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불황을 이기는 투자] 의료·보건·필수 소비재 등 방어주로 불황 타개

불황은 경기순환의 일부다. 경제가 주기적으로 거쳐 가는 과정이라는 뜻이다. 호경기가 장기간 지속할 수 있지만 언젠가는 고점을 찍게 마련이다. 경기확장은 언젠가는 경기둔화로 대체된다. 그 시기가 올해가 될지는 불투명하다.     경기둔화 정도가 심하면 이를 불황(recession)이라고 부른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미국경기가 불황을 겪을 것인지를 두고 말들이 많다. 불황을 동반한 하락장은 그렇지 않은 하락장에 비해 훨씬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     개인, 기관 할 것 없이 대부분의 투자자가 고전하는 기간이다. 특히 경기 흐름에 민감한 부문이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된다. 반면 그렇지 않은 부문도 있다. 경기순환과 상관성이 적어 충격을 덜 받거나 오히려 약진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불황에 대비하는 투자에 대해 알아본다.   ▶불황에 덜 민감한 분야   의료, 보건 분야는 상대적으로 불황을 잘 견디는 분야다. 경기순환과 관계없이 수요가 꾸준하게 유지된다. 경기가 나쁘다고 필요한 치료나 관리를 미룰 수는 없기 때문이다.     존슨앤드존슨, CVS 헬스, 화이저, 유나이티드헬스, 월그린스 등은 이 분야의 대표적인 브랜드들이다. 개별 종목 선택은 추가적인 리서치가 필요한 부분이겠지만 이 분야가 불황을 잘 견뎌온 것은 역사적인 경험치다.   의료, 보건과 마찬가지로 필수 소비재들도 같은 이유에서 불황을 잘 견뎌낼 수 있는 분야로 자주 언급된다.     음식, 음료, 비내구성 가정용품, 개인용품 제조, 유통업계가 여기 해당할 것이다. 불황이 오면 외식이 줄고 식재료를 사다 가정에서 준비하는 패턴이 우세해진다.     필수용품들에 대한 수요는 불황이 와도 기본 수준은 유지하게 된다. 크로거, 펩시, 프록터앤드갬블, 제너럴밀스, 타이슨푸드 등이 이 분야의 대표적인 업체들이다.     다음은 유틸리티 분야를 꼽을 수 있다. 경제활동이 둔화하더라도 전기, 수도, 개스, 쓰레기 처리 등에 대한 수요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의료, 보건, 필수 소비재 등이 가진 특징을 공유하고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경기가 약화돼도 꼭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 충격이 덜할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실적도 꾸준하다.     또 할인매장도 불황 방어형 분야 중 하나다. 불황이 오면 아무래도 지출이 위축되기 마련이다.     소비패턴도 달라진다. 저렴한 가격대의 물건들을 더 선호하게 된다. 필요하지 않은 지출은 미루거나 아예 포기하게 되기도 한다.     월마트, 달러제너럴, 홈디포, 코스트코, 달러트리 등이 대표적인 업체들이다. 원래도 인기 있는 기업들이지만 절약이 중요한 시기에는 더 주목을 받게 될 수밖에 없다.   ▶분산 포트폴리오의 역할   불황을 더 잘 극복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는 분산 포트폴리오다. 몇 가지 종목으로 분산하는 것은 부족하다. 여러 ‘섹터’에 걸쳐 분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역사적으로 불황에 대비하는 방어주 역할을 잘해낸 분야와 기업들을 포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흔히들 말하는 대형 ‘블루칩’이 유리할 수 있다. 올해 들어 성장주의 ‘역습’이 진행 중이지만 결국 가치가 우세한 기간이 장기화할 수 있다.     지난해 초까지 진행된 상승장에서 인기 높았던 분야는 테크와 통신 분야다. 흔히들 성장주로 불리는 종목들이 이 분야에 포함된다.     5G, 스트리밍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소셜미디어 등의 섹터가 상승장을 선도했다. 하지만 경기둔화는 이들 기업의 지출을 줄이게 될 것이다. 기업 광고도 줄고, 소비자 역시 소셜미디어나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소비자들은 불황이 오면 일단 비용을 줄이는 것에 관심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성장주를 완전히 외면하라는 뜻은 아니지만, 불황이 주는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방어 종목들로 분산하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유리할 것이다   ▶안전 자산·전술 자산운용   불황에 대비한 투자 포트폴리오는 방어주 외에도 다양한 투자옵션이 포함될 수 있다. 손실 위험 없이 필요에 따라 평생 보장 소득원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금은 대표적인 불황 대비형 자산이다.     그중 지수형 연금은 시장하락에 따른 손실은 없지만, 상승장의 혜택은 일정 부분 볼 수 있기 때문에 채권을 대신할 수 있다.     요즘처럼 불투명한 장세에서는 특정 자산이나 투자 스타일에  제한받지 않고 원자재 등 대체자산과 투자전략을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술 자산운용이 유리한 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     분산에는 전통적인 ‘바이앤드홀드’ 형식의 분산도 있지만, 안전 자산과 리스크 자산 사이를 탄력적으로 오가며 ‘알파’를 추구하는 전술 분산도 있다.     단지 자산 유형의 분산에서 그치지 않고 투자 스타일과 방법까지로 분산의 영역이 확장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켄 최 아메리츠 에셋 대표 [email protected]불황을 이기는 투자 연금 방어주 불황 방어형 분야 의료 분산 포트폴리오

