개발에는 큰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일부 화석 에너지 발전소의 가동 기한을 연장하기도 했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 등의 친환경 재생 에너지를 현재 보다 더 많이 이용하기 위해서는 소듐 이온 배터리와 같은 저장 장치 개발에 전력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이런 친환경 재생 에너지의 경우 특정한 자연 조건 아래서만 발전이 가능한데 배터리가 없으면 필요할 때 전력 수급을 제 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단점으로 인해 원자력 발전소의 존재 이유가 다시 각광받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원자력 발전이 아직까지 안전하고 완벽한 방사능 폐기물 처리 방법이 없는 것과 같은 분명한 단점이 존재함에도 최근 전기 수요 급증으로 인해 재평가를 받고 있는 것도 이러한 기술 개발과도 관련이 깊다.     현재 전세계에 존재하고 있는 리튬 배터리로는 1테라 바이트의 전기를 저장할 수 있지만 이는 미국이 한 시간에 소비하는 전기량에 불과하다. 만약 공해 배출이 없는 상태에 이르기 위해서는 전세계에 200~300 테라 바이트의 배터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소듐 배터리가 앞으로 더 많은 기술 개발을 해야 하는 이유다.     최근 일리노이 주의회에서는 배터리의 저장 용량을 크게 늘려 전기 수급을 늘려야 한다는 내용의 법안이 제출됐다. 일리노이 정부는 오랜 기간 동안 원자력 발전소의 추가 설치를 전면 중단했다가 최근에는 소형 원자로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2045년까지 화석 연료를 이용한 화력 발전소의 운영을 전면 중단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일리노이 정부가 소형 원자로를 개발하고 용량을 크게 늘린 배터리 보급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다.     배터리 용량을 크게 늘리지 않을 경우 화석과 천연가스를 이용한 발전소가 더 오랫동안 가동될 수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엘진의 화력 발전소가 대표적인 사례다. 천연 가스를 태워 전기를 생산하는 이 발전소는 당초 2025년 폐쇄할 예정이었지만 북일리노이 지역의 전기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내년 전기 요금 인상이 불가피해 지면서 폐쇄 계획을 연기했다. 내년 컴에드 역시 전기 요금 인상을 앞두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소듐 배터리 개발은 일반 주민들의 삶에도 이미 깊게 자리잡고 있다고 봐야 한다. (편집국)     Nathan Park 기자Nathan Park 기자의 시사분석 배터리 소듐 소듐 배터리 리튬 배터리 소듐 이온

2024.12.04. 12:52

썸네일

"빼요, 빼요, 빼요!"…순식간에 폭발한 '중국산 배터리'

 중국 배터리

2024.11.29. 15:55

썸네일

SK배터리가 거액의 합의금 '3100만불' 지불 판결받은 이유...

