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종교인이라고 다 같지 않다"
                                    '비종교인도 다 같은 비종교인이 아니다.' 이스턴 일리노이대학교의 라이언 버지 정치학과 교수가 지난달 25일 '넌스(nones)'로 불리는 비종교인을 네 가지 부류로 분류한 글을 발표해 주목을 받고 있다. 버지 교수는 정치학자이면서 종교사회학자로 비종교인 분석 연구로 유명하다. 그는 비종교인 현상을 다루는 장기 연속 연구 '넌스 프로젝트'에서 적극적으로 종교를 거부하고 공개적으로 무신론을 주장하는 집단을 분석해왔다. 버즈 교수는 최근 발간한 '논스 프로젝트(The Nones Project)' 시리즈에서 세분화된 비종교인의 구도를 제시하며, 그중 가장 눈에 띄는 집단으로 '열성 무신론자(Zealous Atheists)'의 정의를 새롭게 제시했다.   버지 교수는 비종교인을 ▶이름만 무종교인 ▶영적이지만 비종교적인 이들 ▶종교에서 완전히 떠난 이들 ▶열성 무신론자 네 집단으로 구분했다.   이름만 무종교인은 종교 행사 참석률이나 기도 빈도가 높은데도 특정 종교에 속하고 싶어 하지 않는 이들이다. 영적이지만 비종교적인 이들은 전통 종교는 거부하면서도 명상이나 에너지, 운명 같은 뉴에이지 성향의 영성에는 높은 관심을 보인다. 종교에서 떠난 이들은 신의 존재나 내세를 믿지 않고 예배나 기도를 전혀 하지 않는다. 종교적 활동과는 완전히 단절된 그룹이다.   버즈 교수가 주목한 열성 무신론자는 전체 비종교인의 약 11%에 해당하는 소수지만 종교 비판과 탈종교 운동에서 목소리를 높이는 그룹이다.   버지 교수가 일반적으로 무신론자라는 하나의 성격으로 묶여 있던 이들을 세분하게 된 데는 계기가 있다. 연구진이 비종교인들에게 "지난 12개월 동안 누군가에게 종교를 떠나라고 설득한 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지자 약 10%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버지 교수는 이들 중 대부분이 열성 무신론자'라는 점에 주목했다. 이들은 특히 온라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토론 게시판이나 SNS에서 종교 비판적 발언을 주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버지 교수는 "이들은 단순히 종교를 믿지 않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신앙을 바꾸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흥미로운 점은 또 있다. 열성 무신론자들은 종교적 활동을 완전히 끊지 않는다. 조사에 따르면, 열성 무신론자의 60%는 종교 행사에 전혀 참석하지 않지만 약 20%는 1년에 한 번 정도 예배에 참석한다. 비종교인 네 그룹 중 두 번째로 높은 참석률이다.   기도의 빈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난다. 열성 무신론자의 56%는 기도를 전혀 하지 않지만 12%는 가끔 기도한다. 이런 경향은 열성 무신론자가 종교적 행위를 완전히 버린 비종교인과 달리 종교와의 접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버지 교수는 네 개의 그룹에서 완전히 종교를 떠난 이들과 열성 무신론자의 성격이 대조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완전히 떠난 이들의 성격을 피로감으로, 열성 무신론자를 투쟁심으로 묘사하면서 둘의 차이를 동전의 양면에 비유한다.   완전히 떠난 이들은 더는 종교 논쟁에 에너지를 쏟지 않는다. 버지 교수는 "이들은 과거에는 종교의 의미나 신에 대해 토론했지만 이제는 '살고 싶은 대로 살되 나만 끼워 넣지 말라'는 태도를 보인다"고 설명한다.   반면 열성 무신론자는 여전히 '전투 모드'다. 버지 교수는 "이들은 종교에 대해 논쟁하고 설득하며 때로는 조롱한다. 종교와 마찰이 오히려 자신의 정체성을 강화한다"고 분석한다.   나이에서도 차이가 분명해 열성 무신론자는 네 그룹 중에서 가장 젊다. 18~45세가 70%를 차지하며 35세 이하가 절반에 육박한다. 65세 이상은 12%에 불과하다.   반면 완전히 떠난 이들은 고령층 비중이 높아서 65세 이상이 3분의 1를 넘는다.   버지 교수는 이를 "비종교인의 세대 간 양상 차이"라고 분석한다. "완전히 떠난 이들이 오랜 종교 논쟁에 지쳐버린 세대라면, 열성 무신론자는 여전히 세상을 바꾸려는 열정을 가진 젊은 세대다."   버지 교수는 이들을 레딧 등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특성을 들어 '레딧 무신론자'라고 부른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하늘 아빠(Sky Daddy)'나 '동화 같은 믿음'이라는 표현으로 종교를 조롱하는 이들이다. 버지 교수는 "이들은 목소리가 가장 크지만 전체 미국인의 약 3%"라며 "실제로 비종교인 대부분은 종교에 대해 분노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버지 교수는 결론적으로 "목소리가 크다고 3%가 전체 비종교인을 대표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많은 비종교인들은 종교를 싫어하기보다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버지 교수는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비종교인 연구에서 조용한 다수가 어떻게 종교를 바라보는지를 집중 조명할 것"이라며 "비종교인이 반드시 반종교적일 필요는 없다는 점을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안유회 객원기자비종교인이라고 무신론자 열성 무신론자들 비종교인 분석 비종교인 현상 
                                    2025.11.03. 1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