2023.02.14. 20:20

썸네일

[전술투자와 자산배치] 리스크 레벨 선택 후 분산 포트폴리오 구성

투자에는 늘 손실 리스크(risk)가 따르게 마련이다. 그래서 투자는 늘 적정 수준의 리스크 관리 역시 동반하게 된다. 다양한 투자자산들 사이 적절한 배치를 통해 소위 말하는 ‘분산투자’를 하게 된다. 분산투자의 기본목적은 리스크 관리에 있다. 2022년 한 해는 모든 투자자에게 힘든 한 해였다. 이런 시장환경일수록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 투자에 있어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함께 짚어봐야 할 개념들이 있다.     ▶분산투자와 집중투자   자산배치를 통한 분산은 실은 리스크의 분산이다. 분산투자가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이는 잘못된 이해다.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투자는 집중투자라고 부른다.     실제에서는 분산 투자한 포트폴리오의 성적이 결과적으로 더 좋은 결과를 낼 수는 있다. 그렇다고 분산의 목적이 수익률 극대화라는 의미는 아니다. 집중투자의 결과가 분석과 예상을 빗나가서 손실이 나고, 분산투자의 결과가 리스크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 덕분에 손실을 덜 내면 나올 수 있는 현상일 뿐이다.   분산투자는 수익도 분산된다. 대형 하이테크주가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데방어주와순환주 등에 분산하면 그만큼 자금이 분산되고, 대형 하이테크주의 급성장의 열매를 다 얻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각자에게 적절한 수준의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반면 집중투자는 수익률의 극대화를 꾀하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집중된다. 분석과 예상이 어긋나면 그만큼 손실이 클 수도 있다는 뜻이다.   ▶자산배치와 분산   분산은 여러 곳에 나눠 투자한다는 의미다. 그런데 이 분산은 자산배치를 통해 이뤄진다. 분산 포트폴리오는 자산배치의 결과물인 셈이다.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과 수용 능력에 따라 자산배치 과정에서 선택되는 특정 투자자산의 비중이 결정된다.     공격적인 투자자의 분산 포트폴리오는 리스크 자산의 비중이 높게 책정되고, 보수적인 투자자의 분산 포트폴리오는 리스크 자산의 비중이 작게 책정되는 식이다. 구체적인 구성비는 원하는 포트폴리오의 리스크 수준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분산 포트폴리오의 유형도 리스크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많이 활용되고 언급되는 60/40 분산 포트폴리오를 예로 보면 리스크 자산인 주식에 60%, 안전 자산인 채권에 40%가 배치된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그러니까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과 수용 능력을 기초로 60/40의 자산배치 비율이 결정되고, 이를 토대로 주식형 자산과 채권형 자산이 선택되고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엔 개별 주식이나 채권이 활용될 수도 있고, 펀드나 ETFs 등이 활용될 수도 있다.   ▶전략투자와 전술투자   분산과 집중의 차이, 분산을 위해 시행되는 자산배치 등의 개념을 이해했다면 이제 전략적 투자와 전술적 투자에 대해 알아야 한다. 둘 다 능동적 투자 방식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능동적 투자는 수동적 투자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머니 매니저가 능동적으로 종목이나 자산배치를 바꿔가며 투자하는 것을 능동적 투자라고 부르고, 대부분의 리테일(retail) 뮤추얼펀드가 이에 해당한다.     반면 수동적 투자는 특정 인덱스를 벤치마킹해 따라가도록 고안된 투자상품을 활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인덱스 펀드가 그 대표적 예라고 볼 수 있다. 전략투자와 전술투자가 모두 능동적 투자라는 것은 머니 매니저가 적극적으로 자산을 운용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양자 사이에는 매우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전략투자는 비록 보유 종목은 바뀔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buy and hold’ 방식이 주를 이룬다. 자금의 대부분이 항상 투자되고 있고 구성비가 바뀌지 않는다. 반면 전술투자는 필요할 경우 100% 현금자산으로 자금을 뺄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하락장이 지속할 것이라고 판단될 경우 60/40이라고 해도 100% 현금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물론, 실제 적용에서는 100% 현금보다는 원자재, 채권, 롱-숏(long-short) 등 다양한 투자자산과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이를 통해 하락장에서도 오히려 수익을 꾀하기 위함이다. 어쨌든 자산운용이 그만큼 탄력적으로 이뤄진다고 이해할 수 있다.   ▶결론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투자자마다 자신에게 맞는 리스크 레벨을 선택하고 그에 맞는 분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기본이다. 다음은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이다. 자산운용 업계에서는 점차 전술적 투자운용 방식을 수용하는 흐름이다.     2000~2003년, 2007~2009년, 그리고 2022년의 하락장을 경험한 투자자들이 보다 탄력적인 리스크 관리와 자산운용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전술투자 운용은 손실 리스크를 최대한 피하면서도 상승장이 주는 수익률 혜택도 동시에 가져가는 것이 목표다.     그러나 늘 그 목표를 달성한다고 할 수는 없다. 결국 여기서도 분산의 덕목이 필요해 보인다. 투자자산이 분산만이 아니라 투자방법의 분산도 필요하다. 전략과 전술은 상호 배타적이라기 보다 서로 보완적이기 때문이다.   켄 최 아메리츠 에셋 대표 [email protected]전술투자와 자산배치 포트폴리오 리스크 리스크 분산 분산 포트폴리오 특정 투자자산

