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자동차 부품업체 우리산업 조지아 진출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인 우리산업이 조지아주 중남부 더블린 시에 1800만 달러를 투자해 북미 첫  공장을 설립한다고 7일 발표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실에 따르면 생산 공장은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공장인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에서 서쪽으로 약 95마일 떨어진 로렌스 카운티에 위치하며 일자리 130개 이상을 창출할 전망이다.   우리산업은 1989년 한국 수원에서 연료센더 생산업체로 시작해 현재 자동차 환기 및 공조장치 등의 전문 기업으로 성장했다.   더블린에 새로 들어서는 공장은 오는 11월 가동을 시작하며, 북미에서 생산되는 테슬라, 리비안, 루시드, 카누 등 전기자동차 및 내연 자동차 메이커에 전기 히터, 제어장치 등을 납품할 예정이다.   특히 전기자동차(EV)는 엔진이 없어 난방에 활용할 열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EV용 히터는 난방 역할과 함께 배터리 온도도 유지해야 한다.   김정우 우리산업 CEO는 "지난 10년간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전기차 부품 전문기업으로 성장했다"며 "조지아는 우리가 한 단계 더 도약할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윤지아 기자부품업체 우리산업 자동차 부품업체 조지아 진출 김정우 우리산업

2023.06.07. 15:03

썸네일

자동차 부품업체 서연이화, 사바나에 조지아 2번째 공장 설립

자동차 내외장 부품을 제조하는 현대자동차의 협력업체인 서연이화(Seoyon E-HWA)가 약 7600만 달러를 들여 조지아 사바나에 제조 시절을 설립한다.     1일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실은 성명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부품 공급업체인 서연이화가 직간접적으로 740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조지아가 전기차 시장의 수도가 되도록 이와 같은 프로젝트는 계속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서연이화는 1972년 설립됐으며, 현대자동차그룹 외에도 벤츠, 포드, 폭스바겐 등에 부품을 제공한다.     서연이화는 전 세계 생산공장 17곳, 연구소 3곳 등을 운영하고 있다. 2005년 앨라배마 몽고메리에 공장을, 2010년 조지아 라그란지에 공장을 설립했으며, 사바나에 들어오는 생산 시설은 동남부 지역 세 번째 공장이 된다.     사바나 공장은 2024년 10월부터 도어 트림, 헤드라이닝, 시트, 범퍼 등의 부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류양석 서연이화 회장은 "부품 개발 및 생산 경험을 바탕으로 조지아주 채텀 카운티에서 전기 자동차 부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영광"이라고 밝혔다.     한편 조지아는 지난 2020년부터 전기자동차(EV) 관련 프로젝트 35개 이상, 총 210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며 EV 허브로 거듭나고 있다. 윤지아 기자부품업체 자동차 자동차 부품업체 조지아 사바나 사바나 공장

2023.02.02. 16:04

썸네일

차 부품업체 일자리 수십만개 소멸 공포

일본과 미국 자동차 산업을 떠받치는 자동차 부품산업 중심지인 일본 시즈오카현과 디트로이트시 일대가 몰려오는 전기자동차 ‘폭풍’으로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25일 전기차에는 필요하지 않은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시즈오카와 디트로이트 등지의 중소 부품업체들이 전기차 시대에 살아남을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시즈오카에서 자동차 조립·검사용 장비 기업을 운영하는 스즈키 마사카츠(56)씨는 “전기차에 필요한 건 배터리, 운전대, 의자, 바퀴가 전부”라며 “어떤 조처를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솔직히 살아남는 게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디트로이트 공장에서 연료분사장치에 연료를 공급하는 부품을 단조공정으로 만드는 ‘트렌턴 단조’의 데인 목슬로 부사장(33)은 “이 부품은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며 “걱정스럽지만 대비해야 할 일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들 업체가 직면한 현실은 전 세계 자동차 부품업계 모두에 해당한다. 기후변화로 인해 온실가스 최대 배출원 중 하나인 교통·운송 분야 에너지원을 화석연료에서 전기로 바꾸려는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일어나는 변화다.   가솔린이나 디젤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가 부품이 훨씬 적은 전기차로 바뀌면 기존 자동차 부품 업체는 새로운 부품 생산으로 전환하는 등의 변화가 불가피하다.   전기차에는 엔진 실린더와 연료 공급·분사·점화장치는 물론 머플러 등 배기가스 관련 장치 등이 내연기관 자동차의 핵심 부품들이 필요 없게 된다. 이런 변화는 자동차 생산뿐만 아니라 주유소와 자동차 정비업계 등에도 큰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런 변화가 대부분 규모가 크지 않은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대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진행된다는 점이다.   일본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선언했다. 혼다자동차는 2040년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중단을 선언하고 협력업체들에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도요타 자동차도 2025년까지 15개 차종의 전기차를 판매하겠다면서 새 EV 브랜드인 ‘도요타 비지’(TOYOTA bZ) 출시 계획을 내놨다. 미국은 전기차 전환을 더 서두르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는 2035년 이후에는 전기차만 판매할 계획이다. 스텔란티스는 2030년까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탄소 저배출 자동차의 미국·유럽 판매 비중을 70%로 높일 방침이다.   이에 따라 경영컨설팅업체 아서 D. 리틀은 일본에서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 체제로 전면 개편될 경우 자동차 산업 전체 일자리의 약 10%에 해당하는 3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했다.   또 미국에서 전기차의 판매 비중이 현재 전체 판매량의 1% 정도에서 50%로 높아질 경우 7만5000여 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예측 가능한 변화에도 이미 현상 유지에 급급한 자동차 부품 업체들은 미래에 대비할 여유가 없는 경우가 많다.   시즈오카에서 70여 년째 내연기관 흡입밸브 생산 중소기업을 운영해온 쓰지모토 사토시(63)씨는 “새 사업을 찾아야 한다”며 “살아남기 위해 싸우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미시간주 밀퍼드에서 40여 년째 트랜스미션 부품을 생산하고 있는 ‘퀄리티 스틸 프로덕트’의 조지프 슈웨그먼 사장도 펜치 같은 공구나 다른 부품 생산을 모색하고 있다며 “더 적극적으로 다른 기회를 찾아보려 한다”고 말했다.   보스턴 매사추세츠대 시어도어 디윗 교수는 전기차 전환을 20세기 초 미국에서 증기가 전기로 대체되면서 공장에서 증기엔진이 사라지고 전에는 없던 전기공이라는 직업이 생겨나던 때에 비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자리가 없어지기만 하고 다른 일자리가 생기지 않는 그런 산업 변혁은 없다고 생각한다”며 “전에는 없던 일자리들이 생겨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품업체 수십만개 자동차 부품산업 중소 부품업체들 자동차 생산

2021.10.25. 18:0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