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J네트워크] 베이징 올림픽과 보이콧

낯선 지역인 아일랜드 메이요주에 이삿짐을 풀 때만 해도 상상하지 못했을 터다. 자신의 이름이 이런 방식으로 후대에 널리 쓰이게 될 줄 말이다. 잉글랜드인 찰스 보이콧(1832~1897)의 이야기다.     40대 초반의 혈기왕성했던 그는 지주인 한 백작의 의뢰로 토지 관리를 맡게 된다. 그가 소작농에게서 토지 이용료를 거둬들여 얻는 수입은 이용료의 10%. 농사도 짓고, 토지 관리만 잘하면 꽤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일은 뜻대로 풀리지 않았다. 정착해 7년 만에 분쟁이 일어났다.   추수를 앞둔 1880년 9월의 어느 날. 흉년이 들자 소작농들은 연맹을 만들어 토지 이용료 삭감을 요구하고 나섰다. 농사를 짓고 싶은 농부들은 넘쳐나고 땅은 부족한 상황이니 지주는 이용료를 내려줄 리가 만무했다. 이용료 삭감은 언감생심.     급기야 퇴거 통지를 받게 되자, 농부들은 찰스 보이콧을 단체로 응징하기에 이른다. 마을 가게에선 그에게 빵 조각 하나조차 팔지 않았다. 우편물 배달도 이뤄지지 않았고, 빨래나 청소를 대신하던 사람들도 자취를 감췄다.   문제가 된 건 추수였다. 수확철이 왔건만, 일꾼들은 마을 사람들의 눈초리가 무서워 일하려 들지 않았다.     고심하던 그는 한 신문사에 자신의 처지를 호소하는 글을 보냈고, 기자들이 몰려들면서 소식은 널리 퍼졌다. 11월 초, 추수를 위해 일꾼 50명이 나타났지만, 소동을 우려해 경찰 등 호위 인력이 등장하면서 이목을 끌었다.     지역 농부들과의 갈등을 이기지 못한 그는 결국 가족들과 함께 11월 말, 도망치듯 잉글랜드로 떠났다.   부당한 행위에 대항한 거부의 의미로 쓰이는 ‘보이콧’이란 말은 이후로 널리 쓰이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베이징에서 내년 2월 열리는 겨울올림픽 뉴스에 종종 등장하고 있다. 중국 내 인권문제를 들어 올림픽에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겠다고 선언한 미국이 시발점이 됐다.     중국이 “정치적 모욕”이라며 보복까지 시사했지만, 미국 편에 서는 나라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 호주와 뉴질랜드가 동참을 선언했고, 이웃 나라 일본 역시 저울질 중이다.     우리 정부는 어떨까.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참석하기로 결정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째깍째깍, 시간은 간다. 우리 정부의 진짜 외교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김현예 / 한국 중앙일보 페어런츠팀장J네트워크 미국 중국 베이징 올림픽 겨울올림픽 뉴스 외교적 보이콧

2021.12.09. 18:44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시사

조 바이든 대통령이 내년 2월 예정된 중국 베이징 겨울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가능성을 시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8일 백악관에서 열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회담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 검토 여부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우리가 검토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베이징 겨울올림픽 보이콧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검토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 관행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우리가 우려하는 영역이 있다. 바로 인권 유린”이라며 “우리는 심각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은 올림픽에 선수단은 보내되 관행적으로 해왔던 정부나 정치권 인사들로 꾸려진 사절단을 파견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선수들의 올림픽 참여는 보장하되 주최국에 사실상 경고의 메시지를 담은 조치다.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은 지난 15일 시 주석과의 취임 후 첫 정상회담 사흘 만에 나왔다. 정상회담을 통해 최악의 충돌을 피하자는 공감대를 이룬 시점이어서 이 사안에 대한 정치적 부담을 어느 정도 덜었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이 정치적 보이콧을 확정한다면 중국의 반응에 따라 미중 관계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없지 않다.   미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결정하면 베이징 올림픽을 종전선언 등 남북, 북미 관계 개선의 모멘텀으로 삼으려는 한국 정부의 구상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심종민 기자올림픽 보이콧 외교적 보이콧 베이징 겨울올림픽 베이징 올림픽

2021.11.18. 20:4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