2022.12.06. 20:49

3·5년 단기 연금 이용 5% 이자로 위험 분산

어려운 투자환경이다. 특히 은퇴를 앞둔 이들에게는 더 그렇다. 시장의 변동성은 높고 인플레이션은 현금의 구매력을 떨어뜨린다. 월가의 머니 매니저들은 불확실한 장세가 지속하고 있음에도 불구, 시장에 계속 투자하고 있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지금처럼 불안정한 투자환경 속에서는 말처럼 쉽지 않다. 어떻게 투자할까?   ▶전통 분산 포트폴리오   전통적인 60/40 분산 포트폴리오는 올해 좋은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주식형 자산 60%, 채권형 자산 40%로 구성된 포트폴리오가 원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역사적인 추이를 볼 때 주식형 자산이 떨어지면 채권형 자산은 오르면서 포트폴리오 전체의 균형을 잡아줬다. 지금은 그 역할을 못 하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이 채권형 자산에 불리하게 작용한 탓이다.   하지만 꼭 나쁜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채권값은 떨어지지만 반대로 이자수익률은 올라갔기 때문이다. 은퇴 포트폴리오에는 나름 기회를 제공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자수익률이 워낙 낮은 상태가 오래가면서 채권의 소득 창출 기능이 약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이 부분이 강화됐다고도 볼 수 있다. 증식과 소득에서 소득을 담당하는 한 축으로 사용됐던 채권의 기능은 좋아졌다는 뜻이다.   ▶새로운 구성비 등장   월가의 매니저들은 요즘 은퇴자산 포트폴리오의 구성비를  60/40 대신 40/60 혹은 50/50을 얘기한다. 주식형 자산 비중을 전통적 비율에서 조금 하향 조정한 것이다. 아무래도 주식형 자산 투자에 따른 리스크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보는 듯하다.     채권형 자산이 리스크 분산을 제대로 해주지 못하는 이유가 작용한 셈이다. 은퇴 후반기의 주식형 자산 비중은 20~30% 선으로 더 줄일 것을 권장하고 있다.   투자 전문가들이 예비 은퇴자들이나 은퇴자들에게 주식형 자산 보유를 권하는 이유는 필요 수익률 때문이다. 주식형 자산에 대한 포트폴리오의 노출은 꼭 요즘처럼 인플레이션이 높은 환경에서만 강조되는 것은 아니다.     정상적인 인플레이션 환경에서도 필요하다. 현금자산은 사실상 마이너스 성장이기 때문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구매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식형 자산을 배제할 수 없다. 은퇴 기간이 길어졌다는 것도 한몫한다. 필요 수익률이 더 요구되는 탓이다.   ▶현명한 선택 중요성 증대   주식형 자산의 비중을 소폭 하향 조정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40/60의 포트폴리오도 하락장에서는 손실이 클 수 있다. 40%의 주식도 내려가고 60%의 채권도 동반하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식형 자산의 비중을 줄인 포트폴리오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의 문제가 여전히 남는다.