법률전문가의 SK배터리 거액 합의금 분석   "혐의 관련 모든 증거물 제시 못하면 불리   ..고의 아니어도 허술한 내부 시스템이 문제"   카운티 소송도 걸려있어 손실 더 커질 수도       조지아주 잭슨카운티 법원은 지난달 26일  SK배터리아메리카(SKBA)가 증거자료 보존에 실패했다고 판단, 징벌적 손해배상금을 합쳐 3100만 달러라는 거액의  합의금을 지불하라고 판시했다.     한국의 대기업인 SK온의 현지 법인인 SKBA와 지역 재활용업체인 ‘메트로 사이트’와의 법정 다툼은 사실 체급이 다른 싸움이었다. 그러나 결과는 예상밖이었다. SKBA 측은 폐배터리 무단 투기로 인한 화재 손해배상 1100만 달러, 증거물 파기에 따른 징벌적 배상 2000만 달러를 합쳐 3100만달러를 물어줬다. 〈본지 17일자 A1면 참조〉   이같은  거액의 합의금 배경에는 '디스커버리 제도'가 있다. 원고와 피고 양측이 혐의와 관련된 모든 증거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 자료제출 요구에 불응할 경우 불리한 혐의가 사실인 것으로 간주되거나 법원 기망으로 징벌을 받을 수 있다. 문제는 한국기업이 이 제도를 알았더라도 내부적으로 관련 문서나 증거물을 보관하는 체계를 갖추지 못한 데 있었다.     대기업조차 자료 보관에 허술했기 때문에 가혹한 판결을 자초했다고 법률전문가는 지적한다. 대한변호사협회 법제연구원이자 버지니아·메릴랜드·워싱턴D.C 지역에서 일하는 김원근 변호사는 17일 인터뷰를 통해 "한국에 도입되진 않았지만 일부 한국 기업들이 디스커버리 절차를 활용하기 위해 국외 소송을 제기할 만큼 잘 알려져 있어 SK가 의도적으로 증거를 은폐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다. 실제 SK온은 이날 본지에 "법원은 SKBA가 고의로 증거를 인멸했다는 판결을 내리지 않았다"고 알려왔다.     문제는 고의성 여부를 떠나 경영 자료 보존 절차와 체계를 규정하는 내부 정책이 전무한 데 있다. 김 변호사는 "모든 기업활동은 법적 분쟁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하는데 한국기업은 소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평상시에도 법적 절차에 필요한 경영자료를 상시 보관하도록 직원을 교육하고 적절한 사내 시스템을 갖춰야 하는데 "추후 회사에 불리할 수 있는 자료는 없앤다"는 잘못된 기업 문화가 오히려 불이익을 부른다는 것이다. 재판장이 독점적 권한을 갖는 한국식 재판과 달리, 미국의 사법제도는 이익 당사자의 자유를 최대한 존중하기 때문에 변호인의 자체 증거 조사와 요구가 가능하다. 한국 기업들이 바로 이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것이다.     원고측 변호를 맡은 맥도널드 앤드 코디 로펌 소속 보 헤쳇 조지아주 상원의원은 기자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회사가 소송과 관련된 증거를 삭제하는 것은 일반적 관행이 아니고, 변호사 역시 그같은 조언을 했을 리 없다"면서 "회사 내부 증거 삭제는 사법제도에 도전하는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상대측에 유리한 판결이 내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소송 중 증거 은폐는 이로 인해 촉발된 추가 변호비와 포렌식 전문가 사용료 등을 모두 물어내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 로펌은 SKBA의 폐배터리 화재 관련, 지방정부인 뱅크스 카운티가 제기한 소송도 맡고 있다. 헤쳇 변호사는 "합의로 재판을 끝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추후 SK 손실이 더 커질 수 있는 이유다. 그는 "단지 한 사업체의 손실액뿐 아니라 화재로 인한 지역 커뮤니티의 환경 악영향 등을 자세히 다룰 수 있는 소송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대해 SK측은 "메트로 사이트 시설 재건과 영업 재개에 필요한 너그러운 합의금을 지급했다"며 "지난달 합의 도달 후에도 원고측이 소송에 대한 주장을 이어가는 이유를 알지 못하겠다"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반면 원고 로펌 측은 "합의 조건에는 소송 결과가 기밀로 유지되지 않을 것이라는 단서가 명시돼 있다"며 "유해 폐기물을 책임감 있게 처리하는 것에 대한 옳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배터리 합의금 sk배터리 거액 합의금 배경 폐배터리 무단

