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수익률 8.5%의 비밀] 부유층일수록 보장소득 상품 유리

보장된 평생 소득(FIA with income rider)이라는 개념을 설명하면 일각에서는 부자들의 경우엔 이런 것이 필요없다는 식으로 반응한다. 실제로 그럴까. 가장 큰 이유는 은퇴기간 중 생활비가 모자랄 가능성같은 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표면적으로는 그럴듯한 말이다. 자산이 많으면 은퇴 후 필요한 소득도 그 안에서 충분히 인출할 수 있고, 혹시 시장이 조금 흔들리더라도 버틸 여력이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그런 믿음도 ‘가정에 불과한 낙관론’일 수 있다. 실제 수치를 통해 보면 부유층일수록 오히려 보장 소득 상품이 더 강력한 자산 증식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유층 은퇴 설계: 완벽한가?   예를 들어 보자. 은퇴를 앞둔 60세 부부. 65세에 은퇴 예정이며 각각 100만 달러의 브로커리지 계좌와 IRA, 그리고 75만 달러의 401(k)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은퇴 후 연간 생활비는 약 20만 달러이고 두 사람의 소셜 연금 수령액을 합하면 약 8만달러. 부족한 12만달러는 자산에서 인출해야 한다.   자산 총액은 275만달러다. 충분해 보인다. 기본 시나리오에서는 연 7%의 순수익률을 가정해 65세까지 운용하고, 은퇴 이후에는 5.5% 순수익률로 낮춰 계산한다. 인출 시기에는 상대적으로 보수적 자산운용을 전제로 하는 탓이기는 하지만 이것이 순수익률 기준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공격적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자산가들이기 때문에 시장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여전히 공격적 포트폴리오를 유지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어쨌든 이 가정하에서는 89세 시점에 잔여 자산이 436만달러로 상당히 풍족하다.   그런데 은퇴 직전 해에 시장이 -40% 하락하고, 이후 2년 연속 +20%씩 반등한다고 가정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놀랍게도 이 부부는 89세에 자산이 고갈된다. 단 한 해의 충격이 그들의 은퇴 시나리오를 무너뜨린 것이다.   ▶수익률 8.5%: 베네핏 베이스의 위력   이번에는 같은 시나리오에서 단 하나의 변수만 바꿔보자. 바로 75만 달러의 IRA 자산 전액을 조인트라이프 수명 보장형 FIA 상품에 할당한 것이다. 이 상품은 10년간 8.5% 복리로 증가하는 베네핏 베이스를 제공하며 이후 소득은 이 증가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이 경우 시장이 아무런 손실 없이 순조롭게 움직였을 때 자산 총액은 436만달러보다 큰 530만달러로 오히려 더 증가했다. 왜일까? 간단하다. 일반 자산은 5.5% 수익률을 거두는 반면, 이 FIA 상품은 베네핏 베이스 기준으로 8.5% 복리로 자란다.     여기에 소득 인출도 더 높은 기준액에서 계산되므로 자산 인출 속도가 느려지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자산이 쌓이게 된다. 더 놀라운 결과는 충격 시나리오에서 나타난다. 시장 손실이 -40% 발생했을 때 기존 구조에서는 89세에 자산이 0이 되었지만 FIA를 도입한 구조에서는 265만달러가 남았다.   ▶안정성이 성장성을 가능하게 한다   많은 부자들이 공격적인 자산 운용을 선호하면서도 동시에 안정적인 소득을 원한다.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충족시키기는 어렵다. 하지만 보장된 소득이 일정 부분 존재하면 남은 자산에 대해 보다 공격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는 심리적 여유와 전략적 근거가 생긴다.   이 예시에서도 기본 시나리오에서 5.5% 순수익률을 6.5%로 소폭 상향했을 때 잔여 자산은 686만달러로 치솟는다. 즉, 보장 소득은 안전장치인 동시에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레버리지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쓰지 않는 이유   많은 증권 자문가들이 FIA나 인컴 라이더를 꺼리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언급한 것처럼 소득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나 적용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틀렸다는 걸 이미 수치로 입증했다. 아직도 많은 증권 자문가들이 다른 금융상품을 하급상품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투자자산은 주식시장에 두는 게 늘 더 낫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포트폴리오 전체 차원에서 보면 일부만 이동해도 포트폴리오가 더 튼튼해질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또한 보장소득을 제공하는 연금상품은 수수료가 비싸다고 한다. 이것도 틀린 지적이다.     일반적인 자산운용 수수료에 비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이런 수수료를 감안해도 결과적으로 더 많은 자산을 남길 수 있다.   이런 비판은 해당 상품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내부 수익 구조에 대해 잘못된 전제를 가진 경우가 많다. 오히려 고객 입장에서 더 큰 수익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는 셈이다.   ▶어떤 부자든 “소득은 필요하다   누구나 은퇴 이후에는 일정한 소득이 필요하다. 소득이 없다면, 자산은 빠르게 줄어든다. 보장된 소득이 있다면 자산은 더 오래 버틸 뿐 아니라 남은 자산의 운용 여력도 훨씬 커진다.   수명은 길어지고, 시장은 예측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더 많은 자산을 가진 사람일수록 이 불확실성을 구조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그 답이 바로 ‘보장된 평생 소득’이다.   ‘보험 상품은 부족한 사람들의 선택지’라는 인식은 이제 버릴 필요가 있다. 진짜 부자는 돈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리스크를 설계할 줄 아는 사람이다.     그리고 그 설계의 핵심 도구 중 하나가 바로 소득을 계약적으로 보장해주는 시스템이다. 리스크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리스크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가 필요한 건 바로 그런 금융 전략이다.수익률 8.5%의 비밀 보장소득 부유층 보수적 자산운용 자산 인출 보장 소득

