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독립운동·이민 사료 1세기만에 빛 보다

빛 바랜 문서들이 세월 속에 묻혀 있던 역사를 드러냈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미주중앙일보가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화랑청소년재단과 공동 주관하고 뱅크오브호프가 후원한 ‘독립유공자 묘소 찾기 프로젝트’를 통해 후손이 확인된 호시한(1885~1956) 지사의 다양한 유품들이 공개돼 관심을 모은다. 호 지사의 후손이 본지에 처음 공개한 이 유품들은 한인 독립운동사, 이민자의 삶, 그리고 시대의 굴곡을 증언하는 생생한 사료다.   공개된 유품에는 1940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 복사본과 기부금 영수증, 1946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발급 여권, 1922년 중국에서 받은 신분증과 개명 진술서, 1953년 미 이민서비스국 문서, 당시 미국 언론 기사 등이 포함돼 있다. 종이는 바랬지만, 그 속에 담긴 목소리는 여전히 선명하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다. 호 지사는 편지와 함께 100달러(현재 가치 약 2000달러)를 미국 국방기금에 기부했다. 그는 편지에 “비록 시민권은 없지만 언제나 좋은 시민으로 살고자 했다”며 “이 나라를 지키는 일에 모든 한인들도 같은 마음일 것”이라고 썼다. 또 “100달러는 크지 않지만 지금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전부이며, 다른 이들도 동참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시민권조차 없는 이민자가 제2차 세계대전 와중에 미국 방위를 위해 돈을 기부한 사실은 현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신문에는 “호시한, 미국 국방 위해 100달러 기부(Si Han Ho Gives $100 for U.S. Defense)”, “호시한, 애국심으로 ‘가디니아 상’ 수상(Si Han Ho Wins Gardenia for Patriotism)”이라는 제목이 실렸다. 부제에는 “비록 시민권은 없어도 진정한 애국자(Real Patriot Even If Not Citizen)”라는 문구가 달렸다.   임시정부 발급 여권은 해방 직후에도 임시정부가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실질적 대표성을 이어갔음을 보여주는 사료다. 여권에는 호 지사의 사진과 함께 임병직 외교위원장의 서명이 남아 있다.   호 지사가 중국 체류 시절 사용한 가명 ‘장해령(Chang Hai-Ling)’에 관한 진술서도 눈길을 끈다. 그는 “중국 당국 권고로 가명을 쓰게 됐으며, 1922년 상하이에서 출발해 샌프란시스코로 오는 27일간 항해 내내 중국 이름을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고 기록했다. 일본의 감시를 피해 국적과 이름까지 숨겨야 했던 독립운동가의 현실을 잘 보여준다.   호 지사의 손자 호윤진(77)씨는 “이 자료들은 시간이 지나면 결국 사라질 수밖에 없는 것들”이라며 “한국 정부가 원한다면 독립기념관이나 역사박물관에 기증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LA총영사관 권민 보훈담당 영사는 “관련 내용을 국가보훈부에 전달했고, 후손이 보훈 당국과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낡은 종이에 남은 이름과 기록은 이제 후손의 손을 거쳐 다시 역사 앞에 섰다. 사라질 뻔한 한인의 독립운동 이야기가 유물과 함께 부활하며, 시대와 역사의 결을 오늘에 전하고 있다.  관련기사 선조 독립운동 사실 이제라도 인정 받아 기뻐 강한길 기자대한민국 임시정부 장해령 chang 시민권 신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독립유공자 후손 2차 세계대전 보훈부

2025.09.22. 20:36

썸네일

미주한미동맹재단

    미주한미동맹재단(회장 최태은, 이사장 챕 피터슨)은 지난 28일 국가보훈부(장관 박민식)를 방문해 국제보훈사업 다각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최태은 회장은 “올해 처음 국가보훈부 후원으로 재단이 진행한 PIP학생대회 예선전에 미 전국의 135개 학생팀이 출전해 뜨거운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미 주류사회에 한국을 알려 나가는 여러 활동을 꾸준히 이어나갈 것이며 현재 기획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이에 강윤진 국가보훈부 보훈정책관은 “한국 전 당시 가장 많은 군을 파병했던 미국 사회에 한국전쟁이나 한미동맹 및 한국의 가치에 대해 널리 알려가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며 “국제보훈사업의 다각화를 통해 보다 다양한 보훈 활동을 지원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류태호 부회장은 “국가보훈부가 미국에서 추진?계획중인 국제보훈 사업에 미주 한미동맹재단은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강 보훈정책관은 “내년 미주 지역에서 계획중인 여러 국제보훈 사업을 검토해 재단에 협조 요청을 하겠다”고 화답하며 향후 보훈부와 재단의 조화로운 양립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논의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미주한미동맹재단 보훈부 국제보훈사업 다각화 미주 한미동맹재단 강윤진 국가보훈부

2023.12.01. 14:18

썸네일

[사설] 보훈부, 단소 복원에도 의지 보여야

LA흥사단 옛 본부 건물(단소) 복원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한국 보훈부는 철거 위기의 단소 건물 매입 절차를 지난 1월 마무리했다. 하지만 매입 1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에서야 활용 방안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훈부가 밝힌 2025년 8월 복원 마무리 약속을 지킬 수 있을지 의문이다.         조사 방법에도 문제가 있다. 이번 조사는 보훈부 산하 코리안헤리티지 연구소라는 곳에서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소 측은 일부 한인단체 회원과 지역 주민에게 이메일을 보내 설문조사 사실을 알렸다고 한다. 대다수 한인은 관련 내용을 모르고 있었던 셈이다. 조사 기간도 지난달 21일 부터 이달 5일까지로 2주 남짓에 불과하다. 그런데 조사 시작 열흘이 지나도 참여가 저조하자 부랴부랴 LA 총영사관에 협조를 요청했다는 것이다. 안이하게 업무 처리를 하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꼴이다. 왜 사전에 적극적인 홍보를 하지 않았고 대상도 한정했는지 궁금하다.   게다가 보훈부는 단소 관련 업무 창구 역할을 위해 만든 한미유산재단이라는 단체와는 협의조차 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한미유산재단 측은 “설문 참여자를 통해 내용을 알게 됐다”며 “그동안 관리 방안 등 보훈부에 수차례 의견을 전달했지만 아무런 답변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런 내용을 보면 과연 보훈부가 단소 복원에 얼마나 의지를 갖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물론 한국과 LA 사이의 일이라 여러 제약 조건이 있을 것이다. 더구나 정부 기관이 진행하는 일이라 규정도 지켜야 한다. 하지만 의욕만 있다면 극복하지 못할 장애물들은 아니다.     단소는 일제 강점기 미주 한인사회 독립운동의 상징 가운데 하나다. 한인들은 철거 위기 소식에 안타까워했지만 보훈부의 매입 결정에 환호했다. 이젠 신속한 복원과 효과적인 운영·관리 방안 마련이 과제다. 사설 보훈부 단소 한국 보훈부 보훈부 산하 복원 마무리

2023.11.01. 18: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