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학부모는 자녀가 대학에서 받은 재정보조금 내역서를 보고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무작정 보조금 증액을 기대하며 어필 서신부터 작성해 보내지만, 대부분은 거절당하기 일쑤다. 그렇다면 대학에 보내는 어필 서신의 기준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 재정보조금이 어떤 방식으로 평가되어 지원되지 못했는지, 또 어떤 방식으로 어필해야 대학으로부터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을지, 그 접근 방식부터 개선해야 한다. 어필 서신을 작성하기 전, 대학의 입장에서 자신이 받은 내역서를 먼저 평가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은 기본적으로 재정보조 평가를 신청서와 검증 과정에서 제출된 정보를 토대로 SAI(Student Aid Index) 금액을 산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대부분 연방 정부 및 주정부 보조금에 의존하는 주립대학은 FAFSA 신청서에 기재된 정보와 연방 공식(Federal Methodology)을 기준으로 산정된 SAI 금액을 바탕으로 재정보조금을 평가한다. 하지만 최근처럼 연방정부의 계산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학부모가 직접 연방 공식을 활용해 수작업으로 SAI 금액을 계산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방 공식은 교육부가 편찬한 자료를 통해 온라인에서 출력할 수 있으며, 직접 손으로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생소한 용어나 계산 항목이 많아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단순해 큰 무리는 없다. 계산한 SAI 금액을 FAFSA 제출 후 확인 가능한 공식 데이터와 비교해 정확성을 검증해볼 수도 있다. 특히 재정상태가 해마다 달라지는 가정에서는 이러한 자체 검토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사립대학의 경우, 연방 공식이 아닌 기관별 방식(Institutional Methodology)을 적용한다. 이때는 칼리지보드를 통해 제출하는 CSS 프로파일(CSS Profile)에 기재한 정보를 기준으로 대학이 자체적으로 SAI를 산출하게 되며, 계산 과정은 복잡하고 대학별로 평가 기준도 다를 수 있다. 그래서 이 과정을 개인이 완벽하게 이해하고 검증하기란 쉽지 않다. 많은 학부모가 이런 어려움을 피해 대학 웹사이트의 Net Price Calculator(NPC)를 활용하지만, 대부분의 대학이 이를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NPC 결과가 실제 지원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학부모가 대학의 재정 부담 수준을 오판해 아예 지원을 포기하는 일도 생긴다. 대학 입장에서는 이를 방지하고자 NPC 하단에 ‘향후 보조금은 변경될 수 있다’는 식의 면책 문구를 넣어 법적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동시에, 가능한 많은 지원자를 유치하기 위해 NPC 결과를 유리하게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대학 입학 전략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학부모 입장에서는 이를 고려한 객관적 비교가 필요하다. 정확한 재정보조 평가를 위해서는 SAI 금액을 기준으로 연간 총비용에서 이를 차감한 Financial Need(재정 필요액)을 산출한 뒤, 해당 대학의 평균 재정보조 지원 비율을 적용해 자녀가 받은 지원금이 평균 수준인지, 혹은 부족한지를 따져봐야 한다. 이때 일부 대학은 동일한 SAI 금액을 가진 가정에 대해 보조금의 차등을 둘 수도 있으므로, 단순 금액 비교보다 비율과 맥락의 이해가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평균과 비교해 불합리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어필을 시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조건을 가진 다른 학생이 더 많은 보조금을 받았다면, 이를 근거로 어필을 제기할 수 있다. 