2025.08.12. 21:38

[로컬 단신 브리핑] 쿡 카운티, 보장 소득 프로그램 신청 21일 마감 외

#. 쿡 카운티, 보장 소득 프로그램 신청 21일 마감     쿡 카운티의 '보장 소득'(Guaranteed Income) 파일럿 프로그램 신청 접수가 지난 6일 시작돼 오는 21일 마감된다.     2년 간 매달 500달러의 지원금이 주어지는 이 프로그램에 지원하려면 연간 소득이 연방 빈곤 수준의 250% 이하여야 하고, 쿡 카운티에 거주해야 한다.   모두 3250명이 추첨을 통해 선발될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쿡 카운티 웹사이트(promisepilot.cookcountyil.gov)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영국 가수 스타일스 시카고 콘서트 갑자기 연기     영국 가수 겸 배우 해리 스타일스(28)의 시카고 콘서트가 밴드•크루 멤버의 사정으로 갑작스레 연기됐다.     스타일스는 6일 유나이티드 센터 공연을 시작으로 오는 15일까지 시카고서 모두 6차례 공연을 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6일 공연을 5시간 앞두고 주최 측은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6일 콘서트를 10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며 6일 공연 티켓을 갖고 있는 팬들은 10일 콘서트 티켓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전했다.     스타일스의 대표곡으로는 'As It Was', 'Sign of the Times', 'Golden', 'Watermelon Sugar' 등이 있다.     주최 측은 티켓 환불 여부에 대한 공식 입장은 내놓지 않았다.       #. 에반스톤 미시간호수서 보트 5대 전복 사고     시카고 북 서버브 에반스톤 지역의 미시간 호수에서 5대의 보트가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에반스톤 소방국은 지난 6일 오후 5시경 여러 척의 배가 클락 스트릿 비치와 뎀스터 스트릿 비치 인근에서 뒤집혔다는 신고를 접수했다.   현장에 도착한 소방국은 모두 5대의 보트가 전복된 것을 확인했고 다이버들을 동원, 모두 8명을 구조했다. 물에 빠진 일부는 혼자 힘으로 호변으로 나와,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 당국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인데 이날 오후 시카고 지역에 갑작스럽게 쏟아진 많은 비로 인해 물살이 거세지면서 보트들이 전복된 것으로 추정했다.  Kevin Rho 기자프로그램 브리핑 프로그램 신청 카운티 보장 보장 소득

2022.10.07. 16:0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