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은 주식이나 채권 모두 리스크가 낮은 쪽을 활용하는 것이다. 소형주보다는 대형주가 낫다. 채권은 이자가 상대적으로 낮아도 신용등급이 높은 쪽 위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당이 좋은 주식 위주로 선택하는 것도 은퇴 포트폴리오를 위해서는 유리하다. 충분하지는 않더라도 어느 정도 소득을 창출하는 역할을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 배당률이 좋은 것보다는 역사적 배당률을 보는 것이 필요하다. 재무상태가 건전해서 미래에도 비슷한 수준의 배당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대체자산과 능동적 운용   일각에서는 시장이 최근 저점을 형성했다고 기대하는 듯하다. 시기상조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고 연준의 고강도 긴축 행보가 달라질 만한 이유도 없다. 고용시장, 소비가 아직도 비교적 양호하다. 이는 연준에게 실탄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들 경기지표 대부분이 후행지수라는 점이 불황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은퇴 포트폴리오는 리스크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하락장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늘 그렇다. 물론, 하락장에서는 더 중요하다. 주식형 자산을 기존의 일반적 비율에서 10~20% 줄이라는 것도 이런 차원에서 나오는 조언이다.     하지만 단순히 비율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손실 리스크가 충분히 관리되기는 어렵다. 시장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단기 채권의 비중을 늘리거나 원자재, 금속, 통화 등 대체자산을 활용하는 것은 능동적 자산운용이다.     채권 대신, 혹은 채권과 함께 지수형 연금을 활용하는 것도 손실 리스크를 줄이고, 소득원을 만드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지수형 연금을 포함한 포트폴리오의 구성비는 앞서 언급한 새로운 구성비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이고 더 효과적일 수 있다.     3년, 5년의 단기 연금을 통해 5% 이상 이자를 받는 것도 시장 리스크 없이 수익을 내며 어려운 시기를 지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원한다면 시중이자 변동을 반영해 이자가 바뀌는 정부 채권(FRN)도 활용할 수 있다.     이런 다양한 자산 유형과 운용전략을 활용한 분산 포트폴리오는 20~30% 하락한 올해 장세 속에서도  4~5% 안팎에서 하락 폭을 통제했다. 시장보다 15~20% 좋은 성적인 셈이다.     투자에는 손실 리스크가 전혀 없을 수는 없다. 다만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최소화할 수는 있다. 장기적인 투자 성공의 비결이기도 하고, 은퇴 포트폴리오 운용에 최적화된 접근법이기도 하다.  켄 최 아메리츠 에셋 대표 [email protected]연금 분산 주식형 자산 분산 포트폴리오 채권형 자산

2022.10.18. 23: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