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꿈꾸는 사람의 것입니다." '아름다운 재단'의 박원순 상임이사(사진)가 13일 LA 새생명 오아시스 교회에서 '제1회 NGO 컨퍼런스'에서 1시간 반에 걸쳐 진행된 강연의 결론은 의외로 '뻔'했다. 기부 문화가 척박한 한국에서 남들은 하나도 하기 힘들다는 비영리단체를 벌써 3개를 성공적으로 키워낸 그가 내놓은 비결은 뜻밖에 너무 지당한 말이었기 때문이다. 그가 세운 '아름다운 재단'은 한국 사회에서 기부 문화의 새 장을 열었으며 이후 중고 물품을 기부받아 공익사업을 펼치는 '아름다운 가게'는 비영리 재단의 수익모델을 지금 대표직을 맡고 있는 '희망 제작소'는 시민이 내놓은 아이디어로 사회를 바꾸는 '혁명적인' 단체이다. 하지만 그에게 '꿈'은 유일하게 기댈 언덕이었다. 아름다운 재단이 3년째 접어서도 모집 회원이 700명에 불과할 때도 직원에게 줄 월급이 없어 발만 동동 구르던 그에게 '꿈'은 유일한 에너지원이었다. '이 꿈이 세상을 바꾼다'는 흔들리지 않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서울대 출신에 바늘 구멍 같은 사법시험에 합격해 한국 사회서 보장된 자리를 접고 비영리재단에 투신하게 된 계기가 궁금했다. 하버드 로스쿨에서 1년간 와 교환 교수로 와 있을 때 읽은 글 하나가 이 꿈을 잉태하는 씨앗이 됐다고 박 이사는 말한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영어문장은 무엇일까'라는 내용의 글이었다. 그 답은 'Check enclosed'(수표 동봉). 미국 기부 문화를 한마디로 나타내는 문장이기도 했다. 지천으로 깔린 비영리 재단들은 미국의 힘이었다. 시골의 소도시부터 대도시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자산가부터 동네 유지에 이르기까지 공익을 위해 '내어놓는' 기부 문화의 저력은 한마디로 대단했다. 이걸 한국에 퍼뜨려보겠다는 도전의식이 발동했다. 그렇게 시작된 것이 '아름다운 재단(Beautiful Foundation)'. 영어 이름을 보고 화장품 재단 아니냐며 조크하는 외국인에게 '영혼까지 아름답게 만드는' 재단이라고 답했다고. "지금 세상은 정부와 기업 비영리 재단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다"는 박 이사는 "1만명을 고용하는 기업 1개는 유치하기 어렵지만 1인을 고용하는 1만개의 기업을 만들기는 쉽다"고 말한다. 그는 "비영리재단의 가장 큰 문제인 돈은 비전만 확고하다면 반드시 모이게 된다"고 확언한다. 유망한 중소기업의 창업을 돕는 희망제작소의 한 프로그램도 그렇게 탄생했다. 하나은행이 이 아이디어를 접하고는 300억원을 내놨다. 그의 모금은 방식은 기발한 것이 많다. 지금의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 시절 월급을 한 푼도 받지 않겠다는 기사를 보고 그 다음 날로 찾아가 청소원의 유가족을 위한 기금으로 사용토록 한 것 등등 열거하기가 힘들다. 그는 또 모금활동은 작은 돈을 기부한 사람이 큰 돈을 기부하게 된다며 작은 돈을 중시하는 버릇을 가질 것과 창의적인 모금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직도 매일 절망을 느낍니다. 하지만 먼 미래는 우리가 더 잘할 것이라는 믿음과 희망이 있기에 오늘도 전진합니다." 예순 한살인 박원순의 희망가는 내년에도 계속 될 것이다. 최상태 기자
2008.11.13. 22:04
LA서 처음으로 열린 '비영리재단 관련 컨퍼런스'가 성황을 이루고 있다. 오늘(14일)까지 이틀간에 걸쳐 LA의 새생명 오아시스교회(3119 W.6th st.)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1회 코리안-아메리칸 NPO 컨퍼런스'는 평소 비영리재단 종사자나 재단 설립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 등 150여명이 몰려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첫 주강사로 나선 강준민 동양선교교회 담임목사는 '글로벌 인재와 전략적 나눔 실현'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한데 이어 '아름다운 재단'의 박원순 상임이사는 '아름다운 재단 경험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모금 방안'에 대해 변화하고 있는 한국 모금문화와 인터넷 이용 실태를 설명했다. 2차 컨퍼런스는 오늘(14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30분까지 열린다. ▷문의: (213)405-5363 최상태 기자
2008.11.13. 20:30
LA카운티 수목원내 조성될 한국정원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는 '한국전통정원설립추진위원회'가 단체명과 회장단 교체를 통해 비영리재단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추진위는 9월22일 월례 이사회를 통해 '한국전통문화유산재단(Korean Culture Heritage Garden Foundation)'이라는 비영리단체로 명칭을 바꾸는 안건을 통과시키고 향후 단체 운영을 집행부와 이사회로 2원화 하기로 결정했다. 추진위의 서영석 회장은 "한국정원이 단순한 식물원이 아닌 문화 공간을 겸한 우리 유산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며 "정원 사업 이외에 다른 문화사업 또한 적극적으로 후원하겠다는 의도도 담고 있다"고 그 배경을 밝혔다. 이를 위한 신임 회장단도 선출됐다. 신임 회장에는 한인건강정보센터의 로라 전 전소장이 총무는 조지 이 재무는 김용화씨가 각각 뽑혔다. 이번 집행부는 1기 송재순 회장 2기 서영석 회장에 이어 3기로 정원 건립을 위한 본격적인 기금 모금 캠페인과 건축을 맡게된다. 정구현 기자
2008.10.2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