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절반 이상, 3개월 비상금 없다…수입 중단 시 재정 취약

가계의 재정적 안전망이 여전히 취약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정보업체 뱅크레이트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성인 가운데 수입이 중단돼도 3개월 이상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비상금을 보유한 비율은 46%에 불과했다. 이는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가계의 위기 대응 여력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의미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24%는 비상금이 전혀 없다고 답했으며 30%는 일부 비상금을 보유했으나 3개월 치 생활비에는 못 미쳤다. 전문가들은 3~6개월 치 생활비를 비상금으로 권장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이 기준을 충족한 가구는 소수에 그쳤다.     응답자의 60%는 현재 비상금 수준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이 가운데 31%는 ‘매우 불안하다’, 29%는 ‘다소 불안하다’고 응답했다. 반면 ‘매우 만족’(13%)과 ‘다소 만족’(27%)을 합쳐 40%만이 현재 수준에 안도감을 나타냈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베이비부머 세대(52%, 61~79세)가 자신의 비상 저축 수준에 대해 안정감을 느끼는 경향이 가장 높았으며 Z세대(29%, 18~28세), X세대(31%, 45~60세), 밀레니얼 세대(40%, 29~44세)보다 높아 격차가 뚜렷했다.       향후 필요 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도 컸다. 전체 응답자의 85%는 최소 3개월 치 비상금을, 63%는 6개월 이상을 확보해야 안심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로 해당 수준을 보유한 비율은 각각 46%, 27%에 그쳤다.     비상금이 3개월 이상인 경우 69%가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6개월 이상 보유한 경우 만족 비율은 76%로 더 높았다. 반대로 비상금이 전혀 없는 가구의 90%, 3개월 치 미만만 보유한 가구의 82%는 불안하다고 답했다.     그렉 맥브라이드 뱅크레이트 수석 재무분석가는 “비상금 규모가 클수록 재정적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며 “2022년 물가 급등 이후 가계 지출 부담이 커지고, 비상금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이 크게 약화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비상금 수준에 만족하는 가구 비율은 2020년 54%, 2021년 51%에서 최근 40~43%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기관 SSRS가 지난 5월 16일부터 19일까지 성인 103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비상금 절반 비상금 수준 비상금 규모 현재 비상금

2025.08.27. 22: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