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종료 1년 만에 미국 비자를 발급받은 한국인 수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무부가 5일 공개한 2023회계연도(2022년 10월~2023년 9월) 비이민 비자 발급 통계에 따르면 총 7만39명의 한국인이 비이민 비자를 받았다. 이는 지난해 5만9564명에서 17.6%(1만475명) 증가한 규모다. 한국인 비이민 비자 발급 건수는 2019년도에만 해도 7만6025명에 달했으나 팬데믹이 시작된 직후인 2020년 3만7561명, 2021년 4만3555명으로 떨어졌다. 그러다 2022년 5만9564명으로 회복했으며, 지난해 7만명을 넘어섰다. 미국 전체 비이민 비자 발급도 증가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무부가 발급한 비이민 비자는 총 1043만8327건이다. 이는 전년도의 681만 건에서 무려 65%가 늘어난 규모다. 비자 종류를 보면 관광비자(B)가 590만 건으로, 전년도의 322만 건에서 268만 건이 증가했다. 한편 한국인의 경우 학생비자(F)가 1만7930건으로 전체 비이민 비자 발급 건수의 25.6%를 차지했다. 이어 교환 방문 비자(J)가 1만3622건, 관광·방문비자는 9208건으로 파악됐다. 또한 미국 내 기업 근무자를 위한 E비자에 6839건, 주재원 비자(L) 6659건, 전문직 취업비자(H-1B) 3179건 등으로 파악됐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비이민비자 한국인 한국인 비이민비자 한국인 관광비자 발급 통계
2024.04.07. 20:37
한국인의 비이민비자 발급 수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5일 국무부의 ‘2022~2023회계연도 비이민비자 발급 통계’에 따르면, 2022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비이민비자를 발급받은 한국인은 총 7만39명을 기록했다. 직전해(5만9564명) 대비 1만475명(17.6%)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팬데믹 직전이었던 2018~2019회계연도(7만6025명) 이후 처음으로 7만명을 넘어선 것이다. 팬데믹 발생 이전 연간 비이민비자 발급 건수가 꾸준히 7만3000~7만9000건을 오갔던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적은 수준이지만, 눈에 띄는 회복세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인이 발급받은 비이민비자 중에서는 학생비자(F비자) 발급이 1만7930건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비이민비자 발급 건수의 25.6%를 차지한 셈이다. 이어 인턴십 등을 위해 발급받는 교환방문비자(J비자) 발급이 1만3622건으로 두 번째로 많은 수를 기록했다. 관광·방문비자 발급건수는 총 9208건, 미국과의 조약에 따라 투자하거나 투자한 기업에 취업하는 이들을 위한 비자(E비자) 6839건, 주재원 비자(L비자) 6659건, 전문직 취업비자(H비자) 3179건 등이었다. 한국인에 대한 비이민비자 발급이 전반적으로 늘어나긴 했지만, 비자 카테고리별로는 조금씩 다른 흐름을 보였다. 학생비자(F비자) 발급은 직전해(2만225건)에 비해서는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팬데믹이 잦아들면서 학업을 중단했거나 미뤘던 유학생들이 2022년에는 너도나도 학생비자를 발급받았지만, 수요가 조금 잦아든 탓으로 분석된다. 반면 J비자 발급건수는 직전해 1만2581건에서 1041건 더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으며, E비자 발급건수 역시 직전해 3553건에서 3000건 넘게 추가 발급된 것으로 파악됐다. 방문비자 발급 건수도 5714건에서 9208건으로 증가했다. 한편 국무부에 따르면, 2022~2023회계연도에 한국 서울 주한미대사관을 통해 영주권(이민비자)을 발급받은 사람은 총 4471명으로 파악됐다. 직전해(4978명)보다는 소폭 줄어든 수준이다. 다만 이 통계에는 미국 내에서 신분조정(I-485) 절차를 거친 영주권 취득자 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취업을 통한 영주권 발급자가 2713명으로 가장 많았고, 직계 가족을 통한 발급건수가 1335건으로 뒤를 이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비이민비자 한국인 비이민비자 발급 방문비자 발급건수 2023회계연도 비이민비자
