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서부극에 흑인 보안관의 등장이라니, 믿어지는가? 1974년, 미국 영화계에 한 차례 거대한 폭풍이 몰아쳤다. 그 폭풍의 이름은 바로 ‘불타는 안장(Blazing Saddles)’. 멜 브룩스 감독의 이 걸작은 전통적인 서부극 장르를 신랄한 풍자와 파격적인 유머로 재창조하며 당시 관객들의 기대를 완전히 뒤엎었다. 단순한 코미디를 넘어, 인종 문제와 사회적 부조리를 가차 없이 조롱하며 미국 사회에 날카로운 비수를 꽂았다. 그의 유머는 50년이 지난 지금까지 여전히 통쾌하다. 영화는 평화로운 서부의 백인들만 살던 작은 마을 락 리지에 철도가 놓이면서 시작된다. 주 법무장관 헤들리 라마는 철도 사업을 이용해 마을 땅을 헐값에 매입하려는 음모를 꾸민다. 인종 차별이 만연한 마을 분위기를 이용해 흑인 사형수였던 바트를 보안관으로 임명하는 교묘한 계략을 쓴다. 예상대로 마을 주민들은 바트를 경계하고 적대감을 드러내지만, 극한의 상황 속에서 바트의 용기와 재치에 감화되어 점차 마음을 열게 된다. 라마는 결국 무력으로 마을을 장악하려 하지만, 바트와 마을 주민들의 끈끈한 유대감과 맞서 싸우다 실패하고 만다. 정의로운 보안관이 악당을 물리친다는 내용은 서부극에 잘 사용되는 소재이기는 하나 흑인 보안관을 주인공으로 세운 것은 당시로써는 혁명적인 발상이었다. 이러한 설정은 단순한 인종적 다양성을 넘어, 사회적 부조리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담고 있다. 또, 백인 영웅 대신 흑인 보안관이 등장하고, 선악이 분명하게 대립하는 단순한 구조 대신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예측불허의 상황을 연출했다. 코미디 영화의 아름다움은 사회의 문제점과 현실의 부조리를 꼬집어 유쾌하게 풀어냄과 동시에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더 나은 세상을 향한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이 영화의 가장 큰 매력 역시 유머와 풍자를 절묘하게 조화시켰다는 것이다. 서부극 특유의 배경 음악과 영상미를 과장되게 표현해 코믹한 효과를 극대화했다. 이를 통해, 인종차별과 서부극의 전형적인 클리셰를 동시에 풍자하며, 1970년대 미국 사회의 인종차별 문제를 정면으로 다뤘다. 대표적으로 감독은 KKK 단원과 나치를 비롯한 악당들이 줄지어 등장하는 장면이나 ‘Yes’와 ‘No’를 칠해 놓은 황소, KKK단의 하얀 가운 뒤에 적힌 ‘Have a nice day’, 평원에 등장하는 오케스트라와 같은 시각적인 개그로 작품의 풍자적 깊이를 더했다. 또, 이 영화는 브룩스 감독 특유의 기발한 연출 기법이 돋보이기도 한다. 초현실주의와 슬랩스틱 코미디, 패러디, 당시로써는 파격적일 정도의 저속함이 조화를 이루며, 관객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줬다. 과장된 총격전, 기상천외한 무기, 슬로우 모션과 속도감의 조화, 극단적인 리액션 등을 통해 서부극의 전형적인 액션 장면을 파격적으로 비틀고 코믹하게 재해석했다. 멜 브룩스 감독이 이 작품에서 사용한 유머는 단순히 시대의 유행을 좇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인 특성과 사회 구조에 대한 깊은 통찰을 바탕으로 한다. 권력 남용, 부조리한 사회 시스템, 인간의 욕망 등 시대를 초월한 주제들을 유쾌하게 다루면서도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고 있다. 1970년대는 미국 사회가 격동기를 겪던 시기였다. 베트남 전쟁, 워터게이트 사건 등으로 인해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큰 혼란을 겪고 있었다. ‘불타는 안장’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권위에 대한 반항, 사회적 부조리에 대한 비판, 인종차별, 새로운 가치관에 대한 열망을 표현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브룩스 서부극 서부극 장르 서부극 특유 브룩스 감독
2024.08.28. 19:38
‘레이샤드 브룩스 과잉진압’ 경찰관 기소 취하 지난 22일, 2020년 6월 흑인 청년 레이샤드 브룩스(27)의 사망에 연루된 두 명의 경찰관에 대한 소송이 취하됐다. 이날 피트 스칸달라키스 조지아주 검찰총장은 기자회견에서 경찰관 데빈브로스넌과개럿롤프를 기소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이 현장에서 두 경찰관이 직면한 상황을 비추어볼 때, 치명적인 무력 사용은 객관적으로도 합리적이었고 범죄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며 기소 취하의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또 애틀랜타 경찰(APD)는 기자회견에서 성명을 통해 롤프와브로스넌 모두 여전히 해당 기관에 재직 중이며, 조지아 POST (평화 경찰관 훈련 위원회) 재인증 및 교육을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사건은 애틀랜타의 한 웬디스 주차장에서 발생했다. 어떤 사람이 드라이브스루 레인에서 잠들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롤프와브로스넌은 음주운전 혐의로 브룩스를 체포하려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언쟁이 몸싸움으로 번져 롤프는 브룩스에 총을 쏴 살해하게 됐다. 두 경찰관도 브룩스에 의해 테이저건으로 공격을 당하는 등 이 과정에서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건은 특히 조지 플로이드의 죽음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경찰의 과잉진압 및 인종차별 반대 시위가 확산하는 중에 벌어져 공분을 더했다. 이 사건으로 롤프는 살인죄 등 11개의 혐의로, 브로스넌도 여러 개의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특검의 발표 후 안드레 디킨스 애틀랜타 시장과 경찰 노조인 ‘국제 형제단’도 특검의 결정에 지지를 표했다. 케빈 냅 국제 형제단 회장은 애틀랜타저널(AJC)에 “우리 경찰관들은 법에 따라 행동했으며 그것이 오늘 알려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시는 현재 비상경계 중이고 모든 일에 대비하고 있다”며 앞으로 있을 시위를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치인, 인권단체 등 특검의 결정에 반대하는 입장도 나오고 있어 앞으로 귀추가 주목된다. 윤지아 기자과잉진압 브룩스 경찰관 기소 브룩스 과잉진압 평화 경찰관
2022.08.23. 1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