2024.10.17. 15:32

썸네일

태양광으로 전기차 공짜 충전한다

충전 이슈로 전기차(EV) 성장세가 주춤한 가운데 주차 중 EV 충전이 가능한 태양광 시스템이 개발돼 화제다.   친환경에너지정보매체 클린테크니카는 청정에너지 솔루션 개발업체 고선(goSun)이 개발한 EV 태양광 충전 시스템이 충전 이슈 해결에 대안을 제시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고선에 따르면 EV 태양광 충전기는 모델, 차종에 상관없이 루프랙만 있으면 성인 2명이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접이식 태양광 패널 시스템으로 하루 30마일을 주행할 수 있는 1200W를 생산할 수 있다.   길이 46.75인치, 너비 48인치, 높이 5인치에 무게 70파운드인 태양광 충전 시스템은 패널을 펼칠 경우 길이 245인치에 너비 48인치로 확장되며 차량 전체를 덮어 실내 온도 상승을 줄이는 그늘 역할도 한다.   패널 수납 케이스 상부에도 충전 패널이 설치돼 주행 중 200W의 전기를 생산하며 리튬이온배터리보다 수명이 길고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팩과 EV 플러그인 충전기가 장착돼 있다.   유선형 수납 케이스는 주행 시 시속 100마일, 주차 중 펼쳤을 경우 풍속 30mph까지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고선 웹사이트를 통해 계약금 100달러에 사전 구매 예약을 할 수 있으며 가격은 2999달러로 현재까지 매출이 450만 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고선은 테양광 자가 충전 시스템으로 공공 충전시설 이용의 불편함을 덜고 전기비 절약은 물론 저속 정기 충전으로 배터리 수명 연장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긴급상황 시 AC, DC, USB 전자기기의 외부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 친환경 인센티브까지 받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및 중국 특허 출원 중인 것으로 알려진 태양광 EV 충전 시스템은 내년부터 사전 구매자들에게 배송될 예정이며 취소 시 계약금은 환불된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gosun.co/pages/ev-solar-charger)에서 찾을 수 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고선 gosun auto news ev 태양광 솔라패널 충전 태양광 충전 자동차 플러그인 배터리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CA US NAKI KoreaDaily

2024.10.09. 8:27

썸네일

강아지가 물어뜯은 휴대전화 배터리에서 불꽃 폭발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한 강아지가 휴대전화 보조 배터리를 물어뜯어 화재를 발생시켰다. 털사 소방서는 지난 5월에 발생한 이 화재의 극적인 장면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에는 강아지가 휴대전화 보조 배터리를 물어뜯는데 배터리에서 갑자기 불꽃을 튀기며 폭발했고, 두 마리의 강아지와 한 마리의 고양이가 달아나는 장면이 포착됐다. 소방서 대변인 앤디 리틀에 따르면, 이 화재로 집은 큰 피해를 입었으나 애완동물들은 개문을 통해 탈출하여 다치지 않았다. 리틀은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를 "미국 전역의 소방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휴대전화 충전에 흔히 사용되며 "작은 공간에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했다. 그는 "하지만 이 에너지가 통제되지 않은 상태로 방출되면 열을 발생시키고, 가연성 및 유독 가스를 발생시키며, 심지어 폭발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극심한 열 노출, 물리적 손상, 과충전, 호환되지 않는 충전 장비 사용 등이 이러한 장치의 화재를 유발할 수 있다. 리틀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어린이와 애완동물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는 등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폐기할 때는 지정된 재활용 센터나 유해 폐기물 수거 지점에 가져가야 하며, 단순히 쓰레기통에 버리면 배터리가 손상되어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 뉴스팀휴대전화 강아지 화재 리튬 이온 배터리

2024.08.07. 15:30

썸네일

뉴욕시 불법 리튬이온 배터리 업주 첫 체포

뉴욕시에서 불법 리튬이온 배터리로 사업하던 업주의 첫 체포 사례가 나왔다.     15일 시 소방국(FDNY)은 기자회견을 통해 브루클린의 전기 자전거 숍에서 용의자 티안 리앙 리우(Tian Liang Liu)를 지난 12일 체포했다고 밝혔다. 리우는 체포 당시 지난 2일 FDNY가 방문한 후 단 한 주를 넘겨 다시 자신을 체포하러 왔다며 이른바 표적수사를 주장했지만, FDNY는 반복적 위반행위가 있어 검거했다고 밝혔다.   주요 혐의는 주거용 아파트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비인증 전기 자전거 숍을 운영했으며, 수차례 적발에도 시정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조사관들은 현장에서 ▶15개의 불법 리튬이온 배터리 ▶불법배터리가 장착된 이바이크 여러 대를 발견했으며, 지난해 9월 조사관들이 매장을 발견한 후 네 번째 적발이다.   지난 3월 시의회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패키지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이에 따라 UL 비인증 배터리를 장착한 이바이크를 포함한 모든 이동 기기의 이용을 금지했다.   앞서 2월엔 FDNY와 셰리프국이 맨해튼 일대의 바이크 숍을 전수조사한 결과 수백개의 비인가 리튬이온 배터리를 발견했고, 수십대의 이바이크 등을 적발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리튬이온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불법 리튬이온 배터리 업주

