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카운티를 비롯한 전역에 코로나 확진자 급증으로 인한 재확산 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일주일 만에 확진자가 무려 40% 이상 늘어나고 코로나 감염과 관련한 각종 지표가 급증하면서 연말 모임 등도 잇따라 취소되고 있다. 우선 LA카운티공공보건국에 따르면 9일 LA카운티내에서 발생한 일일 확진자는 3756명이다. 이 밖에도 ▶일일 검사자 대비 확진율(일주일 평균) 12.1% ▶코로나 감염으로 인한 입원자 1243명 ▶중환자실 입원자 146명(전날 137명) 등 계속해서 코로나 감염과 관련한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이미 LA카운티 보건 당국은 지난 8일 카운티의 코로나 전염 수준을 중간 단계에서 ‘높음’으로 격상시킨 가운데 바이러스 확산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LA카운티공공보건국 바버라 페러 국장은 “현재 상황을 보면 200명가량 모이는 행사나 모임에서 최소 1명 이상이 코로나에 감염될 확률은 80~90%”라며 “카운티의 전염 수준이 계속 ‘높음’을 유지하고, 코로나 환자가 전체 병상 가동률의 10%를 차지하게 된다면 마스크 착용 정책을 부활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11일 현재 카운티내 전체 병상 중 코로나 입원 환자는 6.9%를 기록하고 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역시 LA카운티 정부 등을 대상으로 마스크 착용 정책 재시행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CDC에 따르면 전국에서 인구 100만 명이 넘는 카운티 중 코로나 전염도가 ‘높음’에 속한 카운티는 LA카운티를 비롯한 샌버나디노·샌타클라라카운티(각각 가주), 마리코파·피마카운티(애리조나), 킹스·퀸즈·뉴욕·서포크·브롱크스·낫소카운티(각각 뉴욕) 등 총 11개 지역이다. CDC 바버라 매혼 박사는 “지금 대도시 지역에서 지난 몇주 동안 약 40% 이상씩 코로나 환자가 급증하는 사태를 보고 있다”며 “마스크 의무화 정책 시행을 심각하게 고려해봐야 하는 시점”이라고 전했다. LA카운티 보건 당국 역시 주민들에게 마스크 착용을 강력히 권장하고 있다. 페러 국장은 “코로나로 인한 봉쇄 정책 등은 없겠지만, 지금은 모두가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크리스마스 파티, 연말 콘서트 등에 참석할 경우 그만큼 코로나에 감염될 확률은 크게 늘었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경고했다. 실제 한인들 사이에서도 코로나 재확산 사태로 연말 모임 등이 속속 취소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UCLA 동문회 에드워드 김(39)씨는 “송년 모임을 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나 독감에 걸린 동문이 최근 많아졌다”며 “결국 모임을 취소하게 됐고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면 내년 1월에 다시 스케줄을 잡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LA카운티에서는 11일 현재 5세 이상 주민의 경우 84.8%(824만7548명)가 최소 1회 이상 코로나 백신을 접종했다. LA카운티는 전국에서도 백신 접종률이 상당히 높은 지역에 속한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마스크 봉쇄 코로나 전염도 마스크 코로나 la카운티공공보건국 바버라
2022.12.11. 20:00
중국 최대 경제도시인 상하이가 65일만인 지난 1일 코로나19 봉쇄에서 해제되자 캘리포니아 항구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에서 넘어오지 못하고 쌓였던 화물 물량이 한꺼번에 밀려와 작년 하반기와 같은 극심한 ‘물류 대란’이 닥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2일 로이터에 따르면 상하이 봉쇄 기간에 항구는 열려 있었지만, 공급망 훼손으로 공장 가동 등이 사실상 중단돼 미국으로 가는 물량이 크게 줄었다. 그러나 봉쇄 해제로 상하이 항구 기능이 정상화되면서 테슬라 전기차와 애플 노트북 등 각종 상품의 캘리포니아로 운송도 봉쇄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하이항에서 출발한 캘리포니아행 화물의 행선지는 대개 로스앤젤레스(LA) 항과 롱비치 항이다. 롱비치 항만청의 마리오 코데로 이사는 로이터에 “상하이와 중국 화물 지연 상황을 고려할 때 (롱비치 항으로의 화물은) 어떤 형태로든 급증할 것”이라며 “얼마나 늘어날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우려했다. 롱비치 항은 상하이 봉쇄 기간인 지난 4월에도 수입량이 9.2% 급증해 월간 최대치를 기록한 바 있다. 따라서 상하이 봉쇄 해제로 화물이 한꺼번에 몰려들 경우 ‘화물 대란’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한다. 코데로 이사는 “이달부터 중국산 미국 신학기 용품과 가을 패션 상품, 이른 크리스마스 배송 등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LA항은 지난 4월 수입량이 6.8% 줄면서 다가올 화물 폭주에 대비할 기회가 생겼다. 진 세로카 LA항 이사는 로이터에 화물 적체를 줄였고 하역을 기다리는 화물선도 20여척 수준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상하이 봉쇄 상하이 봉쇄 상하이 항구 봉쇄 해제
