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LA지역서 발생한 대형 산불 중 하나인 이튼 화재로 인해 초토화된 알타데나 지역에서 피해를 본 주택 부지의 첫 매매(에스크로 중)가 성사됐다. LA이스트는 알타데나 지역 95 웨스트칼라버라스 스트리트의 부지가 44만 9000달러에 매물로 나와 수십 건의 문의 끝에 55만 달러의 현금 거래로 판매됐다고 지난 9일 보도했다. 매물은 9109스퀘어피트 규모 부지로 주택은 전소됐다. 진화 후 일주일 만에 이루어진 이번 부지 거래는 향후 재건축과 지역 주택 시장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난 2023년 2개의 침실과 2개의 욕실을 갖춘 주택을 96만 달러에 매입 후 임대해오다 화재 피해를 본 이전 소유주는 재건축 감당이 어려워 부동산 회사를 통해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거래를 진행한 부동산 중개업자 브록해리스는 해리스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 주민들이 다시 정착할 수 있도록 주택을 신속하게 재건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누구도 불합리한 가격에 매각하도록 강요받아서는 안 되며, 패닉에 빠져 헐값에 팔아서는 안 된다”면서도 “도시가 회복되려면 주택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부지 소유주, 개발업자, 지역사회가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부지 매매 성사가 알타데나 지역의 재건과 주택 시장 회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낙희 기자이튼 산불 이튼 산불 이튼 화재 매매 성사 LA산불 화재 주택 전소 피해 복구 #koreadailyus #California #Korean #한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2025.02.10. 20:04
가주한인건설협회(회장 크리스 이)가 피해 지역 재건을 지원한다. 협회는 최근 산불 피해를 본 한인 주민들의 보금자리를 하루라도 빨리 복구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원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크리스 이(사진) 회장은 “성금 지원 등의 방법도 있지만, 다양한 분야의 협회원들이 모인 건설협회인 만큼 피해 복구 및 재건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계기를 밝혔다. 재난이 발생하면 집을 잃은 피해자들을 상대로 과도한 서비스 또는 덤터기 비용을 청구하거나 사기를 벌이는 경우가 다수 있다는 게 업계가 전하는 말이다. 협회는 이를 방지하고자 피해 주민을 위해 보험 처리부터 설계, 건축까지 인증된 전문가들의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해 피해 한인들에게 편의성과 비용 절감 기회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 회장은 “피해를 본 한인들이 부당한 피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협회가 할 수 있는 최고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피해 주민들이 신속하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협회가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는 총 네 가지다. ▶보험 청구 조정 협회는 산불 피해 주민들이 보험 보상을 원활하게 받을 수 있도록 보험 청구 및 조정(Adjustments)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 예정이다. 필요한 서류 작성과 청구 절차 안내를 통해 공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도우며, 보험사와의 협상에도 나서 원활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법률 자문 제공 재난 복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 해결을 위해 무료 법률 자문 서비스 또한 제공된다. 주택 보험, 재건축 계약, 정부 지원금 신청 등 생소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문제에 대한 전문가 상담을 통해 피해 주민들이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 ▶건설 비용 절감 재건 및 수리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협회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복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여러 건설업체와 협력하여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상담을 통해 피해자들이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게 복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주택 재건축 설계 지원 2000스퀘어피트 미만의 주택이 피해를 본 경우, 협회는 한인 건축업체 앤드모어 파트너스와 협력해 무료 컨설팅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기존 도면 드래프팅 서비스를 제공해 피해 주민들이 신속하게 재건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 회장은 “피해를 본 분들이 하루라도 빨리 슬픔을 딛고 일상으로 돌아오길 바라는 마음으로 재건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하게 됐다”며 “총력을 기울여 복구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날 협회 측은 이를 함께 지원할 한인 건설업체 및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요청했다. 