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팁 면세안 추진에 한인 자영업계 ‘기대 반 우려 반’

서비스 업종 종사자들의 팁 소득에 대해 연방 소득세를 면제하는 법안이 의회를 통과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인 자영업자들과 회계 전문가들 사이에서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팁 면세 법안은 2025년부터 식당, 미용실, 호텔 등 전통적으로 팁을 받아온 업종 종사자들의 신고된 팁 소득에 대해 최대 2만5000달러까지 연방 소득세를 면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조치는 항목별 공제를 하지 않아도 적용 가능한 방식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법안은 이미 상원을 통과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기간 내세운 대표 공약인 데다 공화당 내 지지세도 강해, 하원까지 통과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그러나 팁 면세를 두고 실효성과 형평성에 대한 논란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 법안의 기본 취지였으나, 오히려 실제 혜택은 중간 소득층 이상에 집중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연 소득이 너무 낮아 표준공제만으로도 이미 소득세를 면제받는 근로자는 법안의 혜택을 체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국세청(IRS) 자료에 따르면 현재 팁 근로자의 약 37%는 이미 연방 소득세를 내지 않고 있어, 전체 팁 근로자 중 약 3분의 1은 법안의 실질적 수혜자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는 여름방학 동안 웨이터로 일하며 총 1만8000달러를 번 대학생의 사례를 통해, 면세 혜택이 연간 250달러에 그친다고 소개했다. 반면 라스베이거스 카지노에서 연간 팁으로만 6만 달러를 버는 딜러는 1만 달러 넘는 세금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연 소득이 16만 달러를 초과하는 고소득 팁 근로자는 법안 대상에서 아예 제외된다.   피터 손 공인회계사(CPA)는 “팁 면세의 실질적 혜택은 연 소득이 5만~10만 달러 사이인 서비스직 종사자에게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우버나 리프트 운전자들은 이미 차량 운행에 따른 공제를 받고 세금 부담이 적은 경우가 많아, 이번 법안이 실질적 감세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인 자영업자들의 반응도 업종에 따라 엇갈리고 있다. 한인 식당이나 미용실 업주들 사이에서는 인력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환영하는 분위기다. 반면 봉제공장이나 사무직 위주의 업체를 운영하는 업주들 사이에서는 형평성 문제가 제기된다.     익명을 요구한 한 한인 업주는 “같은 4만 달러를 벌어도 식당 직원은 세금을 덜 내고, 내 직원은 그대로 세금을 낸다면 당연히 불만이 생길 수밖에 없다. 앞으로 팁을 받는 업종으로 근로자가 몰리면 구인이 더 힘들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팁 근로자들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현실적인 우려도 뒤따른다.     사이프레스에서 식당 매니저로 근무하는 데이비드 이씨는 “일단 팁이 면세된다는 점은 환영하지만, 고용주가 시급을 낮추거나 손님들이 팁을 적게 주는 부작용도 생길 수 있다”며 “실제로 도움이 얼마나 될지는 시행 이후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법안은 현재로써는 2028년까지 한시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며, 향후 정치 지형과 정부 재정 상황에 따라 연장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조원희 기자자영업계 초읽기 면세 법안 면세 혜택 한인 식당 팁 봉사료 박낙희 가주 팁면세

2025.06.11. 20:15

썸네일

성인 57% “식당 팁, 15% 이하 준다”

성인 절반 이상이 외식 후 15% 또는 그 이하의 팁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이 올해 레스토랑서 식사할 경우 최소 15%에서 20%의 팁을 주는 것이 전통적인 에티켓이라고 권장하고 있는 것에 대해 실제 소비자들은 다르게 생각하고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가 지난 8월 7일부터 27일까지 성인 1만194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57%가 식당에 앉아 식사 후 15% 또는 그 이하의 팁을 준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37%는 15%가 표준 팁이라고 답했으며 18%는 15% 미만을 준다고 밝혔다. 팁을 전혀 주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2%였다.   응답자의 81%가 레스토랑 식사 시 항상 팁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미용실(65%), 음식 배달(59%), 주류 구매(53%), 택시 또는 차량 공유서비스 이용(43%), 커피 음료 주문(12%), 패스트푸드(7%)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다.   팁을 주는 이유에 대해 의무감 때문이라고 답한 성인이 29%로 자의에 의해서라고 답한 21%보다 많았으며 경우에 따라 다르다고 답한 응답자는 49%에 달했다.   연령대별로는 의무감에 준다고 답한 18~29세가 38%, 30~49세 31%로 50세 미만이 전체의 69%를 차지했다.     소득, 학력별로는 고소득층의 39%가 의무감에 준다고 밝혀 저소득층(24%)을 상회했으며 석사 이상(41%), 학사(35%) 등 고학력자일수록 의무감에 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체에서 권장 팁 금액을 제시하는 것에 대해 40%가 반대한다고 밝혀 찬성한다(24%)를 상회했으며 업체에서 계산서에 팁을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행위에 대해서도 72%가 반대하고 찬성은 10%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팬데믹 전후로 팁에 대한 피로감(tip fatigue)도 급증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인들의 72%가 5년전에 비해 팁을 요구하는 곳이 늘었다고 답한 반면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5%에 불과했다.   이런 이유로 최근 팁을 주는 비율과 금액이 줄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레스토랑 서버에게 항상 팁을 주는 소비자는 팬데믹 전후로 4% 감소했으며 지난 2분기 레스토랑 풀서비스에 대한 평균 팁은 전체 금액의 19.4%로 팬데믹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코넬대 호텔경영대학원 교수이자 소비자 행동 및 팁 전문가인 마이클 린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레스토랑에서 팁을 주려는 사람들의 의지가 줄고 있다. 팬데믹 초기에 소비자들은 근로자와 고용주를 돕기 위한 방법으로 팁을 더 많이 주는 데 대해 거부감이 없었으나 이제 지쳐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통적으로 팁을 주지 않는 상황 및 서비스에 대해 팁 요구가 늘고 있고 팁 액수도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팁을 줄지 안 줄지, 얼마를 줄지 결정하는데 가장 큰 요인은 서비스 질이라고 꼽은 응답자가 각각 77%로 가장 많았으며 사회적 압력에 대해선 47%가 요인이 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어느 경우 팁을 줘야하는지 확실히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매우 그렇다(34%), 어느 정도 그렇다(39%)가 73%로 전혀 그렇지 않다(26%)보다 훨씬 많았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성인 식당 레스토랑 풀서비스 레스토랑 식사 팁 15% 서비스 봉사료 18% 퓨리서치

2023.11.20. 20:0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