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바다 품은 해양도시, 지역 부촌으로 우뚝

해양신도시가 지역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며, 부동산 시장에서는 안정적인 성장과 투자 가치를 인정받는 블루칩으로 떠오르고 있다.     해양신도시는 바다를 매립하거나 기존 해안가를 재개발해 조성하는 도시로, 산업·주거·관광·물류 등 다양한 기능이 융합된 복합공간이다. 단순한 국토 확장을 넘어 해양산업 활성화, 일자리 창출, 지역 균형발전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미래형 도시 개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바다와 인접한 평지에 조성돼 탁 트인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으며, 체계적인 도시계획에 따라 도로망은 물론 문화·편의시설 등이 고르게 들어선다. 여기에 여가·휴양 기능까지 결합된 복합 주거 환경은 실수요와 투자 수요를 동시에 흡수하며 신흥 고급 주거지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실제 국내 주요 지역에서 해양신도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며 뚜렷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대표 사례로 꼽히는 인천 송도국제도시는 연수구와 남동구 해안 매립지에 조성됐으며, 공항 인접성을 기반으로 국제업무지구, 병원, 국제학교, 대규모 주거단지가 복합된 자족형 도시로 성장했다. 2003년 2천여 명이던 인구는 2023년을 기점으로 20만 명을 돌파했으며, 인천의 강남으로 불리며 수도권 대표 부촌으로 자리매김했다. 송도동의 경우 인천 최초로 전용 84㎡ 아파트가 ‘10억 클럽’에 진입했으며, 평균 매매가가 8억2,200만 원(KB부동산시세 7월 기준)으로 인천시 집값을 리딩하고 있다.     전남 여수의 웅천지구도 성공적인 해양신도시 개발 사례로 주목받는다. 여수시 웅천동 일원에 조성된 이곳은 해양관광 중심도시라는 지역 특성과 맞물려, 주거와 관광·레저 기능이 복합된 해양복합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요트마리나, 해양공원 등이 조성되면서 관광객 유입은 물론 주거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부산 북항 재개발 사업은 국내 최초의 항만재개발 사업으로 주목받는다. 중구와 동구 일대 노후화된 부산항을 새롭게 정비하고 해양레저, 문화, 상업, 업무 등이 융합된 글로벌 관광도시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3단계에 걸쳐 총사업비만 약 20조 원이 투입된다. 1단계 사업은 약 155만㎡ 부지에 2조8,000억 원을 투입해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부산항 복합 친수공원, 북항 마리나 등의 개발을 완료했고, 문화시설인 오페라하우스도 2026년 완공을 앞두고 있다. 2단계 사업은 지난 2월 사업계획 수립 용역을 시작으로 본격 재개됐다. 향후 항만구역·철도 시설, 주거, 상업, 업무, 숙박, 마이스 등 복합기능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북항은 해양 기관 클러스터 조성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지난 2월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해운조합 등 7개 기관은 '부산항 북항 재개발 해양 기관 클러스터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 구역 내 '복합항만지구' 7만7000㎡ 부지에 해양 관련 기관들이 집적하게 되며, 연구·교육·산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해양산업 중심지가 조성될 전망이다.   정부는 해양수산부의 임시 청사를 부산 동구 IM빌딩과 협성타워로 확정하고, 연내 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거론되고 있는 HMM 본사의 부산 이전, 해사법원 설치 등이 추진된다면 북항 일대는 해양산업과 관련 행정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6년 상반기 부산 북항 재개발 지구에 개관 예정인 ‘롯데캐슬 드메르 레지던스호텔(가칭)'이 주목받고 있다.     북항 재개발 구역의 주요 관문인 부산역 주변에는 단기 체류에는 적합하지만 중장기 체류에는 다소 한계가 있는 소형 객실 위주의 중소 브랜드 호텔들이 대부분이다. 반면, 롯데캐슬 드메르 레지던스호텔은 선호도가 높은 객실 타입을 갖추고 있으며, 현재 메이저 호텔 브랜드와 브랜드 도입 협의를 진행 중이다.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이 바로 맞은편에 위치해 있으며, 부산역이 도보로 약 10분 거리에 있다. 아울러 건물은 지하 5층에서 지상 59층, 2개 동으로 조성되며, 최고 높이 213m의 초고층 랜드마크로 들어선다. 지상 51층에는 오션뷰 수영장을 비롯해 피트니스, 골프연습장, 사우나, 레스토랑, 카페, 갤러리 등 다채로운 호텔급 부대시설이 마련된다. 입실은 올해 9월 예정이다.     한편, 롯데캐슬 드메르 레지던스호텔의 판매시설인 ‘롯데캐슬 드메르 에비뉴’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현재 북항 재개발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뛰어난 입지에 레지던스호텔 개관이 예정돼 늘어날 장·단기 체류 수요를 배후수요로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캐슬 드메르 에비뉴는 약 9,553㎡, 지상 1~2층에 총 91개 호실로 구성되며, 가시성과 접근성이 높은 대규모 스트리트형 상업시설로 조성된다. 건물의 1,221실 자체 수요와 인근 주거시설의 안정적인 고정수요, 국내외 관광 수요에 더해 해산부 이전에 따른 상주 인구까지 다양한 고객층을 흡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앵커 테넌트(핵심 브랜드 매장)’ 위주로 입점이 이뤄질 경우, 유동 인구 유입이 크게 증가해 상권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해양도시 부촌 해양신도시 개발 해양산업 활성화 창출 지역

