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북두칠성

밤하늘에서 가장 찾기 쉬운 별자리가 바로 북두칠성인데 그 이유는 일곱 개의 별들이 모두 밝게 빛나고 있어서 우리 눈에 쉽게 띄기 때문이다. 북극성은 방향을 알려주는 별이어서 자주 찾지만, 빛이 약해서 찾기가 쉽지 않으므로 먼저 북두칠성을 찾고 나서 북극성을 찾는 것이 순서다.     오랫동안 프톨레마이오스가 정한 48개의 별자리를 비롯하여 여러 문화권에서 생긴 수많은 별자리가 있었지만, 1930년 국제천문연맹에서는 총 88개의 별자리를 정한 다음, 하늘을 같은 수만큼 나눠서 각각의 자리에 그렇게 정해진 88개의 별자리를 배분했다.     예를 들어 직녀성은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인데 이렇게 하면 넓은 하늘에서 직녀성을 찾기가 상당히 수월해진다. 글을 시작하면서 북두칠성을 별자리라고 했는데 이는 틀린 표현이다. 북두칠성은 정식 별자리(성좌 constellation)가 아니라 큰곰자리라는 이름의 별자리 중 꼬리 부분을 이루는 성군(asterism)이다. 눈에 잘 띄는 만큼 세계 각국은 물론이거니와 한 나라에서도 지방마다 다른 여러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장례 풍속은 사람이 죽으면 입관 전에 염습을 하는데 지방에 따라서 사체 아래에 송판을 대기도 한다. 그 송판에는 북두칠성 모양으로 구멍이 7개 뚫려 있는데 이를 칠성판이라고 부른다. 만약 사체를 세우게 되면 마치 망자가 칠성판을 짊어지고 있는 모습이어서 칠성판을 진다는 말은 죽는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간 신앙에는 출생을 담당하는 삼신할미가 있는데 여기에 대해 북두칠성은 인간의 죽음을 관장한다고 믿었다. 별을 신격화하지 않던 우리나라의 샤머니즘도 유독 북두칠성이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한다고 생각해서 주검 아래 칠성판을 깔았다. 중국에서도 북두칠성은 죽음을 담당하는 신이다. 여담이기는 하지만 군사독재 시절 죄수의 증언을 받아낼 때 나무로 만든 틀에 묶어서 고문했는데 그 나무를 칠성판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어차피 죽게 될 죄수를 묶은 고문 틀을 칠성판이라고 했으니 실낱같은 삶의 희망이라도 품고 있다가 그 소리를 들으면 얼마나 좌절했을까 생각해 본다. 이참에 그분들의 명복을 빈다.   미국은 1867년 러시아로부터 알래스카 땅을 매입하여 1959년 미합중국의 제49번째 주로 편입했는데 알래스카가 정식 주로 승격되기 전 1927년 주를 상징하는 깃발 디자인 공모에서 짙은 파란 색 바탕에 금색 북두칠성과 북극성이 그려진 배니 벤슨의 응모 작품이 뽑혔다. 배니는 당시 13세의 소년이었다.   일반적으로 북극성은 과학 기술이 발달하지 않던 시절 우리에게 방향(북쪽)을 알려주는 중요한 별이었지만, 별빛이 그다지 밝지 않아서 찾기가 쉽지 않았다. 그런데 국자 모양을 한 북두칠성은 일곱 개의 별이 모두 또렷이 밝아서 쉽게 눈에 들어온다. 국자의 손잡이 반대쪽의 두 별 사이 길이의 다섯 배 정도 국자 바깥쪽으로 연장하면 별 하나가 반짝거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희미한 별이 바로 북극성이다. 그러므로 방향을 알기 위해서 북극성을 찾으려면 우선 북두칠성을 찾아야 수월히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   별을 항성(恒星)이라고 하는 이유는 우주의 시간에 비해 찰나를 사는 우리 인간에게 별은 움직이지 않고 항상 한 곳에 고정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지만 사실 별도 오랜 기간에 걸쳐 움직인다. 먼 미래 어느 날 북두칠성도 제 모습을 잃을 것이며 직녀성이 북쪽을 가리키는 북극성 노릇을 하게 된다고 한다. (작가)           박종진북두칠성 박종진 금색 북두칠성과 북두칠성 모양 북극성은 과학

