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상속 계획, 선택이 아닌 가족의 미래를 위한 필수 사항입니다”

 텍사스는 공동재산제에 속한다. 영어로는 Community Property State이라고 한다. 이는 부부가 혼인 중에 취득한 대부분의 재산이 공동 소유로 간주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한 배우자가 사망하면 재산의 분할 문제는 단순한 개인 의사가 아니라 법적, 세무적 문제로 직결된다. 이때 유언장(Will)이 없다면, 텍사스 무유언 상속법(Intestate Succession)에 따라 자동으로 재산이 배분된다. 하지만 이 법적 배분 방식은 개인의 의도나 가족 상황(재혼, 자녀 유무, 해외 가족 등)을 반영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유족 간의 분쟁, 불필요한 세금 부담, 심지어 소송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속 및 유언장에 관한 세부사항을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텍사스 한국 경제인협회(회장 이인선)가 10월25일(토) 오전 10시 ‘상속 세미나’를 개최하는 것이다. 강사는 달라스에서 활동하고 있는 정혜진 변호사다. 정혜진 변호사는 2000년 12월 달라스에 소재한 남감리대학(Southern Methodist University)에서 학위(J.D.)를 받고 그후로 줄곧 패트릭 라이트 변호사 사무실(Law Offices of Patrick Wright)에서 지금까지 25년 이상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텍사스뿐만 아니라 플로리다와 뉴욕 주 변호사 자격증도 갖고 있는 정혜진 변호사의 주력 업무 중 하나가 바로 상속 및 유언장 작성과 관련된 분야다. 정혜진 변호사는 이번 세미나에서 ▲ 어렵게 모은 재산 내가 원하는데로 분배가 될까? ▲ 미국 시민권자 배우자-무제한 배우자 공제 ▲ 영주권자(LPR) 배우자- QDOT을 통한 공제 제한적 허용 ▲ 유언장이 제공하는 세 가지 핵심 효과 등의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정혜진 변호사는 “텍사스에서 부동산이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유언장 작성은 단순한 서류 절차가 아니라 재산 보호의 핵심 수단”이라며 “특히 미국 시민권자와 영주권자 부부의 경우 세법상 공제 차이로 인해 상속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 변호사나 세무 전문가와 상속 설계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한다. 정혜진 변호사는 “부부의 상황, 자산 규모, 세금 문제, 자녀의 미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전에 설계할 수 있는 유언장 작성은 사망 이후 가족이 재산과 감정을 지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놓쳐서는 안 될 기회”라고 강조한다. 텍사스 한국 경제인협회 이호식 수석부회장이 오는 10월25일(토) 오전 10시 파머스 브랜치 더블트리 호텔에서 열리는 ‘상속 세미나’가 달라스 한인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 수석부회장은 본지 인터뷰에서“경제인협회의 가장 중요한 활동 목표 중 하나는 한인들에게 경제와 관련돼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이번 상속 세미나에서는 텍사스에서 유언장이 왜 필요한지, 유언장이 재산 분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등에 대한 정보가 대방출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수석부회장은 “이 분야의 전문가인 정혜진 변호사를 강사로 초빙했다”며 “재산이 많으면 많을수록, 재산이 없으면 없을수록 유언장을 통해 어떤 경제적 선택들을 할 수 있는지 많은 한인들이 세미나에 참석할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제인협회는 앞으로도 한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경제인 단체가 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세미나는 좌석이 제한된 관계로 사전에 등록한 경우에만 참석할 수 있다. 세미나가 열리는 더블트리 호텔 주소는 11611 Luna Rd, Farmers Branch, Texas 75234이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940.846.5744로 문의하면 된다. 경제인협회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 tkbausa.com에서 접할 수 있다.     〈토니 채 기자〉상속 계획 상속 세미나 정혜진 변호사 변호사 자격증

