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관세로 비용 부담 우려…자동차 자가 정비 증가

#. 30대 한인 A씨는 과거 모든 수리를 딜러십에 맡겼다. 품질 보증과 편의성 때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와이퍼, 에어컨 필터 등 교체가 간편한 소모품들은 직접 수리하고 있다. 최근 관세 영향에 수리비용이 크게 올랐을까 봐 걱정이 들어서다. 그는 “직접 해서 한 푼이라도 아낄 수 있다면 아껴야 하는 시기”라고 말했다.   #. 또 다른 한인 차량 소유주 B씨는 자동차광이다. 큰 수리가 필요한 게 아니라면 직접 공부해 교체, 수리하는 편이다. 그는 “내 자식에게 좋은 것만 주고 싶듯 내 차에도 좋은 것만 주고 싶다”면서도 “최근엔 지속된 여러 가지 가격 부담에 조금 더 저렴한 제품으로 타협하게 됐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자동차 관세가 단순히 차량 가격 인상만을 넘어, 수리 비용까지 끌어 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업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 사이에선 전문 업체에 맡기는 대신 일부 부품은 직접 교체하는 ‘셀프’ 정비가 인기를 끌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3일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했다. 관세 대상에는 배터리, 타이어 등 핵심 부품 또한 포함된다.   자동차 전문 사이트 카스닷컴의 제니 뉴먼은 “브레이크 패드, 배터리, 범퍼, 센서 등 차량 유지·보수에 쓰이는 많은 부품이 수입품”이라며 “공급업체들은 관세 부담을 수리업체와 딜러 정비부서에 전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실제 업계는 수입 부품 가격이 오르면 이는 고객들이 지불해야 하는 비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우리자동차의 구주선 사장은 “아직까지 눈에 띄는 부품 가격 인상은 없지만 공급가가 오르면 업체들이 이를 모두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소비자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와 경기 침체 가능성 등 불확실성 속에서 소비자들은 지출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이 특별한 장비 없이도 교체 가능한 부품은 직접 정비(DIY)하거나 더 저렴한 브랜드 제품으로 대체하는 등 절약형 소비 트렌드가 두드러지고 있다.   시장정보 분석업체 서커나의 네이선 시플리 분석가는 “2020년 이후 보증 기간이 지난 차량이 2000만 대 증가했다”며 “최근 소비자들은 직접 정비에 나서는 등 비용을 줄이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커나가 지난 2월에 실시한 소비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29%가 “전에는 전문가에게 맡겼던 엔진오일 교환을 이제는 스스로 하고 있다”고 답했다.   실제 소매 판매 데이터를 보면, 지난 2년간 모터오일과 필터류의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에 따른 제품 브랜드 교체 현상도 뚜렷했다. 타이어, 세차용품, 와이퍼 블레이드 등은 소비자들이 특히 가격 부담을 느끼며 브랜드를 교체하는 대표 품목으로 전해졌다.   서커나의 타이어 판매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에는 가장 저렴한 ‘티어 4’ 등급 타이어가 ‘티어 1’ 등급을 제치고 판매 점유율에서 앞서기도 했다.   한편 현재 도로를 달리는 차량들의 평균 연식이 계속 늘어나고 있어, 기존 차량 소유자들도 곧 부담을 안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S&P 글로벌 모빌리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자동차 및 트럭의 평균 연식은 12.6년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S&P 글로벌 모빌리티의 애프터마켓 부문 책임자인 토드 캠포는 “평균 연식 증가로 인해 현재 약 1억1000만 대 이상의 차량이 정비 수요가 가장 많은 ‘골든 타임(6~14년)’에 진입했다”고 말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자동차 관세로 차량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기존 차량을 더 오래 차량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아 문제가 더 심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훈식 기자자동차 수리 비용 자동차 관세 자동차 전문 박낙희 정비 수리 자가 수리 자가 정비 부품 관세

2025.06.16. 20:49

썸네일

차 부품 훔치려다 차주 흉기에 찔려 사망

    자동차 촉매변환기를 훔치려던 절도범이 집주인이 휘두른 흉기에 찔려 목숨을 잃는 사건이 21일 오전 엘몬테 지역에서 발생했다.   LA 카운티 셰리프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2시 30분 경 사우스 엘몬테 1만1200블록 티에네스 애비뉴에서 해당 사건이 일어났다.   출동한 경찰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40대 후반 남성이 상체에 상처를 입고 쓰러져 있었다. 응급구조대는 현장에서 이 남성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수사 당국에 따르면 사건 현장 드라이브웨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부품을 훔치려던 일당이 범행을 하려다 집주인에게 발각돼 도주하는 과정에서 1명이 집주인이 휘두른 흉기에 찔려 숨졌다.   나머지 용의자 2명은 소형 차량을 타고 디에네스 애니뷰 동쪽 방면으로 달아나는 것이 목격됐다.   수사 당국은 현재 집주인으로부터 정확한 사건 정황을 확인하고 있는 중이다.  김병일 기자부품 차주 차주 흉기 현재 집주인 자동차 촉매변환기

2023.04.21. 10:13

썸네일

LA 차량 부품 도난 하루 15건…182% 급증 4년래 최다

올해 상반기 LA에서 일어난 차량 부품 도난범죄가 4년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분석 사이트 ‘크로스타운’은 LA경찰국(LAPD)의 범죄통계를 인용해 지난 1월 1일~6월 30일까지 6개월간 시 전역에서 총 2778건의 차량 부품 도난범죄 사건이 발생했다고 13일 전했다. 하루 평균 15건 이상 발생한 셈으로 팬데믹 전인 2019년 같은 기간 983건보다 182.65% 증가했다.     차량 부품 절도는 상반기 기준 2020년 1754건, 2021년 2428건에 이어 올해 2778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차량 부품 중에서도 ''촉매변환기(Catalytic Converter)'' 도난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전조등, 에어백 등도 ‘인기 도난품’에 포함됐다.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장치인 촉매변환기는 특히나 백금, 팔라듐, 로듐 등 값비싼 금속 물질들이 포함돼 있어 절도범들의 타겟이 되고 있다.   국립보험범죄수사국(NICB)에 따르면 툴리 리먼 매니저는 “도난된 촉매변환기는 암시장을 통해 1개당 50~250달러에 거래된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픽업트럭과 배달 차량은 높은 지상고로 절도범의 표적이 되기 쉽다”며 “도요타 프리우스나 혼다 시빅 등 하이브리드 모델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같은 차량 부품 절도가 가장 많았던 곳은 LA다운타운으로, 올해 상반기 동안 123건이 발생했다. 이외 실마 109건, 밴 나이스 95건, 노스힐스 85건, 채스워스 69건 등이 잇따랐다. 장수아 기자차량 부품 차량 부품 배달 차량 인기 도난품

2022.07.13. 19: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