2024.04.05. 19:52
오는 10월 1일부터 비이민비자 갱신 및 변경신청서(I-539) 양식 제출시 대부분의 경우 생체인식(바이오메트릭) 정보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생체인식정보를 제출해야 하는 케이스로 판단될 경우에도 서비스 수수료는 면제된다. 26일 이민서비스국(USCIS)은 “I-539 제출시 10월부터 대부분 생체인식서비스를 받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USCIS 판단에 따라 생체인식정보 제출 대상자로 결정될 경우, 수수료 85달러는 면제된다. 이에 따라 10월 1일부터 I-539 제출시 기본 접수비(370달러) 외에 생체인식서비스 수수료(85달러)를 낼 필요가 없다. 실수로 기본 접수비와 별도로 85달러를 별도 지불한 경우, 85달러만 반환해주고 I-539 서류는 접수한다고 USCIS는 밝혔다. 다만 기본 접수비와 생체인식서비스 수수료를 합쳐 체크로 결제한 경우, USCIS는 I-539 서류 접수도 거부하게 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만약 10월 1일 이전에 I-539 양식을 제출하는 경우, 생체인식서비스 예약 일정을 잡고 예정대로 진행해야 한다. 앞서 USCIS는 지난 4월, 이미 이달 30일까지 H-4·L-2·E비자의 경우 갱신 및 변경신청시 생체인식정보 제출을 면제해 준 바 있다. USCIS는 “모든 비이민비자 갱신이나 변경 신청시 지문정보 제출 요건을 없애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김은별 기자생체인식정보 비이민비자 변경신청시 생체인식정보 변경신청 생체인식정보 생체인식정보 제출
2023.09.26. 19:44
코로나19 기조가 완화하면서 엔데믹(Endemic)으로 접어들고, 유학과 취업 등이 활발해지면서 미국 비이민비자수요가 폭증하는 추세다. 비이민비자 발급건수는 팬데믹 전 수준으로 회복한 가운데, 수요가 몰리면서 심사는 까다로워지고 승인 거부율도 높아진 것으로 파악된다. 10일 국무부의 '월별 비이민비자 발급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한 달간 서울 주한미국대사관에서 발급된 학생비자(F-1)는 총 3629개로, 팬데믹 직전해였던 2019년 6월 발급건수(3158개)를 넘어섰다. F-1비자는 시기에 따라 월평균 2000~4000개가 발급되는데, 팬데믹 직후였던 2020년 4월에는 23건밖에 발급되지 않았다. 팬데믹 직후 월 12건이었던 교환방문·연수생 J-1비자 발급건수도 지난 6월 1555개로, 2019년 6월(1279개)보다 많아졌다. 소액 투자자·직원(E2) 비자는 팬데믹 직후 월 28개 발급되는 데 그쳤으나, 6월엔 591개로 늘었다. 이외에 주재원(L-1, 193개)·관광/방문(B1/B2, 681개) 비자 발급건수도 팬데믹 이전 수준을 일제히 회복했다. 이민컨설팅그룹 나무이민의 데이비드 김 변호사는 "출국을 미뤘던 분들이 몰린 데다, 학생·J-1비자 인터뷰 면제가 올해까지 허용될 것으로 보여 많은 분이 올해 안에 출국을 희망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학생 및 교환방문자 정보시스템(SEVIS)에서 5월부터 코로나19로 인한 줌 수업을 중단시킨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발급되는 비이민비자 수가 수요를 못 따라가고 있다는 점이다. 글로벌 커리어컨설팅기업 아이씨엔그룹(ICN Group)의 제니 이 최고운영책임자(COO·부대표)는 "작년엔 40대도 J-1비자 승인을 받았는데, 최근 34세 싱글이 비자를 못 받는 사례까지 발생했다"며 "수요만큼 비자발급이 늘지 않아 거부율이 높아졌고, 결국 J-1스폰서 회사들이 미 대사관에 컴플레인을 넣기도 했다"고 말했다. 학생비자도 기본적으론 인터뷰가 면제되지만, 올여름 신청자가 몰리자 인터뷰 요청을 받는 경우가 많아졌다. 한국에서 인문대를 졸업한 후 꿈을 찾아 2년 준비 끝에 미 명문대학 학부에 장학금을 받고 합격한 한 한인 학생은 비자 인터뷰에서 기존 전공과 업무경력이 다르다는 이유로 거절됐다. 2차 시도에서도 거절돼 결국은 합격증을 포기했다. 김 변호사는 "인터뷰에서 이유 없는 거절레터를 준 경우가 많아졌고, 매우 쉽게 나오던 학부생 학생비자도 거절되는 케이스들이 많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미국 비이민비자 비이민비자 발급건수 비이민비자 수요 월별 비이민비자
2023.08.10. 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