2025.07.27. 17:52

썸네일

최고 부촌 벅헤드 토양 '납 오염' 비상... 방사능 수치도 높아

조지아주 최고 부촌으로 알려진 벅헤드 일부 토양이 납과 우라늄, 라듐 등 방사성 물질로 오염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암과 피부염 등을 앓고 있는 주민들은 전문기관과 함께 오염물질 중독과 연관성 여부 규명에 나섰다.   5일 건강전문 매체인 KFF 헬스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자신의 뒷마당에서 금속폐기물 슬래그(slag)를 발견한 벅헤드 주민 엘리자베스 번스는 에모리대 관련 연구팀에 분석을 의뢰, 납 오염 수치가 높다는 답변을 들었다. 번스는 또 전문기관으로부터 토양이 우라늄, 라듐, 토륨 등 방사성 물질에도 오염돼 있다는 통보를 받았다.   당장 마당의 오염을 제거해야 한다는 환경청의 권고에 따라 지난 달 오염물질 제거작업에 착수했다. 그의 마당에서는 도자기 조각, 빈 병, 코크스 재, 유리조각 등이 대거 나왔다. 그 속에는 코카콜라 뿐 아니라 화장품과 의약품, 매니큐어, 향수병 등 1920~1940년대 화학약품들이 발굴 돼 충격을 주었다. 환경과학자 이레 사이카와는 이 곳이 쓰레기 투기장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환경청은 오염물질 제거 작업에 30만 달러가 들 것으로 추산했다.   번스는 2016년에 집을 사 이곳에 이사 왔는데, 4년 전 유방암 진단을 받았고, 빈혈과 희귀 피부병인 스위트 증후군을 앓고 있다. 아들도 건강에 문제가 있어 혈액을 전문기관에 보내 오염과 연관성 여부를 파악 중이다.   번스의 이웃 크리스 웹스터도 뒤뜰에서 폐타이어, 온수기, 벽돌과 유리조각 등이 발견돼 환경청에 검사를 의뢰했다.   애틀랜타 서부에서는 납 오염이 심각한 사실이 이미 드러났다. 500여개의 건물을 대상으로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임계치인 400ppm보다 높은 납성분이 검출됐다. 현재 청소가 진행중이지만 작업을 마치는 데까지는 몇 년이 더 걸릴 예정이다.   주택 중간가격이 85만 달러에 달라는 부촌 벅헤드마저 이렇게 오염이 심각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부동산 전문가들은 주택구입자들이 집을 살 때 오염 여부를 철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하고 있다.   토머스 공 기자  방사능 부촌 오염물질 제거작업 오염 수치 오염물질 중독과