2024.04.16. 20:54

뉴욕시 리튬 배터리 화재, 전년 동기 대비 20%↑

뉴욕시와 시 소방국(FDNY)이 전기자전거 및 스쿠터 화재 사고의 주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불법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를 방지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사고는 여전한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이 직접 나서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시의회가 패키지 조례안을 무더기 통과시키기도 했지만, 별 효과가 없는 모습이다.   17일 지역매체 고다미스트(Gothamist)가 FDNY 지난해 데이터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사고는 267건으로 전년 동기(216건) 대비 20% 늘어났다. 이보다 앞선 2021년(104건)부터 꾸준한 증가세다. 특히 사망자는 18명으로 2022년(6명) 대비 세 배다. 6월 차이나타운 화재(4명), 11월 스쿠터 화재(3명) 등을 포함한 숫자다.   연방 차원서 전기자전거, 스쿠터 등의 안전 표준을 구체화하는 등 불량 배터리 판매를 더 어렵게 만들었지만, 이들 배터리가 개당 650달러에 달해 전기자전거나 스쿠터로 근무하는 배달노동자 등이 사용하기엔 고가다. 이 때문에 안전 배터리가 자리잡으려면 2025년은 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라이더의 최저임금은 약 18달러에 불과한데, 이들이 자발적으로 고가의 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불법 리튬 이온 배터리 사용은 지난해 9월 들어 법적으로 금지됐지만 온라인상 유통은 여전해 FDNY가 아마존에 판매 금지 요청 서한을 보내야 했다. 이미 지난 10월 초 기준 사고는 208건이 발생해 116명이 부상을 입고 14명이 사망한 상태였다.     시는 지난해 상반기 이같은 사고를 줄이기 위해 패키지 조례안(Int.656A, Int.663A, Int.722A, Int.749A, Int.752A)을 통과시켰지만 안전 캠페인, 폐기 배터리 재조립 및 판매 금지, 이동수단 위험성 고지 교육자료 배포, 공인인증 없는 배터리 판매 및 대여 금지, 이동수단 관련 연간보고서 작성 등 행정적 규제에 그친다.   한편 FDNY는 지침을 통해 배터리에 대해 “자체 발열 상태가 될 수 있다”며 “가스가 방출돼 화재 및 폭발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배터리 뉴욕 배터리 화재 배터리 판매 안전 배터리