2022.06.05. 17:33
코로나19 재확산에도 봉쇄 조처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약속에 뉴욕증시가 3일 연속 하락세에서 벗어나 일제히 상승했다. 21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560.54포인트(1.60%) 상승한 3만5492.70에 마감됐다. S&P500 지수는 전장보다 81.21포인트(1.78%) 오른 4649.23, 나스닥 지수는 360.14포인트(2.40%) 상승한 1만5341.09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미크론의 확산 우려로 3거래일 연속 하락했던 뉴욕증시는 이날 반발 매수세로 상승 출발했다. 이어 이날 오후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와 같은 봉쇄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투자 심리를 자극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환자 치료에 대응할 장비와 지식을 갖추는 등 오미크론과 싸울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델타항공이 5.9%, 유나이티드항공이 6.9% 오르는 등 항공·여행 관련 업종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그래나이트 투자자문사의 티머시 레스코는 “오미크론 탓에 투자심리가 급격하게 위축되고 변동성이 늘었다”며 “오미크론의 영향이 크지 않다면 주식시장이 반등할 것”이라고 말했다.봉쇄 뉴욕 지수 반등 나스닥 지수 봉쇄 조치
2021.12.21. 19:38
오미크론 변이 우려로 급락했던 뉴욕증시가 반등에 성공했다.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29일 전 거래일보다 236.60포인트(0.68%) 상승한 35,135.9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60.65포인트(1.32%) 오른 4,655.2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91.18포인트(1.88%) 오른 15,782.83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중심으로 새로 발견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공포 심리로 블랙 프라이데이인 지난 26일 올해 들어 최대폭 하락했던 다우 지수를 포함한 주요 지수들은 이날 상승세로 출발했다. 나스닥을 제외한 나머지 2개 지수는 오전 한때 상승 폭을 거의 반납하기도 했으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백악관 연설 직후 다시 급반등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설에서 "사람들이 백신을 접종하고 마스크를 쓴다면 봉쇄할 필요는 없다"며 추가 여행제한 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진화에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 테슬라는 5.1%, 엔비디아는 6%,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2.4%, 애플은 2.2%, 마이크로소프트는 2.1% 각각 상승했다. 특히 코로나19 백신 제조사인 모더나 주가는 지난 26일 20% 이상 폭등한 데 이어 이날도 11.8% 급등했다. 오미크론발 공포에 폭락했던 여행주는 소폭 반등하거나 낙폭을 줄였다. 로열캐리비언 크루즈가 2.8% 올랐고, 유나이티드항공은 0.7% 상승했다. 헤지펀드 업계의 거물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캐피털매니지먼트 창업자는 트위터를 통해 "초기에 보고된 데이터들은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가볍거나 중간 정도의 증상, 즉 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면서 전염력은 더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이것이 사실로 확인된다면 시장에 낙관적인 소식"이라고 말했다.봉쇄 증시 나스닥 지수 증시 반등 다우 지수
2021.11.29. 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