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이 아침에] 세월의 주름만큼 사랑은 깊다

베트남 여행을 앞두고 비자 신청용 사진을 집에서 찍을 때였다. 모자와 안경을 벗은 남편의 얼굴이 휴대폰 화면에 보였다. 그 순간 나는 깜짝 놀랐다. 성긴 머리칼 사이로 고스란히 드러난 두피, 깊게 팬 주름, 그 위로 돌아가신 시아버님의 얼굴이 겹쳐 보였다. 이민 생활의 무게와 세월의 덧없음이 남편의 얼굴에 고스란히 내려앉아 있었다.   결혼 초, 남편은 어린 시절 만화영화 주제가 속 ‘기운 센 천하장사 마징가Z’처럼 강한 사람이었다. 힘쓰는 일은 항상 그의 몫이었고, 그가 내 곁에 있다는 사실만으로 세상살이가 두렵지 않았다. 그러나 녹록지 않은 타국의 삶은 우리를 조금씩 단련시켰다. 한정된 수입과 비싼 인건비 탓에 ‘직접 고쳐 쓰는 일’이 일상이 되었다. 남편은 이제 유튜브라는 새로운 무기를 장착하고, 집 안팎의 어려운 문제를 척척 해결하는 맥가이버로 거듭났다.   자신하던 건강마저 세월 앞에선 무력하다. 요즘 들어 허리가 아프다며 한의원을 찾았다. 척추협착증이란다. 우연히 받은 경동맥 초음파에서는 좌우 혈관이 20퍼센트가량 좁아졌다고 한다.     의사는 아직 치료가 필요 없다며 운동을 권하지만, 인터넷을 찾아보니 뇌로 가는 혈류가 서서히 막히는 초기 단계라고 한다. 생활 습관 관리와 정기검진이 필요하다는 설명을 읽었다. 문득 내가 기댔던 나무가 예고 없이 흔들리며 쓰러지는 것은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 밀려왔다. 가지 하나가 부러질 수는 있겠지만, 뿌리째 뽑힐 수 있다는 생각은 미처 못 하고 살았다.   나 또한 멀쩡하지만은 않다. 오른손 둘째 손가락에 퇴행성 관절염이 찾아와 병뚜껑을 열기조차 힘들다. 정기검진에서 부정맥 소견이 나와 심장전문의 리퍼럴을 받았다.   우리는 함께 늙어가고 있었다. 은퇴는 인생의 쉼표이자 반환점이다. 그동안 먹고살기 위해 애쓰고 자녀를 돌보느라 소홀히 해온 ‘나 자신’을 다시 바라볼 시간이다. 그러나 막상 그 시간이 찾아오자, 성수기가 끝난 휴양지처럼 마음은 텅 비어버렸다. 허무와 상실감이 밀려올 때 그것을 채울 방편으로 우리는 여행을 택했다. 여행을 통해 새로운 추억을 쌓는 일이야말로 남은 생의 여백을 가장 따뜻하게 채우는 방법이라 믿었기 때문이다.   나이 들며 몸이 약해지고 여러 질병이 찾아온다 해도, 그 앞에 무릎 꿇고 항복하며 주저앉지 않겠다. 여행의 추억은 언젠가 반드시 닥칠 가장 추운 겨울을 버티게 해줄 든든한 저금이 될 것이다. 비록 젊은 날의 체력은 사라졌어도 서로에게 기댈 수 있는 든든한 나무가 되고 싶다.   늘 내 편에 서서 내 손을 꼭 잡아준 사람, 그 손을 놓지 않을 사람, 그가 바로 내 남편이다. 오늘도 나는 그 손을 꼭 잡고 살아간다. 우리의 손등에는 세월의 주름이 겹겹이 쌓여 있지만, 그 주름만큼 사랑도 깊어졌다고 말하련다. 최숙희 / 수필가이 아침에 세월 주름 베트남 여행 이민 생활 생활 습관

2025.11.03. 19:5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