2024.01.17. 20:20

[마켓 나우] 순진했던 북미 배터리 시장 전망

지난해 12월 15일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열린 ‘배터리 얼라이언스’ 회의에서 2025년 한국 기업들의 북미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70%로 예상하는 발표가 나왔다. 또한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서 규정된 첨단제조생산 세액공제(AMPC) 제도를 활용해 19조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전해졌다. 이런 장밋빛 전망은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점유율 70%’ 시나리오의 근거는 다음 몇 가지였다. 첫째, IRA는 탈중국이 목적이기에 중국 혹은 중국계 배터리 제조사는 북미 시장 진입이 어려울 것이다. 북미 시장은 한국과 일본의 제조사들이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 북미 기원 제조사는 대부분 실패할 것이다. 셋째, 북미 지역 배터리 생산 설비 중 한국 관계사 비중이 70% 가까이 되는데, 공급 부족 덕분에 생산하는 족족 모두 팔릴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런 근거는 천진난만했다. 2023년은 이런 전제의 비현실성이 드러난 한 해였다. 미국 기업 테슬라의 4680 중대형 원통형 배터리가 2026년 이후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연 100GWh 규모의 생산 설비를 통해 생산될 예정이다.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셀은 IRA 유예 기간을 잘 활용하여 북미 시장에 진입에 성공했다. 이에 더해 파나소닉의 ‘중대형 배터리 사업 집중 선언’은 북미 배터리 전쟁의 긴장도를 더욱 높였다. 대미를 장식한 것은 지난 1일 발표된 해외우려기관(FEOC)의 지침 초안이다. 중국 자본 지분율 25% 이상인 합작사를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하겠다는 지침은 겉으로는 ‘조건부 불허’이지만, 뒤집으면 ‘조건부 허용’이다. 중국 민간 기업의 북미 진출 길이 사실상 열린 것이다.   중국 배터리 업체인 CATL이 포드·테슬라와 준비하던 기술 라이센싱형 LFP셀합자사도 조건부로 허용된다. 앞으로 지분 25% 이하의 중국 민간 기업이 설립한 합작사가 부품·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겨날 수 있다. 오히려 우리 기업이 참가하는 양극활물질 전구체 합작사의 중국 측 지분을 낮춰야 하는 부담이 생겼다. GM과 LG에너지솔루션(LG엔솔) 사이의 AMPC 배분율도 불리하게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는 나쁜 소식도 전해졌다.   설상가상으로 LG엔솔의 연구개발 투자가 CATL에 비해 심각하게 열세라는 실상이 얼마 전 노출됐다. 양적 성장에 집중하느라 질적 성장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소홀히 했음이 밝혀지며 시장은 충격을 받았다. LG엔솔의 신임 CEO가 ‘질적 성장’에 집중하겠다고 공언한 것은 참으로 다행한 일이다. 앞으로 더 어려워질 환경에서 규모에 걸맞은 질적 성장을 이루려면 아낌없이 기업 리더십을 지원해야 한다. 박철완 /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마켓 나우 배터리 순진 북미 배터리 북미 시장 배터리 제조사

2023.12.13. 21:17

집 차고서 배터리 충전 중 불나…OC소방국 주민 주의 당부

지난 25일 가든그로브 한 주택 차고에서 충전 중이던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 당국은 당시 동영상을 공개하며 주민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OC소방국은 화재 당시 차고에 설치된 보안 카메라 동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엔 차고 내 캐비닛 위에서 충전 중이던 배터리에서 연기가 나기 시작하더니 이내 불꽃이 튀고 불길이 치솟는 모습이 생생하게 담겼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대원들은 불길이 확산되기 전, 진화에 성공했다. 화재로 다친 이도 없었다. 당국은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기에 문제가 생긴 것이 화재의 원인이라고 밝혔다.   당국은 아무도 없는 곳에서 또는 집이 비었을 때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출입구 근처에 충전기를 놓아두는 건 금물이라고 강조했다.배터리 차고 배터리 충전 리튬이온 배터리 가정집 차고

2023.11.27. 21:00

썸네일

전기차 수요 감소에 따라 SK배터리 '또' 감원

미국에서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 가운데, SK배터리 아메리카(SKBA)가 일시적으로 공장 근로자를 감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회사의 대변인을 인용, 잭슨 카운티 공장에서 근로자들을 해고하지만, 공장을 폐쇄하지는 않는다고 12일 보도했다.     조 가이콜리어 대변인은 “SK배터리 아메리카는 생산을 중단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전기차(EV) 산업이 성장 속도를 조정함에 따라 라인 운영과 인력 관리를 유연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콜리어 대변인은 인원 감축 규모, 휴가 기간 지속 여부 등 자세한 사항은 밝히지 않았다고 매체는 덧붙였다.     콜리어 대변인은 이어 이번 감원이 장기적으로 배터리 및 전기차 시장에 문제가 되지 않으며, 회사의 현지 입지에도 문제 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여러 매체는 미국 전기차 판매속도가 줄어들며 대당 1천만원에 달하는 자동차 가격 할인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최근 보도하기도 했다.   한편 SKBA는 지난 9월말 직원 3000명 규모의 공장에서 일부 직원을 해고한 바 있으며, 이때도 마찬가지로 "시장 수요에 맞춰 생산을 조정 중이어서 일부 해고가 불가피하다"며 "당초 약속한 채용 목표인 2600명을 넘어서 직원 3000여명이 있다"고 콜리어 대변인은 설명했다.   SK배터리 아메리카 공장은 애틀랜타에서 북동쪽으로 약 70마일 떨어진 커머스 시에 있으며, 조지아 주 정부가 전기자동차 및 관련 부품 생산·제조에 주력하며 주의 EV 분야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한 바 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실에 따르면 지난 5년 동안 조지아는 전기차 산업에서 250억 달러 투자를 유치했으며, 일자리 3만개 창출을 약속했다. 윤지아 기자전기차 배터리 sk배터리 아메리카 전기차 판매속도 전기차 시장