도움이 필요한 피해 주민들은 전화(323-371-8344) 또는 이메일([email protected])로 연락해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우훈식 기자산불 복구 피해 주민들 지원 서비스 성금 지원
2025.02.07. 0:13
“삡, 삡, 삡” , 수요일 아침 6시, 휴대폰에서 울리는 낯선 알람소리와 진동에 잠에서 깼습니다. 휴대폰 화면에는 "Emergency Alert: Evacuation Warning has been issued in your area"라는 문구가 깜빡이고 있었습니다. , 이미 하루전 밤부터 전기가 끊겨 몇시간 후면 돌아오겠지란 희망을 뒤로, 어둠 속에서 아내와 딸을 깨워 짐을 싸기 시작하라고 말했습니다. 무엇을 싸야 할지 확신하지 못해 허둥지둥했고, 결국 가족 사진이나 딸이 가장 소중히 여기는 Speech and Debate 대회 트로피, 메달 컬렉션 대신 옷과 필수품 같은 필수적인 물건들만 싸기로 결정했습니다. 결국 대피 명령의 단계가 현재 “대피권고” 에서 “즉시대피”로 바뀔때까지 대피하지 않기로 했지만, 쌓아놓은 짐가방을 거실 바닥에 두고 언제든 떠날 마음의 준비를 하며 심란한 마음을 다잡을 길이 없었습니다. Crescenta Valley Water District로부터 화재 진압을 위한 잠재적인 물 부족으로 인해 물 사용을 제한하라는 전화를 받았기때문에, 그후로 며칠 동안 같은 옷을 입고 설거지와 샤워도 제한하였습니다. Southern California Edison은 지역의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로 집의 전기를 차단했고, 또 며칠 동안 계속될 예정이었습니다. 사실 그러한 소식도 ring 앱에서 이웃들끼리 나눈 대화를 보며 추측할 뿐이었습니다. 언제 들어올지 모르는 전기 서비스를 마냥 기다릴수 없어 다음 날 아침, 휴대폰과 휴대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몬터레이 파크에 있는 사무실로 향했습니다. 하지만 평소에는 평범했던 출근길이 이날은 전혀 평범하지 않았습니다. 연기와 재가 하늘을 회색빛 주황색으로 뒤덮었고, 210번 Freeway 의 라 카나다, 알타데나, 파사데나 지역으로 가는 모든 출구가 폐쇄되었습니다. 이 지역 주민들이 이미 대피했고 돌아올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밤이 되자 모든 것이 더욱 스산하게 느껴졌습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파사데나의 로컬 도로를 운전하면서, 쓰러진 나무와 전선 때문에 여러 길이 차단되어 운전자들은 미로같은 우회로를 따라 가야 했습니다. 또 비상 백업 전원 마저 고장 났음을 말해주듯 교통 신호등과 가로등이 전혀 작동하지 않아 거리가 칠흑같이 어두웠기 때문입니다. 또한 Ring app 과 뉴스에서 도둑들이 주민들이 대피한 동네를 돌아다니며 약탈한다는 소식을 접하니 불안한 마음은 배가 되었습니다. 210 Freeway 서쪽으로 진입한 후, 이튼 캐니언 주변의 알타데나에서 타오르는 불길을 목격했고, 이어서 어릴적 집과 학교가 있던 라 카나다는 짙은 어둠속에 잠겨 있었습니다. 30년 이상 Foothill Community에서 자라고 살아온 일원으로서, 저는 여러 번의 산불을 직접 경험했지만, 이번과 같은 화재로 인한 엄청난 수준의 파괴와 손실을 본 적이 없었습니다. 저처럼 대피명령이 2 단계가 아닌 3단계 구역에 계셨던 저의 친구들, 가족들, 이웃들 그리고 고객들이 대피 명령이 내려진 지 몇 분 만에 강제로 대피해야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그들에게는 무엇을 싸야 할지 생각할 시간조차 주어지지 않았고, 많은 추억들과 재산을 뒤로 한체, 사랑하는 가족들만 겨우 추스려 화재가 없는 곳으로 피해야 했습니다. 반려동물을 미쳐 데리고 나오지 못한 사람도 있었고. 거동이 불편한 가족들을 데리고 나오느라 애를 먹고 다친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화재가 일어난지 열흘이 넘게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집으로 돌아갈 수 없고, 또 많은 사람들은 더 이상 돌아갈 집이 없게 되었습니다. 제 딸은 라 카나다지역의 연기와 재 때문에 학교가 폐쇄되어 몇 주 동안 학교에 갈 수 없었지만, 알타데나의 많은 아이들은 화재가 잦아든 후에도 학교로 돌아갈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그들의 학교가 불에 타 전소됐기 때문입니다. 재건과 회복을 위해 도움과 지침이 필요한 가족들에게, 그 길은 복잡하고 버거워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은 그러한 재앙적인 피해를 일으킨 책임자들에게 책임을 묻는 방법을 포함하여, 복구 과정에 대한 이용 가능한 정보를 요약한 것입니다. 