2025.10.16. 20:22

썸네일

[밀레니얼 트렌드 사전] 갓생

‘갓생’은 신(갓·God)과 인생(人生)이 합쳐진 신조어다. MZ세대는 ‘훌륭한’ ‘모범이 되는’ 등의 의미로 ‘갓’을 접두어처럼 쓴다. 말하자면 ‘갓생’은 훌륭한 인생, 모범이 되는 인생이다.     이쯤 되면 정말 대단한 인생을 생각하겠지만, 요즘 MZ세대에게 ‘갓생’은 현실생활에 집중해 성실하게 사는 삶을 뜻한다. 비슷하게는 ‘소확성(소소하지만 확실한 성취)’ ‘루틴(routine·규칙적으로 하는 일의 통상적인 순서와 방법)’을 즐기는 삶이다. 성실함과 꾸준함으로 작은 일에 열심히 도전하고 성공의 행복을 맛보자는 뜻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튜브에 올라온 ‘갓생 살기’ 실천 방법들은 의외로 평범하다. 여름방학이면 꼭 만들어야 했던 하루일과표를 보는 것 같다.     그런데 공통점이 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 대표적인 ‘갓생러(갓생+er)’로 『나의 하루는 4시30분에 시작된다』의 저자 김유진씨를 꼽는 이유이기도 하다.     미국 2개 주에서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한 변호사이자 파워 인플루언서인 그는 “하루를 두 배로 사는 습관”으로 새벽 기상을 추천한다. “일찍 일어난 만큼 깨어 있는 시간이 많아졌으니 해야 할 일에 지장을 주지 않고도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다. 갑자기 저녁 약속이 생기거나 야근을 하느라 일정이 변동돼도 포기할 것들이 없다. 아침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따라 그날 할 수 있는 일과 나에게 주어지는 기회는 달라진다.”     훌륭한 인생이든, 소소한 인생이든 누구에게나 하루는 아침부터 시작된다. 그 아침을 어떻게 보내느냐가 하루의 모습을 바꾼다. 서정민 / 중앙SUNDAY 문화선임기자밀레니얼 트렌드 사전 갓생 갓생 살기 인생 모범 변호사 자격증

2023.03.13. 17:58

[밀레니얼 트렌드 사전] 갓생

‘갓생’은 신(갓·God)과 인생(人生)이 합쳐진 신조어다.   MZ세대는 ‘훌륭한’ ‘모범이 되는’ 등의 의미로 ‘갓’을 접두어처럼 쓴다. 말하자면 ‘갓생’은 훌륭한 인생, 모범이 되는 인생이다.   이쯤 되면 정말 대단한 인생을 생각하겠지만, 요즘 MZ세대에게 ‘갓생’은 현실생활에 집중해 성실하게 사는 삶을 뜻한다.   비슷하게는 ‘소확성(소소하지만 확실한 성취)’ ‘루틴(routine·규칙적으로 하는 일의 통상적인 순서와 방법)’을 즐기는 삶이다.     코로나19로 일상과 경제가 무너지면서 불확실성과 좌절감이 크게 다가오지만 성실함과 꾸준함으로 작은 일에 열심히 도전하고 성공의 행복을 맛보자는 뜻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튜브에 올라온 ‘갓생 살기’ 실천 방법들은 의외로 평범하다. 여름방학이면 꼭 만들어야 했던 하루일과표를 보는 것 같다.   그런데 공통점이 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 대표적인 ‘갓생러(갓생+er)’로 『나의 하루는 4시30분에 시작된다』의 저자 김유진씨를 꼽는 이유이기도 하다.   미국 2개 주에서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한 변호사이자 파워 인플루언서인 그는 “하루를 두 배로 사는 습관”으로 새벽 기상을 추천한다. “일찍 일어난 만큼 깨어 있는 시간이 많아졌으니 해야 할 일에 지장을 주지 않고도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다. 갑자기 저녁 약속이 생기거나 야근을 하느라 일정이 변동돼도 포기할 것들이 없다. 아침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따라 그날 할 수 있는 일과 나에게 주어지는 기회는 달라진다.”     훌륭한 인생이든, 소소한 인생이든 누구에게나 하루는 아침부터 시작된다. 그 아침을 어떻게 보내느냐가 하루의 모습을 바꾼다. 서정민 / 중앙UUNDAY 문화선임기자밀레니얼 트렌드 사전 갓생 갓생 살기 인생 모범 변호사 자격증

2022.12.05. 18:31

PCB 영업망 강화 나선다

PCB(퍼시픽시티뱅크)가 영업망 강화를 위해서 전문가를 영입했다.     은행 관계자에 따르면, 데이비드 김(사진) 전 뱅크오브호프 전무가 2022년 1월 3일부터 PCB로 자리를 옮긴다.     직급은 전무(EVP)로PCB의 지점 관리 및 확장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최고뱅킹오피서(CBO)를 맡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무는 2016년 뱅크오브호프 출범 이후 최고운영책임자(COO),  최고리테일뱅킹책임자를 거쳐 중서부지역 본부장을 역임한 바 있다.   변호사 자격증을 갖고 있는 김 전무는 1995년부터 한미은행과 구 윌셔은행 등에서 최고관리책임자(CAO)와 COO를 지냈으며 2010년에는 최고크레딧오피서(CCO)로서 CBB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김 전무는 인디애나 대학과 조지 워싱턴 법대를 졸업했다.   김 전무는 “오랫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PCB가 성장하는데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진성철 기자영업망 강화 영업망 강화 중서부지역 본부장 변호사 자격증

2021.12.28. 21: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