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전체적인 부동산 거래가 많이 침체되어 있지만 그 중에서 활발한 분야는 비즈니스 거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롭게 창업을 생각하시거나 기존에 운영중인 비즈니스를 매각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찾으시는 분들을 위해 많은 한인 사업자 여러분들도 이용하고 있는 스몰 비즈니스 대출 즉 SBA 융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즈니스 융자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연방중소기업청의 SBA 융자는 자격 조건이 까다롭지만 일반 비즈니스 융자보다 적은 다운 페이먼트와 긴 상환 기간으로 많은 한인 사업주 분들이 많이 애용하는 융자 프로그램입니다. 먼저 스몰 비즈니스의 정의는 서비스 업체의 종업원은 500명을 넘지 말아야 되며 제조업체의 경우 1500명을 넘지 말아야 됩니다. 연 매출은 연방 중소기업청이 구분하는 사업체 별로 세분화 되어있는데 중소기업청 웹사이트(sba.gov)에 방문하시면 좀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간략하게 설명 드리면 대략 2000만 달러 이하 규모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사업장을 스몰 비즈니스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2년간 연평균 순소득이 500만 달러 이하여야 되는 조항도 스몰 비즈니스 정의에 적용되는 것입니다. SBA 융자 프로그램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7a 와 504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7a 프로그램은 스몰 비즈니스에 많이 적용되는 프로그램이며 504는 부동산 또는 장비에 관한 융자 프로그램입니다. 그 중 7a 프로그램은 가장 광범위하고 널리 애용되고 있습니다. 많은 수의 소매업주들이 7a 프로그램으로 개인 비즈니스의 꿈을 이루고 있으며 한인은행의 대표적인 융자 프로그램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비즈니스 융자 보다 낮은 10%의 다운페이로 융자가 가능하며 융자 액수는 최대 500만 달러까지 가능합니다. 504 프로그램은 사업주가 직접 운영하는 비즈니스에 필요한 부동산 또는 장비를 구입할 때 사용하는 융자 프로그램으로 상업용 창고 및 오피스 건물에 많이 적용되는 프로그램입니다. 504 프로그램은 일반은행과 CDC (Certified Development Company)라는 정부승인 융자 기관이 각각 총 융자 액수의 50%와 40%를 나누어 융자를 하는 형태이며 사업주는 10%의 다운페이와 최대 25년의 상환기간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건물을 매입하였을 경우 사업주는 건물의 51%를 본인의 사업장을 위해 사용하여야 되는 조건을 이행하여야 합니다. 기본적인 SBA 융자의 자격 조건은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이며 최소 2년 이상의 해당 비즈니스 경험을 요구하지만 연관된 사업 분야의 직장 경험 또는 경험 있는 비즈니스 파트너의 경력 등 유능한 은행 대출 관계자의 조언을 통해 대체 가능한 시나리오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SBA 융자의 단점으로는 조금 까다로운 대출 심사와 일반 융자 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융자 수수료라 할 수 있습니다. 정부의 대출 보증을 받아야 되는 융자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관련 서류가 정부기관에 제출되며 이를 준비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문의: (213)605-5359 조진욱 / 드림 부동산부동산 가이드 융자 소상공인 융자 프로그램 비즈니스 융자 정부승인 융자
2025.07.16. 18:07
