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뉴욕주 한인 ‘내 집 보유율’ 높아졌다

뉴욕주 한인들의 자가주택 보유율이 높아져 45%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팬데믹 이후 집값이 크게 뛸 조짐을 보이자, 많은 한인이 빚을 내서라도 집을 산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뉴욕시의 경우 렌트 가격이 급등해 맨해튼 평균 렌트가 월 5500달러를 돌파한 만큼, 집을 사는 데 대해선 보수적인 편인 뉴욕 한인들도 잇따라 집을 구매한 것으로 해석된다.   15일 센서스국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뉴욕주에 거주하는 한인(혼혈포함) 중 집을 소유하고 있는 이들의 비율은 44.6%로 집계됐다. 1년 전 주택보유비율(37.6%) 대비 7%포인트나 올랐다. 뉴욕주 한인 주택 중간값은 약 72만4400달러였다.     많은 한인들이 높은 렌트에 허덕이다 못해 집을 사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뉴욕주에서 렌트로 거주하는 한인들이 부담하고 있는 렌트 중간값은 지난해 월 1956달러로, 적어도 매월 2000달러에 가까운 돈을 렌트로 쓰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 한인들의 렌트 중간값(월 1765달러)과 비교해도 매월 191달러가량을 더 부담하고 있다. 뉴욕주 렌트 거주 한인 중 소득의 30% 이상을 렌트로 쓰는 이들은 절반(47.9%)에 달한다.   뉴저지주 한인들의 주택소유 비율은 지난해 57.1%로, 1년 전이었던 2021년 주택소유비율(57.2%)과 큰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다. 뉴저지주 한인들의 주택소유비율은 기존에도 뉴욕주 거주자보다 높았던 만큼 변화가 크지 않았다. 뉴저지주 한인들의 집값 중간값은 60만7700달러다.     미주 한인들의 주택보유비율은 아시안 커뮤니티 중에서도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전국 한인 205만1572명 중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54.2%로, 60%를 넘기지 못하는 수준이다. 전국 한인 주택 중간값은 57만6100달러, 세입자 렌트 부담은 약 1765달러다. 중국인들의 주택보유비율은 65.5%에 육박하며, 일본인(63.9%)·인도인(62.0%)·베트남인(68.0%)·태국인(62.4%) 등의 주택보유비율도 한인보다 높다. 한인밀집지역이 주로 집값이 비싼 대도시 위주라는 점 등이 한인들의 주택보유비율이 낮은 이유로 꼽힌다.   김은별 기자뉴욕주 보유율 뉴욕주 한인들 뉴욕주 렌트 뉴욕주 거주자

2023.09.15. 21:00

민 김 행장 지분 보유율 4% 넘어

오픈뱅크 민 김 행장의 지분 보유율이 4%를 넘어섰다.   은행의 지주사 OP뱅콥이 12일 연방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시한 주주총회 소집 관련 서류(proxy)에 따르면 김 행장이 보유한 지분은 63만5051주로 지분율이 4.15%였다. 전년의 소집통지서 기준 3.91%에서 0.24%포인트 늘어났다.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한 브라이언 최 이사장은 129만2606주로 지분율이 작년의 6.69% 대비 1.80%포인트 상승한 8.49%였다. 최 이사장과 은행이 새로 영입한 서니 권 이사, 형 김 이사를 포함한 이사 8명과 민 김 행장 등 7명의 경영진, 총 15명의 지분 보유율은 24.88%에 달한다. 작년 통지서에 보고된 지분율인 22.16%에서 2.72%포인트 늘어났다.   한편 지난해 김 행장은 기본급을 포함한 컴펜세이션으로 약 109만 달러를 수령했다. 전년의 173만 달러와 비교해 약 64만 달러(37%) 줄었다. 2021년 김 행장은 63만5000달러 상당의 스톡 그랜트를 받아 보수가 170만 달러를 돌파했다.   오픈뱅크의 주주총회는 6월 22일 오전 10시 LA 본점에서 진행된다. 이날 주주들은 최 이사장과 신임이사 2명, 도은석, 정수헌, 신용신 이사, 당연직 민 김 행장 등 7명의 이사 선임건, 은행의 회계법인 선정 등의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이날 김옥희, 박명자 이사가 퇴임한다.     오픈뱅크의 이사 정년퇴직 나이는 75세지만 각 이사의 의사를 존중해서 본인과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정년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오픈뱅크 보유율 이사 정년퇴직 지분 보유율 행장 지분

2023.05.14. 19:25

한인 '내집 보유율' 평균 이하

미국에 사는 여러 아시아계 주민들 가운데 한인의 자가 주택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것으로 30일 나타났다.   최근 연방주택금융청(FHFA)의 주택공급.대출.금융정책 관련 보고서에 인용된 전미 아시안 부동산협회(AREAA)의 2023년 현황 통계치를 보면 아시아계 미국인 주요 16개 인종 가운데 베트남계의 자가 보유율이 69.2%로 1위를 차지했다.   2.3위에는 각각 중국계(66.3%)와 일본계(66.5%)가 올랐고 필리핀계(64.3%), 인도계(62%), 라오스계(62%) 순으로 뒤를 이었다.   태국계(58%), 캄보디아계(57%), 하와이 원주민(55%)도 절반 이상이 자가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은 54.2%로 10위에 그쳤다. 다음으로는 파키스탄계(54%), 스리랑카계(52%) 등 순이었고 네팔계가 33%로 최하위였다.   FHFA는 "아시아계의 전체 주택 소유율은 60% 이상이지만 한인은 54%, 네팔계는 33% 정도였다"며 "지원이 부족한 지역사회의 데이터를 세분화해 분석해야만 인종.민족 하위그룹들이 직면하고 있는 차이를 식별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가구 중위소득은 인도계가 15만3050달러로 가장 많았다. 한인은 10만 달러로 필리핀계(10만7000달러), 중국계(10만3500달러), 일본계(10만2300달러)에 이은 5위였다.   다만, 2년 전 대비 중위소득 증가율은 한인이 18%로 가장 높았다. 인도계(17%) 중국계(12%), 베트남계(10%)도 상위권이였다. 다만 하와이 원주민(8%), 일본계(7%), 필리핀계(4%) 등은 중위소득 증가율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인들이 가장 많이 모여 사는 대도시권(MSA.Metropolitan statistical area.대도시통계지구)은 캘리포니아주 LA-롱비치-애너하임 권역으로 나타났다.   2위는 뉴욕.뉴저지 2개 주에 걸친 뉴욕-어크-저지시티, 3위는 동부의 워싱턴DC-알링턴-알렉산드리아, 4위는 서부 워싱턴주의 시애틀-타코마-벨뷰, 5위는 조지아주 애틀랜타-샌디스프링스-알파레타였다.보유율 한인 한인 내집 주택 보유율 중위소득 증가율

2023.04.30. 20: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