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PN 체인, 세계 첫 ZKP 전용 칩 탑재 퍼블릭 블록체인… 11월 메인넷 공식 가동
Web3 기술 융합과 개인정보 보호형 컴퓨팅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블록체인 산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미국·영국·싱가포르 재단이 공동 설립한 ZPN 체인(ZPN Chain)이 11월 10일 공식 메인넷 출시에 나선다. 이번 론칭은 전용 ZKP(영지식증명) SoC 칩 을 탑재한 세계 최초의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데이터 자산화와 온체인 확장성, 개인정보 보호 영역에서 산업적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ZPN 체인은 ZPN 재단(미국), ZPN 재단(영국), SDAO 재단(싱가포르)이 공동으로 주도하는 프로젝트로, 영지식증명 기술을 중심으로 고성능·고프라이버시·실물자산(RWA) 호환성을 갖춘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다. 생태계는 ▲전용 ZPN 지갑 ▲블록 탐색기 ▲RWA(실제 자산) 매핑 및 데이터 추적을 지원하는 ‘ZKP Whale Server’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ZPN은 단순한 암호화폐 중심 체인이 아니라, 데이터 자산·공급망 추적·데이터 마켓플레이스·규제 대응형 프라이버시 애플리케이션을 포괄하는 ‘RWA 가치 사슬 통합형 블록체인’ 을 표방한다. 프로젝트 측은 향후 바이낸스 현물 및 선물 시장 상장을 추진해 생태계 유동성과 접근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기술적으로 ZPN 체인은 네 가지 핵심 혁신 요소를 내세운다. 첫째, 영지식증명(ZKP) 기술을 기반으로 거래나 데이터 검증이 공개 없이 이루어져 개인정보 보호와 규제 준수 모두를 충족시킨다. 둘째, ZKP 전용 SoC 칩 가속 기술을 적용해 GPU 대비 검증 시간을 약 75분에서 13초로 단축, 연산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이를 통해 대량의 온체인 검증이나 프라이버시 민감형 업무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셋째, ‘제어 가능한 프라이버시 체인(Controllable Privacy Chain)’ 구조를 도입해 기업이나 사용자가 법적·규제 요구에 맞춰 공개 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넷째, RWA 매핑 및 온체인 가치 교환 인프라를 구축해 오프체인 자산의 토큰화부터 거래·데이터 검증까지의 전 과정을 블록체인 상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ZPN 측은 “이러한 구조를 통해 오프라인 자산의 온체인 매핑,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검증, 그리고 데이터 자산의 거래까지 하나의 루프로 연결해 ‘데이터 기반 가치경제’ 를 실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GPU 기반 블록체인보다 300배 이상 빠른 처리 속도를 통해 RWA 데이터의 실시간 검증·거래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ZPN은 11월 5일 메인넷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초기 단계에서 ZPN 지갑·블록 탐색기·ZKP Whale Server 등 핵심 인프라를 동시에 공개한다. 출시 후에는 글로벌 거래소 상장과 기업 파트너십 확장을 통해 ‘자산으로서의 데이터(Data-as-an-Asset)’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공급망, 데이터 추적, 금융,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등 여러 산업 분야와 협력을 진행 중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ZPN 체인은 프라이버시 보호, RWA 통합, 규제 대응을 동시에 구현하는 독창적 구조를 통해 기존 퍼블릭 체인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메인넷이 안정적으로 가동된다면 프라이버시 체인과 자산 체인의 교차점에서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통제 가능한 프라이버시’ 모델은 각국 규제 환경에 따라 다른 해석을 받을 여지가 있어 지속적인 규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계는 이번 ZPN 체인 출범을 ZKP 기술이 블록체인의 차세대 표준으로 진입하는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ZPN은 향후 Web3와 RWA 통합 흐름 속에서 ‘프라이버시 중심 퍼블릭 체인’의 대표 주자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현식 기자블록체인 퍼블릭 퍼블릭 블록체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가운데 블록체인
2025.11.09. 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