이때는 단순한 감정적 서술보다 수치와 논리에 기반을 둔 근거 자료가 함께 제시되어야 설득력이 생긴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이처럼 분석적인 접근을 간과한다. 그러나 대학이 어떤 기준과 관점에서 재정지원을 평가했는지를 이해한다면, 보다 과학적인 방식으로 어필 서신을 작성할 수 있으며 실효성도 높아진다. 재정보조 어필은 단발성 시도가 아니라, 1차, 2차, 3차에 걸쳐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때 1차 어필이 거절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미리 후속 전략을 세워 두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어필은 단순히 금액 인상을 요청하는 것이 아닌, 특정 상황 변화(예: 가족 구성원의 실직, 의료비 증가 등)를 기반으로 타당성을 입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정확한 사유와 정리된 재정상 변화 내역은 필수다. 만약 이러한 분석을 개인이 직접 수행하기 어렵다면,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검증된 전문가와의 협업은 단순한 기술적 조언을 넘어 전략 수립과 성패의 갈림길이 될 수 있다. ▶문의:(301)219-3719 [email protected] 리처드 명 대표 / AGM인스티튜트튜트학자금 칼럼 지원 비율 재정보조금 내역서 어필 서신 재정보조 평가
2025.06.29. 12:49
리얼아이디 시행 시기가 5월7일로 다가왔으나 버지니아의 발급률이 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버지니아 차량등록국(DMV)의 최근 조사에 의하면 버지니아의 운전면허 발급자 680만명 중 리얼아이디 보유자는 350만명으로 50%를 겨우 넘는 수준이다.반면 메릴랜드는 482만명이 발급받아 이행률이 96%를 넘어섰다. 메릴랜드 미발급자는 5만7580명 뿐이다. 연방국토안보부는 전국적으로 1억6천만명이 발급받았으나 이행률은 55%에 그치고 있다고 밝혔다. 리얼 아이디 법률은 2001년 9.11테러 이후 신분 증명 요건을 강화한 아이디 발급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공론화됐으며 2005년 연방의회에서 제정됐다. 첫 시행 시기는 2008년이었으나 각 주정부의 비협조로 인해 모두 8차례 이상 연기돼 마지막 시행 예정시기는 2025년 5월7일로 미뤄졌다. 하지만 현재와 같은 이행률 속도를 감안하면 5월에도 58% 정도에 머물 것이라는 예상이 나와 또한차례 연기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연방국토안보부의 한 관계자는 사상 최대 인파가 공항에 몰린 작년 추수감사절 시즌을 보면 준비없이 리얼아이디 법률을 시행할 경우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리얼아이디 없이 공항에 나오는 탑승객들로 인해 공항 업무가 마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리얼아이디 법률은 18세 이상 주민이 항공기 탑승과 연방정부 관공서 출입시 신분증명을 위해 강화된 신분증명 요건을 충족시키는 리얼아이디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리얼 아이디를 발급받으려면 여권이나 영주권, 출생증명서 등 신분증명서 1개, 유틸리티 고지서나 은행 어카운트 고지서, 세금보고서류 등 거주 증명서 2개, 소셜 시큐리티 카드 등을 제시해야 한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리얼아이디 비율 리얼아이디 시행 리얼아이디 법률 리얼아이디 보유자
2025.03.12. 13:33
덴버와 콜로라도 스프링스의 음주 및 약물 운전(DUI) 비율이 미전국 50개 대도시 가운데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금융서비스 업체 ‘랜딩트리’(LendingTree)가 미전국 50개 대도시를 대상으로 운전자 1천명당 음주운전 비율(DUI rates per 1,000 drivers)을 비교한 자료에 따르면, 덴버는 0.11명으로 전국 38위에, 콜로라도 스프링스는 0.13명으로 전국 34위에 각각 랭크됐다. 두 도시 모두 중하위권에 속했다. 운전자 1천명당 음주운전 비율이 가장 높은 대도시는 노스 캐롤라이나주 롤리로 1.46명에 달했으며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가 1.31명으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LA(1.12명), 샌호세(1.09명), 베이커스필드(1.05명)가 3위에서 5위를 기록했다. 