2023.11.13. 15:10

뉴욕시, ‘리튬이온 배터리 보상판매 프로그램’ 실시

뉴욕시가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상 처음으로 ‘배터리 보상판매 프로그램’을 시작하기로 했다. 화재 안전 표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불법’ 리튬이온 배터리나 이동식 전동기기를 시정부가 지정한 기관에 제출하면, 안전 인증을 받은 제품을 할인된 가격 혹은 무료로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최근 불법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자전거나 스쿠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피해가 커지자 나온 해결책이다. 뉴욕시에서 올해 들어 발생한 불법 배터리 관련화재는 8월 현재 154건으로, 14명이 사망하고 93명이 부상했다.     14일 뉴욕시의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리튬이온 배터리 보상판매 프로그램’ 조례안(Int. 949-A)에 따르면, 화재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불법 전동장치나 배터리를 반환하면 소비자는 정상 배터리나 전동장치를 무료 혹은 할인된 가격으로 받을 수 있다.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의 서명을 거쳐 해당 조례안이 발효되면, 시정부는 배터리 보상판매 프로그램을 담당할 부처나 기관 등을 정해야 한다.     조례안에 따르면 보상판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개인은 최대 1개 전동장치, 최대 2개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다. 이렇게 교환한 배터리나 전동장치는 1년간 재판매할 수 없다.     시의회는 이날 스몰비즈니스서비스국(SBS)이 소기업 은행 서비스와 수수료·금리, 로컬 커뮤니티 개발금융기관(CDFIs) 등 정보를 원스톱 온라인 포털에 공개하도록 하는 조례안(Int. 1103-A, Int.969-A)도 통과시켰다. 매년 직업센터 훈련 결과를 보고하도록 하는 조례안(Int.263-A)도 통과됐다.     이외에 시의회는 ▶푸드스탬프(SNAP) 등 식품지원, 노인센터 정보 소셜서비스국(DSS) 홈페이지에 공개(Int.1080-A) ▶매디슨스퀘어가든(MSG) 허가 5년 연장 ▶공립교 2학년 학생들에게 무료 수영강습 제공(Int.760-A) 등의 조례안도 승인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배터리 리튬이온 리튬이온 배터리 배터리 보상판매 보상판매 프로그램

2023.09.14. 21:22

총영사관, 미국 EV 배터리 온라인 세미나 연다

애틀랜타 총영사관이 13일 오후 6시 30분 '미국 신재생 에너지 동향 세미나: 미국에서 본 EV-배터리의 미래'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한다. 관심 있는 사람은 지역에 관계없이 누구나 온라인으로 등록할 수 있다.     최근 조지아에 전기차(EV) 및 EV 배터리 업계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 기업, 정부,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업계의 동향을 살피고 발전 가능성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미국의 EV 산업에 관심 있는 참석자들은 미국 정부의 정책 동향과 배터리 기술 산업 트렌드에 대해서 탐색해볼 수 있다.     세미나 강사로 오태신어번대 교수, 안주현 로렌스버클리랩 박사, 엘크 허드슨 백악관 정책실 기술정책 부국장 등이 초빙됐다.     세미나는 총영사관이 한미동남부상공회의소, 더밀크와 함께 주최한다.     문의=애틀랜타 총영사관([email protected]) 등록=events.seuskcc.org/clean-energy-kr 윤지아 기자미국 배터리 배터리 온라인 세미나 강사 배터리 업계

2023.09.08. 14:1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