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삶의 향기] 민심(民心)은 천심(天心)

동양에서 하늘은 우주의 근원으로서 지혜, 공정, 덕의 궁극적 원리로 여겨진다. 민심이 천심이라는 말 속에는 대중이 하늘과 같이 지혜롭고, 공정하고, 덕을 갖추고 있다는 의미가 들어있다. 반면, 중우(衆愚)정치라는 말도 있다. 이성보다 감정이 앞서고, 장기적 공익보다 눈앞의 이익을 좇는 대중의 모습에 기초한 단어이다. 현실에서 보여 지는 대중의 모습은 하늘과 중우, 어느 쪽에 가까울까.       대중은 합리적이고 공익적인 판단을 하기 어려운 한계들을 갖고 있다. 우선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고급 정보는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고, 왜곡된 정보를 접할 가능성도 크다.     둘째, 경제, 과학 같은 전문 지식이 필요한 사안을 판단할 만큼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대중이 각 분야에 대한 상당한 수준의 지식을 갖추지 못하면 민주주의는 요원할 수밖에 없다는 공통된 제언으로 강좌를 마무리하는 이유이다.     셋째, 엄밀한 의미에서 인간은 객관이 불가능한 존재이다. 두려움, 분노, 혐오, 탐욕 등 감정이 판단을 흐리고 인종, 종교, 이념, 지역감정 같은 선입견이 사실보다 우선한다. 이는 집착이 지혜를 가린다는 불가의 견해일 뿐 아니라 실험에 의해 입증된 현대 인지과학의 결론이기도 하다.     넷째, 전체보다 개인의 이익이 우선이다. 장기적, 공익적 판단보다 즉각적이고 개인적인 이익을 선택하는 경향이 크다. 즉 ‘지금 당장 나에게 유리한가’가 기준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사실들에도 불구하고, 현대 민주주의에서 대중은 지혜롭고 정의로운 존재로 과장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동양의 인내천(人乃天·사람이 곧 하늘이다.), 루소의 ‘일반의지’(General Will)나 현대의 집단지성(Wisdom of the Crowd) 등 사상적 근거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하다.   ‘모두가 부처’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이다. 괴팍한 직상 상사나 사고뭉치인 막내아들까지는 봐줄만 하다. 뉴스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억대 사기범들과 연쇄 살인마에 이르면 고개를 갸웃하지 않을 수 없다. 부처는 두 가지 모습으로 구분한다. ‘부분적 부처’와 ‘완전한 부처’. 원래는 모두 부처이지만, 100% 발현되지 않은 사람을 부분적 부처, 100% 발현된 사람을 완전한 부처라고 표현한다. 누구든지 마음이 맑고 지혜로울 때는 완전한 부처인 것이고, 마음이 욕심과 어리석음으로 가려 있을 때는 부분적 부처가 되는 것이다. 모두가 부처라는 말은 현실 모습 자체가 아닌 수행을 통해 도달해야 하는 목표 혹은 누구나 완전한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봐야 한다.     대중은 지혜롭고 정의롭기도 하지만, 한 없이 어리석은 존재이기도 한다. 민심이 천심이라는 말은 현실의 모습이 그렇다기보다는 교육과 수행을 통해 달성 될 수 있는 목표 혹은 누구나 천심에 이를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민심이 천심’의 본의와 한계를 경계하지 않는다면, 대중의 지지가 절대적인 현대민주주의에서 정치인들의 이익에 의해 대중은 계속해서 중심을 잡지 못하고 그들에게 휘둘리는 중우(衆愚·어리석은 대중)로 남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email protected]  양은철 / 교무·원불교 미주서부훈련원삶의 향기 민심 천심 장기적 공익적 부분적 부처 현대 민주주의

2025.08.18. 17:3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