반면, 운전자 1천명당 음주운전 비율이 제일 낮은(전국 50위) 도시는 0.02명에 불과한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였고 워싱턴 DC(0.04명/49위), 오클라호마 시티(0.05명/48위), 필라델피아·텍사스주 알링턴·뉴욕이 0.07명으로 공동 45위를 기록했다.랜딩트리는 DUI로 인한 자동차 연간 보험료 인상폭도 조사했는데, 50개 대도시 평균 1,876.90달러가 올라간다고 분석했다. 덴버의 경우 2,850.09달러에서 4,275.14달러로 뛰어 50개 대도시 중 24번째로 인상폭이 컸다. 콜로라도 스프링스는 2,779.70달러에서 4,114.67달러로 올라 27번째로 높았다. DUI로 인한 자동차 연간 보험료 인상폭이 가장 큰 도시는 디트로이트로 무려 7,634.20달러나 올랐다. 이어 샬롯(인상폭 $4,832.51), LA($4,730.16), 롤리($4,097.83), 오클랜드($3,865.86)의 순으로 높았다. 인상폭이 제일 낮은 도시는 볼티모어로 866.04달러에 그쳤고 내쉬빌($868.79), 워싱턴DC($885.67), 콜럼버스($895.24), 엘파소($921.16)의 순이었다. 한편, 운전자 1천명당 음주운전 비율이 가장 높은 차종(30개사 대상)은 0.56명인 캐딜락이었다. 이어 2위는 뷰익(0.34명), 3위 포드(0.30명), 4위 렉서스(0.29명), 5위 BMW(0.28명), 6위 볼보(0.26명), 7위 GMC(0.25명), 공동 8위는 다지·쉐비·테슬라·마즈다(0.24명)였다. 제일 낮은 차종은 수바루(0.13명/30위), 머큐리·애큐라(0.14명/공동 28위), 폰티악·새턴(0.15명/공동 26위), 니산·링컨·아우디·폭스바겐(0.16명/공동 22위), 미쯔비시·기아(0.17명/공동 20위)의 순이었다. 이밖에 현대는 0.19명으로 16위, 혼다는 15위(0.20명), 머세이디스-벤츠와 인피니티는 0.23명으로 공동 12위, 토요타·램·지프는 공동 17위(0.18명)를 기록했다. 이은혜 기자음주운전자 비율 음주운전자 비율 음주운전 비율 대도시 평균
2024.09.10. 13:15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중 기독교인 비율이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보다 두 배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에 이민 온 한인들의 경우, 미국에서 태어난 차세대 한인보다 기독교 성향이 강했다. 지난달 30일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의 조사·발표에 따르면, 미국 내 한인 중 기독교가 종교라고 답한 이들은 59%를 차지했다. 미국 거주 한인 10명 중 약 6명이 기독교인인 셈이다. 종교가 없다고 답한 이들은 34%였으며, 기타종교가 5%, 불교는 3%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의 경우, 무교가 52%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기독교(32%), 불교(14%), 기타종교(1%) 등이 뒤를 이었다. 퓨리서치는 “미국 내 한인과 한국인 간의 종교적 성향이 차이나는 것은 이민사회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통상 이민자들은 본인의 종교적 정체성이 확장된 곳으로 찾아가는 성향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과거 미국으로 온 많은 한인이 교회 공동체를 통해 각종 이민 정보를 얻고, 비즈니스를 확장하는 등 교회가 이민사회에서 큰 역할을 했다는 것 또한 영향이 있다. 같은 기독교인이라도, 한인과 한국인 간 종교를 중요시하는 정도 또한 차이를 보였다. 본인의 삶에서 종교가 얼마나 중요한지 묻는 질문에 한인 기독교인의 58%는 ‘굉장히 중요하다’고 답했다. 반면 한국인 기독교인은 39%만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한인 기독교인 중 유교나 불교를 친밀하게 여기는 비율은 22~23% 수준이었던 반면, 한국인 기독교인의 경우 다른 종교에 대한 친밀함도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미국 거주 한인 중에서도 세대에 따른 격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태어나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 63%가 기독교를 종교로 갖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미국에서 태어난 한인은 47%만이 기독교를 종교라고 답했다. 