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전시회가 열릴 때마다 가장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것은 판매용 모델이 아니라, 오히려 ‘콘셉트카(concept car)’다. 공상과학 영화에서 막 튀어나온 듯한 차들이 무대 위를 장식할 때, 관객들은 단순히 차를 보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엿보는 듯한 기대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콘셉트카가 실제 제작되는 경우는 드물다. 그렇다면 왜 제조사들은 막대한 비용을 들여 현실성이 부족해 보이는 콘셉트카를 꾸준히 선보이는 걸까. 콘셉트카는 일종의 ‘미래 선언문’이다. 실제로 양산되지 않더라도, 해당 브랜드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디자인을 발전시키고, 어떤 기술을 차에 녹여낼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현대차의 ‘N 비전 74’ 의 경우, 수소 하이브리드 스포츠카라는 실험적 개념을 통해 미래 친환경차 시대에도 브랜드가 퍼포먼스 DNA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도요타, 메르세데스-벤츠 역시 CES나 모터쇼에서 자율주행과 인공지능 기반의 UX를 강조한 콘셉트카를 내놓으며, 기술력을 과시하고 투자자와 소비자 모두의 관심을 끌어냈다. 콘셉트카는 ‘연구실 밖의 실험장’이기도 하다. 양산 모델에서는 비용·안전·규제라는 벽에 부딪히지만, 콘셉트카에서는 자유롭게 디자인 언어와 기술을 실험할 수 있다. BMW가 최근 공개한 ‘i 비전 디’ 콘셉트카는 외부 패널 색상이 전자잉크처럼 바뀌는 기술을 담았다. 아직 상용화 단계와는 거리가 있지만, 이런 과감한 시도는 결국 소재 연구와 인터페이스 혁신으로 이어진다. 기술이 사회로 흘러들어가는 과정에서 콘셉트카는 첫 단계다. 또 콘셉트카는 브랜드 마케팅 무기다. 자동차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른 현재, 제조사들은 단순히 차를 파는 것을 넘어 미래를 파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전동화와 자율주행이라는 격변의 시대에 소비자들에게 브랜드의 미래를 각인시키는 데 콘셉트카만큼 효과적인 도구는 없다. 특히 SNS와 유튜브 시대에는 더욱 그렇다. 과감한 디자인이 전 세계적으로 순식간에 퍼져나가며, 젊은 세대의 눈길을 사로잡기 때문이다. 최근 디트로이트 오토쇼와 IAA 모빌리티, CES를 살펴보면 이런 흐름이 분명하다. 복스왜건은 보급형 전기 SUV 콘셉 ‘ID.크로스’를 공개하며 가격 경쟁에 초점을 맞췄고, 아우디는 ‘콘셉트 C’를 통해 TT와 R8을 잇는 전동화 스포츠카 비전을 내놨다. 벤틀리는 ‘EXP 15’에서 1930년대 헤리티지를 미래 전기차에 녹여냈다. 즉 콘셉트카는 각 브랜드가 “이것이 우리가 살아남을 방식”이라고 밝히는 것이다. 물론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콘셉트카는 결국 쇼 카(show car)”라는 지적이다. 그러나 실제 양산차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이 실험들은 곳곳에서 현실화된다. 현대차 아이오닉 5의 파격적인 직선 디자인은 사실 과거 ‘45’ 콘셉트에서 먼저 선보였고, 테슬라 사이버트럭도 원래는 실험적 디자인 스터디에 불과했다. 콘셉트카는 현재와 미래를 잇고 소비자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자동차 산업은 지금 거대한 불확실성 속에 있다. 전기차 전환은 속도가 조절되고, 규제는 완화와 강화 사이를 오가며, 소비자는 여전히 가격에 민감하다. 이런 시기에 콘셉트카는 오히려 중요한 나침반일 수 있다. 기업이 어디로 가려 하는지, 기술의 다음 단계는 무엇인지, 디자인이 어떤 트렌드를 겨냥하는지 알아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모터쇼 무대 위의 콘셉트카를 볼 때마다 단순히 멋있다고 감탄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차가 10년 뒤 어떤 모습으로 도로 위를 달릴까”를 상상한다.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시대정신을 담는 도화지다. 그 초안을 가장 대담하게 보여주는 것이 콘셉트카다. 우훈식 / 경제부 기자기자의 눈 콘셉트카 concept concept car 디자인 언어 브랜드 마케팅
2025.09.14. 18:33
북미 지역을 가로지르는 개기일식(4월 8일)을 맞아서 소매 업체들이 할인이나 기념 특별 상품을 출시하는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피자헛, 크리스피크림, 프리토레이 썬칩 등이 있다. ▶피자헛 피자헛은 ‘토탈 이클립스오브더헛’ 이벤트를 통해 모든 라지사이즈 피자를 12달러에 제공한다. 일반 라지사이즈 피자(16.49~23.49달러)보다 최대 11달러 이상 저렴하다. ▶크리스피크림 크리스피크림은 개기일식을 기념한 신제품 ‘토털 솔라 이클립스 도넛’(사진)을 출시했다. 이 도넛은 초콜릿 아이싱에 은 스프링클을 뿌리고 가운데 오레오 쿠키를 올려서 개기일식을 표현했다. 이 도넛은 8일까지 한정 판매된다. ▶프리토레이 썬칩 썬칩은 개기일식 당일 오전 10시 33분부터 4분 27초 동안 신제품 파인애플 하바네로 맛과 검은콩 스파이시 구다 맛 과자를 무료로 제공하는 특별 행사를 개최한다. 참여를 원하면 업체 웹사이트(SunChipsSolarEclipse.com)에서 신청하면 된다. ▶버거킹 버거킹은 4월 8일 로얄 퍼크 회원을 대상으로 개기일식 ‘ECLIPSE’를 문자(251251)로 보내면 무료 와퍼 햄버거 쿠폰을 받을 수 있다. 첫 버거킹 앱 가입 고객도 동일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워비파커 안경 브랜드 워비파커는 모든 매장에서 국제표준화기구(ISO)인증을 받은 일식 안경을 무료로 제공한다. 한 가족당 최대 2개까지 받을 수 있다. ▶채터누가 베이커리 유명 초코파이 ‘문파이’ 제조 업체인 체터누가 베이커리는 ‘솔라 이클립스 서바이벌 키트’를 제작했다. 4개의 미니 문파이와 2개의 일식 안경이 포함된 이 키트는 9.99달러에 구매할 수 있다. 노스이스턴대학의 코엔 파우웰스 마케팅 교수는 “개기일식은 희귀성 때문에 좋은 브랜드 마케팅 기회”라며 “고객들에게 브랜드를 재미있게 알릴 수 있고 제품 구매로도 유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개기일식 마케팅 브랜드 마케팅 안경 브랜드 마케팅 활동
2024.04.04. 2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