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스웨덴국립중국센터(Swedish National China Center)가 발표한 중국의 외국기업 불매운동 보고서에서 한국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이 보이콧을 당하는 나라로 조사돼 씁쓸한 느낌을 준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8~2021년 사이 중국에선 모두 91건의 외국기업에 대한 불매운동이 벌어졌고, 이 중 85% 이상인 78건은 중국이 공격적인 전랑(戰狼) 외교를 펼친 2016년 이후에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중국 불매운동의 타깃 1위는 미국으로 27건이나 됐다. 2위는 각각 11건의 일본과 프랑스, 4위는 8건의 독일, 5위는 6건의 한국이었다. 한국에 대한 불매운동은 2016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사태가 촉발했다. 이탈리아, 대만, 캐나다, 스웨덴, 영국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불매운동을 당한 업종은 식품과 음료, 자동차·패션·화장품 등 다양했는데 외국기업을 때림으로써 중국기업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분야가 많았다. 문제는 불매운동의 3분의 1 가까이가 중국 당국의 관여로 이뤄졌다는 점이다. 정부 지원을 받는 단체의 불매운동이 25%에 달했고, 3%는 아예 중국 당국이 주도했다. 중국 소비자들이 중국 정권의 경제적 무기가 된것이다. 14억 거대 소비시장이 ‘황금밭’에서 ‘지뢰밭’으로 변했다는 탄식이 나오는 배경이다. 불매운동을 당한 외국기업은 어떻게 행동하는 게 최선인가. 보고서에 따르면 공개 사과한 외국기업이 52%였다. 48%는 사과하지 않았는데 기업들은 불매운동 이유에 따라 사과 여부를 결정했다. 대만이나 홍콩 등 중국의 주권과 관련된 사항에선 대부분 사과를 했으나 신장 등 인권 문제에 대해선 사과하지 않았다. 사과했다가는 서방 국민으로부터 보이콧을 당할 처지였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문제가 생기면 “중국 대중의 눈에 띄지 않게 조용히 있는 게 최선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솔직히 정답은 없는 셈이다. 보고서 결과는 많은 걸 시사한다. 그러나 우리가 보다 주목해야 할 게 있다. 지난 몇 년간 중국과 껄끄러운 관계인 스웨덴이 2020년 정부 자금으로 스웨덴국립중국센터를 출범시켜 중국에 대한 정밀 연구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스웨덴 의류 브랜드 헤네스앤모리츠(H&M)가 중국에서 어떻게 불매운동을 당하고 있는지를 상세하게 밝혔다. 스웨덴보다 더 많은 불매운동에 시달리고 있는 한국은 중국의 사드 보복에 대한 백서도 없다. 중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스웨덴도 이런 노력을 기울이는데 중국과 평생 붙어살아야 하는 우리의 자세가 너무 안이한 것 같아 안타깝다. 유상철 / 한국 중앙일보 중국연구소장중국읽기 중국 불매운동 외국기업 불매운동 불매운동 이유 스웨덴국립 센터
2022.08.29. 20:57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기업과 소비자가 자체 제재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항의하고 있다. 캐시 호출 뉴욕 주지사는 주 정부 기관에 러시아 기업과의 거래를 중단할 것을 명령했다. 특히 제임스 본드에 의해 대중화되면서 오랫동안 러시아의 최고 수출품 중 하나였던 보드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국제적 분노의 표적이 되고 있다. 뉴욕타임스, USA 투데이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한 항의 표시로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 러시아산 보드카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버지니아, 오하이오, 뉴햄프셔 주지사들은 국영 소매업체들에 러시아 주류를 진열대에서 치우라고 명령했다. 주정부 운영 매장을 통해 술과 와인을 판매하는 뉴햄프셔 크리스 수누누 주지사는 “주류 및 와인 매장에서 러시아산 및 러시아 브랜드 증류주 판매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오하이오주 마이크 드와인 주지사는 러시아 소유 제조업체인 어시안 스탠다드에서 만든 모든 보드카의 구매 및 판매 중단을 발표했다. 버지니아주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인 L. 루이스 루카스는 버지니아의 400개에 달하는 주 정부 운영 알코올음료 통제국 매장에서 모든 러시아 보드카 및 러시아산 제품 판매 중지를 요구하고 나섰다. 아칸소 공화당 상원의원인 톰 코튼은 트위터에 “러시아 보드카를 모두 버리고 탄약과 미사일과 함께 빈 병을 우크라이나로 보내 화염병을 만들 것”이라고 적었다. 캔자스주와 미시간주의 주류 판매점에서는 러시아산 보드카 대신 아예 우크라이나산 보드카를 홍보하고 있다. 시민들도 보드카 보이콧에 동참했다. 오리건주 밴드에서 술집을 운영하는 빌 맥코믹은 가게 선반에 있던 러시아 보드카를 모두 쏟아부어 화제가 됐다. 러시아 보이콧 운동가들은 이런 조치가 우크라이나와의 연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러시아에 경제적 압박을 가한다는 점에서 이런 불매운동의 효과는 사실 미미하다. 미국 증류주 위원회에 따르면 2020년 미국 내 보드카 시장 규모는 70억 달러에 달한다. 하지만 2017년 미국으로 수입된 러시아산 보드카는 전체 판매량의 1%에 불과하다. 가장 많은 보드카 수입국은 그레이 구스, 시락, 갤란트 등 프랑스로 전체 보드카 수입액의 약 39%를 차지한다. 이어 앱솔루트, DQ 같은 보드카를 보유한 스웨덴은 약 18% 이 밖에 네덜란드(17%), 라트비아(10%), 영국(5%), 폴란드(5%)등으로 나타났다. 결국 러시아산 보드카 불매운동은 경제적 위협을 가하는 수단 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크다는 지적이다. 타임스는 보드카를 러시아 사회 생활에서 분리할 수 없는 부분으로 묘사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시위는 예술계로도 확산됐다.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지지하는 예술가들과의 관계를 종료한다고 27일 밝혔다. 일부 스포츠 리그 역시 러시아와 관계를 끊고 있다. 국제축구연맹(FIFA)은 러시아 땅에서 개최되는 국제 대회를 추가 공지가 있을 때까지 중단하고 홈 경기가 관중 없이 열리도록 허용했다. 전쟁 혹은 분쟁지역으로부터의 수입품 불매 운동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3년 미국이 주도한 이라크 군사작전에 대한 프랑스의 반대로 일부 미국 정치인들은 프랑스 와인을 보이콧했다. 이은영 기자불매운동 보드카 러시아산 보드카 러시아 보드카 러시아산 제품
2022.02.28.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