또한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중 무교 비율은 31%였지만, 미국에서 태어난 차세대 한인 중 종교가 없다고 답한 경우는 45%로 절반에 육박했다. 한편 퓨리서치는 한인 설문조사는 2022년 7월부터 2023년 1월까지 한인 114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라고 밝혔다. 한국인 답변은 작년 6~9월 2104명을 대상으로 파악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기독교인 비율 한인 기독교인 기독교인 비율 한인과 한국인
2024.09.02. 16:16
전국적으로 성소수자 비율이 증가하는 가운데, Z세대 성인 5명 중 1명이 성소수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갤럽이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자신을 LGBTQ+(성소수자)로 인식한 Z세대 성인(1997년~2005년생)은 22.3%로, 2017년 10.5%보다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밀레니얼세대(1981년~1996년생) 9.8%, X세대(1965년~1980년생) 4.5%와 비교하면 현저히 높은 수치다. LGBTQ+는 ▶여자 동성애자인 레즈비언(lesbian) ▶남자 동성애자인 게이(gay) ▶양성애자인 바이섹슈얼(bisexual) ▶성전환자인 트랜스젠더(transgender) ▶성소수자 전반을 뜻하는 퀴어(Queer) 혹은 성 정체성을 고민하는 사람(Questioning)의 앞글자를 딴 말이다. 갤럽이 전국 성인 1만2000명을 대상을 한 조사 결과, 전국 성인 7.6%가 본인을 성소수자로 정의했으며, 이는 갤럽이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12년 3.5%보다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한 수치다. 85.6%는 본인은 이성애자라고 답했으며, 6.8%는 응답을 거부했다. 성소수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 양성애자였다. LGBTQ+ 성인 중 57.3%가 본인이 양성애자라고 답했으며, 게이(18.1%), 레즈비언(15.1%), 트렌스젠더(11.8%) 등이 뒤를 이었다. 성별 차이도 있었다. 조사 결과 여성의 성소수자 비율이 남성보다 높았다. 성인 여성 성소수자 비율은 8.5%로, 남성(4.7%)보다 거의 두 배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Z세대 성인 여성 가운데 28.5%가 성소수자라고 밝힌 반면, 남성의 비율은 10.6%에 그쳤다. 갤럽은 조사 결과에 대해 “현재 추세가 계속되면 향후 30년 내로 전국 성인 성소수자 비율이 10%를 넘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성소수자 비율 성소수자 비율 성소수자 전반 성소수자 가운데
2024.03.13. 20:18
드라이버나 아이언, 그리고 퍼팅(putting)과 같은 골프의 모든 것들은 힘이나 복잡한 논리가 아니라 느낌에 의한 것이며, 단지 논리는 행동 전 역할에 불과할 뿐이다. 스윙은 논리를 뒷받침으로 머릿속에 정리된 원칙과 특정테마에 입각, 반복된 연습에 의하여 근육에 기억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렇듯 기억된 근육은 느낌으로 변해 한 번의 스윙으로 샷을 마친다. 처음 골프를 시작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힘에 의한 골프(스윙)를 구사하지만 구력과 시간이 흐를수록 조용한 느낌을 찾기에 부단한 노력을 한다. 한 예로 짧은 거리의 펏(putt)이나 숏 게임을 들 수 있다. 초보자들이 그린주변에서 이쪽 저쪽을 넘나드는 것은 스윙개념과 느낌이 없어 생겨나는 현상들이다. 이것은 연습테마를 잘못 선정한 이유도 있지만 태반은 실전경험의 부족과 감각의 '자'가 무디어질 때 자주 발생한다. 스윙의 느낌은 최장 72시간(3일)을 근육이 기억하고 이 시간이 지나면 40퍼센트밖에 기억을 못 하고 7일이면 약 20퍼센트만 기억하게 되어 주말 골퍼란 말이 생겨난 것이다. 또한 펏 역시 48시간(2일)동안은 감각이 살아있지만 이후 어색한 느낌이 들기 시작하여 주말마다 다른 감각의 퍼팅이 되곤 한다. 