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보험 상식] 보험의 역할

보험이 꼭 필요한가요?  왜 보험이 중요한가요?   좋은 질문입니다. 실제로 어떤 분들은 “한국에서는 들지 않았던 보험까지 왜 국내에서는 사사건건 보험을 들라고 하느냐”며 불편함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제 한국도 보험이 일상화되었고, 선진국일수록 보험이 더 잘 발달해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 단계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심리학자 매슬로는 인간의 욕구를 5단계로 설명하는데, 가장 기초적인 욕구는 생존을 위한 ‘생리적 욕구’이고, 그 다음이 ‘안전 욕구’입니다. 일정 수준의 삶이 안정되면 사람들은 자신의 신체나 재산, 가족, 일터가 안전하길 원하게 되죠. 보험은 바로 이 ‘안전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제도입니다.   보험이 실제로 우리 삶에 어떻게 도움이 되나요?   보험은 살아가다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마치 그 일이 없었던 것처럼 삶을 회복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운전 중 도로에 구멍을 만나 덜컹거리거나 차량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비 온 날에는 단순한 물웅덩이로 착각해 피해를 보기도 하죠. 만약 누군가가 그 구덩이를 미리 메워주었다면 아무 일 없이 지나갔을 겁니다. 보험은 이런 ‘삶의 구덩이’를 메워주는 제도입니다.    예기치 못한 사고로 재산 피해가 발생했을 때, 보험은 금전적 충격을 최소화하고 우리가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럼 보험에만 가입하면 무조건 보상이 되나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보험 보상에는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보험 가입자는 사고 예방을 위해 평소에 적절한 관리를 해왔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수십 년 된 집에서 배관을 한 번도 교체하지 않거나 지붕이 낡은 채 방치했다가 폭우로 누수가 생긴 경우, 보상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게다가 사고 전에 이미 누수나 문제의 징후가 있었음에도 이를 방치했다면 보험금 수령은 더 어려워집니다.   또한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합니다. 예컨대 화재가 발생했을 때 “어차피 보험으로 처리하면 되니까”라며 방치한다면 이는 올바른 태도가 아닙니다. 초기에 진화하거나, 신고하고, 가능하다면 귀중품을 빼내는 노력은 상식적인 선에서 해야 할 책임입니다.   보험 가입 시 주의할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보험 계약 시에는 반드시 사실대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만약 고의로 사실을 숨기거나 왜곡할 경우, 나중에 보상을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보험사는 가입자의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아닌 한, 예기치 못한 사고에 대해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합니다.   보험의 진짜 의미는 무엇인가요?   보험은 단순히 돈을 보상받는 제도가 아닙니다. 내일 어떤 일이 닥칠지 모르는 삶에서 나와 가족, 집, 차, 사업체를 지켜주는 ‘보이지 않는 안전망’입니다. 예컨대, 사업장에 불이 나 수개월 동안 문을 닫아야 할 경우, 사업체 보험은 수리비뿐 아니라 휴업 기간의 임대료, 직원 급여, 사업주의 생활비까지 보상해 줍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사람이 원래의 삶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보험이 있다면, 더는 앞에 무엇이 기다릴지 불안해하지 않아도 됩니다. 구덩이를 걱정하며 운전하지 않아도 되는 것처럼, 보험은 우리의 인생길을 평탄하게 만들어주는 ‘삶의 복구 시스템’ 입니다.   ▶문의:(213)387-5000 진철희 / 캘코보험 대표보험 상식 보험 최소화 보험 보상 보험 가입자 보험금 수령

2025.06.29. 12:37

생명보험의 리빙 베네핏과 롱 텀 케어보험의 차이 [ASK미국 건강보험-마크 정 엠제이보험 대표]

▶문= 리빙 베네핏이 들어있는 생명보험을 구입해야 할지 아니면 롱 텀 케어보험을 선택하는 것이 맞는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차이점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답= 이전의 생명보험의 기능은 보험 가입자 사망 시 배우자나 자녀들에게 주어지는 생활비에 대한 안전성 확보 또는 상속의 개념이 있었지만 요즘은 여기에 한 가지 기능이 더해져서 본인 생존 시에 사용할 수 있는 생활보조자금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상황이 생겼을 때 자녀들에게 신세 지지 않고 소유하고 있는 집이나 예금 등의 자산을 처분하지 않고도 스스로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이 바로 생명보험의 리빙 베네핏과 롱 텀 케어보험인 것입니다.   리빙 베네핏의 정확한 표현으로는 액설러레이티드베네핏(Accelerated Benefit)이라고 하는데, 이는 보험 가입자가 사망보험금액의 일정 부분을 미리 받을 수 있는 혜택이며, 신청 조건은 만성질환과 중대질병 그리고 말기 질환의 경우입니다. 별도의 추가 보험료는 없으며 보험 종류나 불입 기간과 상관없이 청구 가능하고 의사 진단서 등 보험사에서 요구하는 서류를 제출하면 대략 90일 정도의 검토 기간을 걸쳐 최종적으로 지급금액이 결정됩니다. 보험 사망금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되는 금액을 청구할 수 있으며, 전체 금액을 청구하여 수령하였을 경우 생명보험은 자동 소멸됩니다.   롱 텀 케어 보험은 질병이나 약간의 장애 또는 치매로 인해 요양병원이나 양로원 등의 시설을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보험사에 청구하여 일정 기간 동안 매달 미리 정해진 금액을 지급받는 방식인데 플랜에 따라 평생 받을 수 있는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본인이 직접 수령할 수도 있고 요양병원이나 양로원에서 대리수령도 가능하며 평생 한번 또는 여러 번 청구가 가능합니다. 롱 텀 케어는 홈 헬스케어, 어덜트 데이케어, 양로원, 너싱홈 등에서 발생되는 비용 청구 시 환급해 주는 방식과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되어있습니다. 75세 이상의 경우 받아주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로 50대나 60대에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험료는 일시불로 큰 금액을 내거나 매월 불입할 수 있습니다. 보험금 수령은 60일이나 90일 이후에 지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보험금을 수령하다가 가입자가 사망할 경우에는 보험 플랜 구입 시 미리 책정된 보험 사망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문의: (213)232-4911 엠제이보험 대표 마크 정미국 생명보험 리빙 베네핏 보험금 수령 보험 사망금

2023.01.17. 23: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