2025.11.21. 13:17

썸네일

[박종진의 과학이야기] 북두칠성

북반구에서 항상 보이는 별자리 중 일곱 개의 별이 모여서 된 북두칠성이 있다. 서양 별자리 중에서 큰곰자리의 꼬리 부분이 바로 북두칠성인데 현재 국제천문연맹이 공식적으로 정한 별자리 이름은 아니지만, 밤하늘을 쳐다보면 워낙 잘 보이기 때문에 여러 나라에 북두칠성에 관계되는 전설이 많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북쪽에 있는 일곱 개의 별이 마치 국자 모양을 하고 있어서 북두칠성이라고 하는데 눈이 좋은 사람은 국자 손잡이 끝에서 하나 이전의 별 바로 옆에 별빛이 약한 별 하나를 더 볼 수 있다고 한다. 아랍권에서는 그 별을 이용하여 시력을 측정했다고 하고, 로마 군대에서는 그 별을 볼 수 있는 사람을 활 쏘는 군인으로 뽑았다고 한다. 하지만 일반인 눈에는 일곱 개의 별이 모여 북두칠성을 이룬다.   나침반이 없던 시절에는 북극성을 보고 방향을 알 수 있었다. 그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북극성이지만 2등성인 북극성은 쉽게 우리 눈에 띄지 않는다. 북극성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면 우선 북두칠성을 찾아야 한다. 국자의 손잡이 반대쪽, 그러니까 그릇 모양의 끝에 있는 두 별을 찾아서 그 두 별이 떨어진 길이의 약 다섯 배를 가면 거기에 희미하게 보이는 별이 바로 북극성이다. 북반구의 겨울철에는 북두칠성이 지평선에 가깝게 있어서 차라리 알파벳 W자 모양의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이용해서 북극성을 찾는 편이 수월하다.   지구의 자전축 북쪽을 따라 연장하면 북극성이 있는 곳이어서 북극성 방향으로 가면 북쪽이라고 알았다. 북두칠성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돈다. 아니 지구가 자전하므로 우리 눈에는 북두칠성이 도는 것처럼 보인다. 24시간에 완전히 한 바퀴를 돈다고 한다. 그래서 북두칠성의 위치를 보고 시각을 계산해 내는 방법도 있다. 그러므로 북두칠성은 우리에게 시각을 알려 줄 뿐만 아니라 북극성을 찾게 도와주어서 결국, 방향을 알게 해 주는 별자리다.   지구는 마치 팽이처럼 스스로 돈다. 그런데 팽이가 도는 모습을 관찰하면 주기적으로 꼭지가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구도 자전하면서 그렇게 자전축 북쪽 끝이 작은 원을 그리며 움직이는데, 이를 세차운동이라고 한다. 그런 이유로 약 1만 2천 년 후에는 지금의 직녀성이 북극성 자리로 오게 된다.   구름이 없어서 밤하늘에 별이 보이는 날, 자기가 서 있는 곳에서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면 영락없이 북두칠성이 보인다. 그 다음에 북극성을 찾는다. 현대를 사는 우리는 과학 기술의 도움으로 방향이나 시각을 손쉽게 알 수 있지만, 옛날에는 북극성과 북두칠성을 보고 알았다.    이렇듯 우리 인류는 수렵이나 유목 생활을 했든 농경 생활을 했든 별의 움직임에 크게 의존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온전히 한 바퀴 도는 기간을 일 년으로 잡았고, 지구가 스스로 한 바퀴 도는 것을 하루라고 정했다. 7요일 체계도 해와 달을 포함해서 우리 맨눈에 보이는 행성 이름으로 만들었으며, 어떤 별은 신앙에 관련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망자를 관에 넣기 전에 관 바닥에 북두칠성 모양의 구멍을 뚫은 칠성판을 깐다. 북두칠성이 죽음과 연관된 별자리란 것을 알 수 있다. (작가)     박종진박종진의 과학이야기 북두칠성 북극성과 북두칠성 북두칠성 모양 북극성 방향

2023.05.05. 14:2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