캘리포니아가 Eaton Fire의 여파와 씨름하는 가운데, 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위한 복구 옵션과 법적 구제 방안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 보험 청구, 연방 지원 요청 방법 및 Southern California Edison 을 상대로 진행 중인 법적조치들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 보험 청구 제기 Eaton Fire의 영향을 받은 주택 소유자들에게 보험 청구 절차를 시작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합니다. 먼저 사진과 비디오로 모든 피해를 철저히 기록한 다음, 분실 또는 손상된 물품의 상세한 목록을 작성하십시오. 보험 제공업체에 연락하여 청구 절차를 시작하기 전에 추가적인 재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 전반에 걸쳐 보험사와 주고받은 모든 연락을 보관해야 합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보험 회사는 청구를 받은 후 30일 이내에 보상여부를 통보해야 합니다. ## FEMA 지원 신청 연방재난관리청(FEMA)은 이튼 화재 피해자들에게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DisasterAssistance.gov, FEMA 모바일 앱, 또는 FEMA Helpline (1-800-621-3362, 태평양 표준시 기준 오전 4시부터 오후 10시까지)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셜번호, 보험 정보, 피해 내역, 연간 가구 소득, 연락처 정보, Direct Deposit을 위한 은행 계좌 정보를 준비해야 합니다. FEMA 지원은 임시 주거, 주택 수리, 그리고 보험으로 보장되지 않는 기타 재난 관련 비용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 추가 복구 옵션 보험 청구와 FEMA 지원 외에도, 화재 피해자들에게는 여러 가지 다른 복구 옵션이 있습니다. SBA는 기업, 주택 소유자, 세입자를 위한 저금리 재해 대출을 제공합니다. IRS는 세금보고 기간 연장 및 0 세금 감면 옵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지역 지원 센터는 지원 신청 및 다양한 서비스 이용에 대한 대면 도움을 제공합니다. 재난 관련 문제에 대해 무료 법률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화재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은 재난 실업 수당을 받을 자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즉각적인 식품 필요에 대해서는 CalFresh와 지역 푸드뱅크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Southern California Edison에 대한 법적 조치 SCE의 과실이 화재의 발생과 확산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는 여러 건의 소송이 제기되었습니다. 이 소송들은 SCE가 전력선의 유지, 보수와 관리를 포함한 필수적인 전기 및 화재 안전 기준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SCE에 대한 주요 혐의에는 극심한 화재 기상 조건 경고에도 불구하고 전력선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것, 전력선 유지보수와 전기 장비 주변의 화재방지 벌초및 관리에 대한 과실, 화재 위험을 증가시키는 구식 장비 사용, 화재 위험을 무시하면서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 등이 포함됩니다. SCE는 이러한 소송에 대해 화재에 대한 책임을 부인하며 대응했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언론 보도와 규제 요건으로 인해 전기 안전 사고 보고서(ESIRs)를 제출했습니다. SCE는 화재 발생 전 몇 시간 동안 자사의 장비가 정상 작동했으며 이상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회사는 소장을 받으면 검토할 것이며 화재의 원인은 여전히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법적 절차가 진행 중이며, 로스앤젤레스 고등법원에 여러 건의 소송이 제기되었습니다. 변호사들은 화재 피해자들을 위해 잠재적인 청구에 대해 논의하는 정보 제공 회의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화재 원인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이므로 법적 절차는 길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캘리포니아 법은 집단 불법 행위 소송이나 집단 소송을 통해 SCE에 대한 청구를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유사한 청구를 가진 여러 원고들의 법적 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커뮤니티가 재건을 시작함에 따라,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모든 가능한 복구 옵션을 탐색하고 진행 중인 상황에 대해 계속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험 청구, 연방 지원을, 법적 조치를 고려하시는 분들은, 어려운 과정을 헤쳐나가는 데 전문적인 도움을 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습니다. 복구의 길은 길 수 있지만, 적절한 자원과 지원이 있다면 피해자들은 그들의 삶과 커뮤니티를 재건을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시드니 손 변호사 [email protected] (213) 894-9780산불 복구 화재 진압 southern california 지역 주민들