“저는 어떤 파산을 하는 건가요?" 많은 상담자가 하는 질문이다. 주변에서 챕터7이니 챕터13이니 하는 숫자가 들어간 파산을 들어보기는 했는데 본인은 어떤 파산에 해당하는 지에 대한 질문이다. 파산의 종류에는 크게 다섯 가지가 있는데 재산의 일부를 보호받고 무담보 빚을 청산하는 챕터7(Liquidation)과 모든 재산을 지키며 빚의 일부를 3~5년간 갚아나가는 챕터13 외에도 한인기업 포에버21을 포함, 주로 대기업이 ‘기업회생’을 위해 신청하는 챕터11, 가족농업, 어업인을 위한 챕터12, 그리고 시 또는 카운티 등의 지방자치단체가 신청하는 챕터9가 있다. 일례로 2013년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시가 챕터9을 신청한 바 있다. 그중 챕터7이 일반 대중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파산으로 재산이 적은 자영업자 또는 직장인이 신청하는 파산이다.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일반 은행을 통한 비즈니스 융자나 라인오브크레딧을 받는 경우가 많고 경우가 이도 여의치 않으면 비교적 손쉽게 인터넷을 통해 개인 융자 또는 사업자금 대출(Working capital) 등의 고리 융자를 얻는 경우가 흔하다. 그래도 모자라면 개인의 신용카드로 렌트비, 임금, 물품대금 등 사업체 경비를 충당하는 경우도 흔하다. 하지만 신용카드 사용이 최대한도에 도달해서 미니멈 페이먼트도 낼 형편이 안 되며, 더는 자금을 끌어올 수 없는 경우 마지막 수단으로 파산을 고려하게 된다. 챕터7은 크게 개인 파산(Individual bankruptcy)과 법인 파산(Corporate bankruptcy) 두 가지로 나뉜다. 개인 파산을 통해 개인 빚뿐만 아니라 자영업(Sole proprietorship) 관련 빚도 청산이 가능하다. 개인 빚 외에 법인(Corporation) 앞으로도 빚이 있다면 챕터7 법인 파산을 신청할 수 있다. 많은 이들이 파산을 하게 되면 사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현재 운영 중인 모든 비즈니스는 닫아야 한다고 굳게 믿고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재고(인벤토리)가 거의 없는 비즈니스, 즉 서비스 업종일 경우 현금화할만한 자산이 없는 경우 챕터7 파산을 통해 무담보 빚을 탕감받고 계속 비즈니스를 운영할 수 있다. 인벤토리가 있더라도 이를 담보로 한 담보 빚이 있다면 비즈니스를 지키면서 챕터7 파산이 가능하다. 만약 인벤토리 가치가 높거나 개인 재산이 많아 챕터7 파산 자격이 안될 경우에는 챕터13 파산으로 무담보 빚을 3~5년에 걸쳐 갚고 그 후에 남은 잔존 채무를 탕감받을 수 있다. 챕터13 파산은 비즈니스가 아닌 개인만 신청할 수 있고 채무 한도액(2023년 1월 기준, 담보와 무담보 빚 총합 275만 달러 미만)이 있으며 고정 소득 증명이 필수이므로 소득이 불규칙한 자영업자나 저임금 근로자에게는 해당 사항이 크지 않다. 챕터11 파산은 주로 뉴스를 통해 접하는 기업 파산으로 챕터7 또는 13 파산의 자격이 안 되는 개인이나 회사의 기업회생(Reorganization)을 목적으로 한다. 신청과 동시에 채무 상환이 잠정 유보되고 파산법원의 감독하에 자산 매각, 비용 절감, 또는 기존 융자 재조정 등을 통해 자산 가치를 높이고 경영 정상화를 위한 3~5년 계획을 세운다. 한인 기업으로는 2019년 9월 파산 신청으로 큰 충격을 준 포에버21 및 2014년 한인 패션업계를 강타한 러브컬처가 대표적 챕터 11 파산의 예다. 챕터 12 파산은 가족 경영의 농업 비즈니스 파산이므로 한인들에게는 거의 해당 사항이 없다. 파산은 경제적 곤경에 빠진 개인 및 비즈니스에게 재기의 기회를 줌으로써 사회 국가적 이익으로 실현되도록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이므로 무조건 파산을 피하기보다는 파산이 경제적 심리적 재기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하자. ▶문의: (213)283-9757 켈리 장 변호사파산법 파산 비즈니스 법인 파산 파산 자격 비즈니스 융자
2023.01.24. 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