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사람은 다 아는 감성적인 주방용품 브랜드 '닥터하우스(Dr.Hows)'가 중앙일보 '핫딜'에 상륙했다. 닥터하우스는 기존의 익숙한 것들에 편리함과 세련된 감성을 더하여 색다른 제품을 구현하는 브랜드로 유명하다. 어디에 놓아도 자연스럽게 공간에 녹아드는 일상의 오브제로 평범했던 우리 집 부엌에 색다른 분위기를 선사한다. ▶트위스터 불꽃 트윙클 스토브 흔한 휴대용 가스버너도 닥터하우스가 만들면 차원이 다르다. 바비큐도, 전골도, 찌개도 예쁘게 조리할 수 있다. 단순히 보기에만 좋은 것이 아니라 기능도 훌륭하다. 바람이 불어도 끄떡없는 트위스터 불꽃으로 화력이 강력하며 미세한 불 조절과 열 배출을 지원한다. 또한 자석식으로 편리한 탈부착과 원터치 점화, 2중 안전장치를 적용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동과 보관을 위한 아이보리톤 케이스도 함께 제공된다. 트위스터 불꽃 트윙클 스토브의 성능은 모두 갖추면서 사이즈가 컴팩트한 '트위스터 트윙클 미니스토브'는 핑크, 민트, 레몬, 그린 등 네 가지 색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고요 전기포트 1.0L 고요 전기포트는 안정감 있는 형태와 도자기 같은 질감으로 바쁜 일상 속 고요하고 아름다운 쉼표를 완성해 준다. 감성을 더하는 히든 플레이트의 내부는 위생적인 통주물형 스테인리스로 제작됐다. 그뿐 아니라 만져도 뜨겁지 않은 이중 단열 구조, 빨리 끓는 고출력 가열, 물 끓임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스팀 컨트롤 기능, 과열 방지 자동 차단 기능, 편리한 원터치 버튼 기능까지 탑재했다. ▶도란도란 멀티쿠커 가족, 친구들과 도란도란 둘러앉아 풍족한 식사를 즐기고 싶다면 도란도란 멀티쿠커를 추천한다. 닥터하우스 특유의 감성적인 디자인은 물론, 냄비와 그릴팬으로 구성되어 구이, 전골, 볶음, 찜, 탕, 튀김까지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다. 냄비는 4.5L에 가로 31.4cm, 세로 25cm 사각 형태로 함께 하는 인원이 많거나 큰 요리를 할 때도 한 번에 조리할 수 있으며, 그릴팬은 방사형 패턴으로 굴곡에 따라 사면으로 기름이 빠져 음식 맛을 보완한다. 또한 내열 강화 유리 뚜껑으로 조리 상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스팀홀 구멍을 설계해 내용물이 넘치지 않도록 했다. 현재 중앙일보 '핫딜'에서 닥터하우스 입점을 기념하는 35% 할인전을 펼치고 있다. 주방에 감성 한 스푼을 더해줄 닥터하우스 할인 이벤트는 오는 7월 17일까지 계속된다. ▶문의:(213)368-2611 ▶상품 살펴보기:hotdeal.koreadaily.com핫딜 부엌 감성
2024.07.10. 18:33
늦은 밤에 뭘 생각하다가 답답해지면 제일로 가볼 만한 곳은 역시 부엌밖에 달리 없지./ 커피를 마시자고 조용조용히 덜그럭대는 그 소리는 방금 내가 생각하다 놔둔 시詩같고,(오 시詩 같고)/(…) 매일매일 식구들을 먹여 살리는 고요의 이 반질반질한 빛들을 나는 사진으로라도 찍어볼까? 가스레인지 위의 파란 불꽃은 어디에 꽂아두고 싶도록 어여쁘기도 하여라. 장석남 시인의 ‘부엌’ 부분 매일매일 식구들의 먹을 것을 만들어 내는 부엌. 날마다 밥을 짓고 국을 끓이고 때로 빵이 구워지기도 하는 부엌은 예부터 성스러운 장소였다. 조상들은 부엌을 관장하는 신을 조왕신이라고 했다. 아궁이에 불을 때서 밥을 짓던 예전의 어머니들은 부뚜막을 아주 신성시했다. 아궁이에 불을 때면서 남을 험담하지 않아야 하고 부뚜막에 걸터앉거나 함부로 발을 디디지 못하게 했다. 늘 정갈하게 닦고 깨끗하게 관리했다. 밥을 풀 때 첫 주걱의 밥을 부뚜막에 놓는 습관은 부엌의 신을 존중하는 뜻이기도 했다. 그러나 부엌은 여자들에게 노동이 강요되는 장소였다. 사랑과 헌신이라는 이름으로 감당해야 하는 부엌일은 그 경중의 여하를 막론하고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 한때 부엌이 족쇄라고 생각된 적이 있다. 세 아이의 밥을 책임져야 하는 어미로서 부엌은 피할 수 없는 노역의 장소라고 생각되어 부엌에서 탈출할 수 있는 날이 언제일까, 부엌에서 벗어날 수 있는 날만을 기다렸다. 부엌이라는 공간의 상징성에 배타적이기도 하고 한 인간이 희생양이 되어야 순조로워지는 세상사가 부조리하다고 생각되어 억울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런 시간도 잠깐, 아이들은 커서 떠나가고 나의 부엌은 한동안 적막해졌다. 음식 냄새가 풍기지 않는 부엌은 소식이 끊긴 관계처럼 적적하다. 부엌이 갈등의 장소이던 시간을 거쳐 이즈음에 이르고 보니 부엌이 아늑하고 평화로운 장소임을 알게 된다. 음악을 들으며 장아찌를 담고 김치전을 부칠 때 부엌은 온갖 잡념을 버리고 한 가지 생각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래서 앞쪽에 넓은 창이 있는 카페 같은 부엌을 갖는 게 소망이기도 하다. 돌이켜보니 아이들이 학교에서 돌아와 각각 제 방에서 숙제하고저녁 불빛 아래서 음식을 만들던 날들은 가장 행복했던 시간이기도 했다. 진즉에 깨달았더라면 부엌에서 보내야 했던 시간이 훨씬 빛났을 것이다. 궁리가 깊은 부엌이 되어 영혼을 다스리는 명품 레시피 하나쯤 개발되었을지도 모른다. 초밥의 명장으로 잘 알려진 일본의 오노 지로는 90이 넘은 나이에도 완벽한 초밥을 만들기 위해 일과 사랑에 빠져 있다고 한다. 기네스북에 등재된 최고령 요리사이기도 한데 영혼이 깃든 초밥을 만드는데 일생을 바치고도 늘 완벽한 초밥을 만들려는 노력을 쉬지 않는다고 한다. 시인은 시 말미에 “공기 속의 그릇들은 내 방의 책들보다 더 고요히 명징한 내용을 담고 있어 읽다가 먼데 보는 얄팍한 은색銀色시집詩集 같고”라고 한다. 음식을 만드는 도구로서의 그릇이 담고 있는 명징한 내용은 은색 시집과 같다는 시인의 말은 영혼이 깃든 시를 쓰는 일이나 영혼이 깃든 음식을 만드는 일이나 다를 게 없는, 사랑에 관한 일이어서 훈훈하다. 조성자 / 시인시로 읽는 삶 궁리 부엌 한때 부엌 음식 냄새 장석남 시인
2021.11.09. 1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