특히 연습이 부족하거나 스윙이 불안할 때는 예외 없이 스탠스(stance)의 폭이 넓어지고, 부드러운 스윙을 생각하면 스탠스의 폭이 매우 좁아진다. 이것은 곧 느낌을 찾기 위한 수단으로 체중배분만 올바르게 성립되면 '자신의 느낌'을 찾아 스윙에 접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선 양쪽 발바닥에 체중을 모아야 한다. 그래야만 상체 힘이 빠지고 좌우로의 체중이동도 용이해 부드러운 스윙을 구사하며 느낌을 찾기 쉬워진다. 발바닥 중에도 안쪽(움푹 들어간 곳) 부위를 중심으로 체중을 분산시키면 안정된 스탠스를 취할 수 있다. 체중 배분은 대략 발바닥 안쪽에 60퍼센트, 바깥쪽에 40퍼센트의 비율이 최상이지만 대다수 골퍼들은 이와 반대인 바깥쪽에 60퍼센트 이상의 체중배분을 분배하여 어드레스부터 체중을 잘못 분배하여 샷을 그릇 치고 만다. 만약 바깥 쪽에 더 많은 체중이 분배되면 스윙시 발바닥 안쪽이 들려 슬라이스나 뒷땅 찍기 등이 자주 발생도 하지만 양 발, 특히 무릎의 벽도 무너져 장타는 처음부터 포기해야 하는 상황도 벌어진다. 따라서 짧은 거리(드라이버 샷)로 고민한다면 평상시 양 발 바깥쪽에 분배했던 체중을 양 발의 안쪽으로 체중을 분배하면 달라지는 스윙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백스윙이 어렵다고, 느껴지는 이른바 체중이동이 옮겨지지 않는다면 우선 현재의 볼 위치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즉 지나치게 왼쪽에 있던 볼 위치를 약간만 중앙 쪽으로 옮겨 놓아도 오른쪽으로 어깨도 잘 돌고 백 스윙이 쉬워진다. 아울러 어드레스를 마치면 양손의 위치를 몸의 중앙보다는 왼쪽 허벅지 안쪽선상, 그러나 양손이 지나치게 왼쪽 허벅지를 지나쳐 벗어나면 왼발 쪽에 체중이 심하게 쏠려, 오른쪽무릎이 정면으로 튀어나오며 체중배분의 실패와 함께 어드레스 전체를 뒤틀리게 하는 원인도 제공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발바닥 비율 스윙시 발바닥 발바닥 안쪽 양쪽 발바닥
2023.06.08. 18:09
덴버 메트로의 55세 이상 주택구매자 비율이 미전역 56개 대형 메트로폴리탄 지역 중에서 6번째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덴버 폭스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다음은 해당 기사를 요약한 것이다. 콜로라도에서 가장 큰 도시는 미국에서 가장 어린 도시 중 하나다. 덴버 주민들이 아이들을 많이 낳아서가 아니다. 연방센서스국의 관련 자료와 주택 구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덴버는 은퇴자들을 버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은퇴자들을 유치하는데도 실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로라도는 2021년에 가장 많은 은퇴자를 잃은 10개 주 중 하나였다. ‘컨스트럭션커버리지닷컴’(ConstructionCoverage.com)은 덴버-오로라-레이크우드 메트로 지역을 미국에서 가장 젊은 주택 구매자가 있는 지역 중 하나로 꼽고 있다. 2021년 기준 덴버 메트로 지역의 주택을 구매한 사람 중 약 13.9%가 55세 이상으로 전국 56개 대형 메트로 중 55세 이상 주택 구매자 점유율이 6번째로 낮았다. 65세 이상은 5.1%, 75세 이상은 1.0%에 그쳤고 55세 이상 주택구입자의 중간 주택가격은 56만5천달러였다. 55세 이상 주택 구매자의 낮은 점유율은 부유하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주택 비용 면에서 미국 최고 수준에 가까운 덴버의 특징을 공유하는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하다. 오스틴(12.2%), 시애틀(11.6%), 솔트레이크시티(11.6%), 샌프란시스코(10.9%)는 55세 이상 주택 구매자들의 점유율이 덴버 보다 더 낮은 5개 지역이다. 반면, 은퇴자들이 선호하는 애리조나, 플로리다, 네바다주내 메트로지역에서는 55세 이상 주택 구매율이 전체 주택 시장의 26~34%에 달했다. 55세 이상 주택 구매율 전국 1위는 애리조나주 투산메트로로 34.5%에 달했고 이어 네바다주 라스베가스(28.7%), 플로리다주 탬파(28.0%), 플로리다주 잭슨빌(27.4%), 애리조나주 피닉스(26.5)의 순으로 높았다. 이은혜 기자주택구매자 비율 이상 주택구매자 주택 구매자 덴버 메트로
2023.05.15. 1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