2023.05.05. 14:44

일리노이 최고 부촌 케닐워스

일리노이 주 최고 부촌은 미시간 호변에 위치한 시카고 북 서버브 케닐워스 (Kenilworth)로 나타났다.     또 일리노이 주에서 주택 평균 가격이 높은 부촌은 대부분 시카고 인근 서버브에 밀집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 정보 웹사이트 '스태커'(Stacker)는 최근 온라인 부동산 웹사이트 '질로우'(Zillow)의 통계를 바탕으로 일리노이 주 각 타운들의 주택 평균 가격 순위를 선정했다.     지난 2022년 4월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겨진 순위에서 전체 1위는 케닐워스가 차지했다. 케닐워스의 평균 주택 가격은 154만3695달러로 일리노이 주에서 가장 높았다.     2위와 3위는 케닐워스의 인근 타운이자 미시간 호변에 위치한 위넷카(141만8184달러)와 글렌코(131만3400달러)가 각각 차지했다. 이들 세 도시의 평균 주택 가격은 모두 100만 달러를 넘었다.     이어 힌스데일(99만1325달러), 골프(96만2147달러), 배녹번(94만4986달러), 레이크 포레스트(92만9444달러), 사우스 배링턴(91만2159달러), 배링턴 힐스(84만917달러), 윌멧(84만150달러)이 4위~10위에 올랐다.     이 외 오크브룩(13위•73만7684달러), 롱그로브(14위•73만1451달러), 인버네스(20위•66만5018달러), 하일랜드 파크(23위•62만9173달러), 노스브룩(25위•61만1966달러), 글렌뷰(26위•59만8436달러), 링컨샤이어(28위•58만1197달러) 등도 상위권에 포함됐다.   Kevin Rho 기자일리노이 부촌 일리노이 최고 최고 부촌 미시간 호변

2022.06.22. 12:55

썸네일

LA 부촌서 주말 연쇄 주택 강도

웨스트LA지역 부촌에서 지난 주말 사이 잇따라 연쇄 강도 사건이 발생,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LA경찰국(LAPD)에 따르면 7일 오후 9시께 웨스트 LA지역 카론 로드 인근 한 주택에 강도가 침입해 보석류 등 귀중품 등을 털어 달아났다.   사건 발생 2시간 뒤 베벌리크레스트 지역 델펀 드라이브 인근 한 주택에서 또 다시 강도 사건이 발생했다.     브렌트우드 지역 웨스트 올리픽 불러바드 인근 한 고급 주택에도 8일 오전 6시50분쯤 강도가 침입했다. 경찰은 신고를 받고 즉시 출동, 현장에서 용의자 1명을 체포했다.   LAPD 관계자는 “주말 사이 벌어진 주택 강도 사건은 모두 고급 주택들을 상대로 이루어졌다”며 “이날 체포된 용의자가 주말 사이 다른 지역 부촌에서 벌어진 범행에 연관이 있는지 여부를 수사중”이라고 전했다.  장열 기자부촌 주말 주택 강도 연쇄 강도 주말 연쇄

2022.05.08. 19:37

92067, 92118, 92014 지역은 전국적 ‘부촌’

미국에서 가장 주택 가격이 비싼 100대 우편번호(zip code) 순위에 샌디에이고 카운티에서는 3곳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프로퍼티샥(www.propertyshark.com)’이 최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샌디에이고 카운티에서는 랜초 샌타페, 코로나도, 델마, 라호야, 페어뱅크스 랜치 등 전통적인 로컬의 부촌이 주택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샌디에이고 카운티에서 주택 가격이 가장 비싼 3대 우편번호는 ‘92067’, ‘92118’, ‘92014’ 등으로 개별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92067: 랜초 샌타페 지역에 속한 우편번호로 2021년 중간 주택 가격이 339만9000달러 조사됐다. 델마시 동쪽에 자리잡은 이 지역은 유칼립투스 나무숲이 넓게 조성돼 주거환경이 뛰어나 백만장자들이 자신의 이상적인 거주지로 손꼽는다. 중간 가격이 비싼 전국 순위에서 18위를 차지했다.   ▶92118: 2021년 중간 주택 가격은 194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국 63위를 기록한 이 우편번호가 속해 있는 코로나도는 오랜 관광지이자 남가주에서도 손꼽히는 부촌이기도 하다. 특히 세계적 명성의 코로나도 비치가 펼쳐진 곳으로 유명인들로부터 제2의 거주지로 인기를 끌고 있다.   ▶92014: 아름다운 비치와 고급 호텔 그리고 쇼핑센터로 널리 알려진 델마 역시 남가주에서 잘 알려진 부촌이자 관광지다. 이 우편번호의 2021년 중간 주택 가격은 185만 달러로 조사됐으며 전국 순위는 74에 랭크됐다.   한편 샌디에이고 카운티 집값의 고공행진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로컬 부동산 업계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코어로직 사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9월 샌디에이고 카운티 주택의 중간 가격인 74만 달러로 조사됐는데 이는 1년 사이 13.8%나 오른 것이다.   김영민 기자샌디에이고 부촌 우편번호 전국 순위 샌디에이고 카운티

2021.11.16. 19:1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