2025.01.21. 17:42
조지아 주정부가 주민들의 허리케인 헐린의 피해 복구 부담을 덜기 위해 3일부터 유류세 징수를 잠정 중단한다.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는 1일 오후 소셜미디어를 통해 지난달 24일 선포한 주 비상사태를 오는 9일까지 연장한다며 이 기간에 자동차 휘발류와 디젤 연료 가격을 갤런당 30센트 이상 낮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국의 연료 가격을 추적하는 ‘개스버디’에 따르면 조지아의 현재 래귤러 기준 휘발류 평균 가격은 갤런당 2.94달러로, 전국 평균보다 갤런당 약 24센트 저렴하다. 3일부터 유류세 징수가 중단되면 휘발류 가격이 갤런당 2.60달러선을 유지할 수 있다. 켐프는 전기가 끊겨 연료에 의존하는 주민들이 많아 커뮤니티에 구호를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윤지아 기자유류세 복구 유류세 징수 징수 중단 복구 기간
2024.10.02. 15:56
동창리와 풍계리, 금강산, 영변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북한의 도발 동향이 포착되면서 한반도의 긴장이 치솟고 있다.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서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전용 가능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수 있는 서해위성발사장의 확장 개축에 나섰고, 풍계리에서는 폭파했던 핵 실험장의 일부 갱도를 복구하는 동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영변에서는 5MW 원자로와 재처리시설, 고농축우라늄(HEU) 제조시설 등이 가동 중이고, 금강산에서는 남측 시설의 철거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일련의 이런 움직임들은 본격화하면 하나같이 한반도 정세를 단숨에 소용돌이로 몰아넣을 대형 이슈들로, 윤석열 당선인은 취임 전부터 북한에 단호히 대응하면서도 한반도 정세는 관리해야 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안게 됐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을 방문해 대형 운반로켓을 발사할 수 있도록 발사장 구역과 로켓 총조립 및 연동 시험시설들을 개건·확장하도록 지시했다는 북한 관영매체들의 보도가 나오면서 위기감은 더욱 치솟았다. 함경북도 길주군에 있는 풍계리 핵실험장에서도 심상치 않은 동향이 포착됐다. 새 건물이 들어서고 기존 건물을 수리한 정황이 포착된 데 이어 2018년 5월 폭파했던 일부 갱도를 복구하는 움직임까지 파악된 것이다. 북한의 이런 움직임은 지난 1월 핵실험·ICBM 발사 모라토리엄(유예) 철회 시사를 실제 행동으로 옮기려는 사전 포석으로 읽힌다. 미 재무부는 11일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움직임과 관련해 북한의 대량파괴무기(WMD) 및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도운 러시아 국적자 2명과 러시아의 3개 기관을 제재대상에 추가했다.실험장 복구 도발 징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도발 동향
2022.03.11. 19:46
뉴저지주 버겐카운티 크레스킬 중고교 학생들이 허리케인 아이다 피해로 인해 심각한 수업 차질을 겪고 있다. 한인 학생들도 많이 재학하고 있는 크레스킬 중고교는 지난 9월 뉴저지 전역을 강타한 아이다로 학교의 중요 시설 상당수가 침수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피해 시설 중에는 ▶강당 ▶컴퓨터 시설룸(일부) ▶과학실 ▶보일러실(유틸리티 룸) 등 학사 일정을 진행하는 데 없어서는 안될 핵심 시설들이 포함돼 있다. 이들 중에는 강당의 경우 바닥부터 3피트 이상, 보일러실은 5피트 이상 물이 차 오르는 침수 피해를 당해 대대적인 공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완화로 가을학기 들어 전면적인 대면수업을 준비하던 크레스킬 중고교는 이 피해로 인해 어쩔 수 없이 1000여 명의 학생들이 온라인수업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침수 피해가 발생한 지 석 달 정도가 지나가는 현재까지 주요 시설 복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학생들이 언제 대면수업에 복귀할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크레스킬 중고교가 아이다 피해를 복구하려면 총 1900만 달러의 예산이 필요한데, 보험으로 200만 달러를 받고, 그 나머지의 75%는 연방정부의 재난지원금, 그리고 25%는 학군이 부담을 해야 한다. 그러나 연방지원금은 학군이 먼저 자체적으로 복구기금을 지출한 뒤에 나중에 상환을 받는 시스템인데다, 학부모회가 기업(LG전자 2만5000달러) 등으로부터 받은 기부금(총 8만2000달러)도 충분치 않아 복구 공사가 언제 끝날지 불확실하다. 이 때문에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를 떨치지 못하고 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학군 복구 복구 지연 복구 공사 연방지원금은 학군
2021.11.30.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