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디파이(DeFi) 플랫폼 롬바드(Lombard)와 지식재산(IP)을 온체인 자산으로 전환하는 레이어1 블록체인 스토리(Story)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비트코인 담보 기반 금융 인프라를 IP 산업에 접목, 전 세계 크리에이터들이 자신의 창작물을 보다 투명하고 공정하게 수익화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최근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창작자들은 플랫폼 중심의 폐쇄적 구조 속에서 불투명한 정산 과정과 지연된 보상 문제를 겪고 있다. 이번 협력은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비트코인이라는 신뢰도 높은 자산을 기반으로 정산 시스템을 재설계하고, 누구나 국경 없이 창작물의 가치를 보유하고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스토리는 저작권, 데이터, 창작물 등을 온체인에서 프로그래머블 형태로 전환해 자동으로 라이선스 발행, 리믹스, 수익 분배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블록체인이다. 여기에 롬바드의 비트코인 금융 인프라를 결합함으로써 창작자들은 자신이 만든 콘텐츠의 수익을 비트코인으로 직접 정산받고, 그 가치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스토리의 공동창업자 겸 CEO인 이승윤(SY Lee)은 “지식재산(IP) 경제에 대한 접근이 지리적 제약이나 중개자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며 “스토리와 롬바드의 결합으로 전 세계 창작자와 개발자들이 즉시, 그리고 안전하게 비트코인으로 IP 가치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비트코인은 중립성과 영속성을 가진 디지털 자산으로서, IP의 장기적 가치를 보호하고 세계의 지식 자본을 가장 강력한 통화 네트워크와 연결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롬바드는 비트코인을 단순 보유 자산이 아닌 생산적인 금융 자산으로 전환시키며 비트코인 금융 생태계를 선도하고 있다. 자사 대표 자산인 LBTC는 출시 92일 만에 총 예치자산(TVL) 10억 달러를 달성하며, 디파이 역사상 가장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현재 14개 체인과 75개 이상의 프로토콜과 연동되어 있으며, 발행된 LBTC의 80% 이상이 디파이 생태계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롬바드의 공동창업자 제이콥 필립스(Jacob Phillips)는 “크리에이터 경제에는 아직 전 세계적으로 확장 가능한 금융 인프라가 존재하지 않았다”며 “비트코인은 그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기반이며, 이번 협력은 창작자에게 IP 수익화 도구를 제공함과 동시에 스토리의 IP 자산에 비트코인 담보 기반의 경제적 보증을 부여하는 첫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두 가지 핵심 혁신을 도입한다. 첫째, 스토리는 롬바드의 비트코인 인프라를 활용해 로열티를 비트코인으로 직접 정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콘텐츠 제작자와 스튜디오는 기존처럼 수개월을 기다릴 필요 없이, 중개 수수료 없이 즉시 수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장기 수익은 비트코인 단위로 설정되어 인플레이션으로부터 가치가 보호된다. 둘째, 양사는 비트코인 담보를 활용한 IP 자산 보증 모델을 실험한다. IP 사용자가 계약을 위반하거나 로열티 지급을 연체할 경우, 담보된 비트코인이 자동으로 청산되어 정산이 이루어진다. 이는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법적 절차를 자동화된 온체인 결제로 대체하는 구조로, 창작자에게 보험에 가까운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특히 한국 시장에서 전략적 의미를 갖는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크리에이터 경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콘텐츠 수출액은 2024년 기준 136억 달러를 넘어섰다. 스토리는 이미 한국의 주요 IP인 ‘나 혼자만 레벨업’, ‘기생충’ 제작사 바른손 스튜디오, AI 기반 게임 플랫폼 Verse8 등과 협력하며 국내 IP 생태계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다. 여기에 롬바드의 비트코인 인프라가 결합되면서 한국 창작자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자신의 IP를 보호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기반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한편, 롬바드는 한국 주요 거래소 업비트와 빗썸에서 자사 토큰 $BARD가 활발히 거래되며 비트코인 금융 자산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최근에는 KB국민은행이 참여한 한국디지털에셋(KODA)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국내 제도권 금융 시장에서 비트코인 예치형 상품의 접근성과 유통 채널을 확장하고 있다. 정현식 기자비트코인 파트너십 비트코인 금융 비트코인 담보 전략적 파트너십
2025.10.16. 18:51
분산형 비트코인 자산 tBTC를 운영하는 쓰레스홀드 네트워크(Threshold Network)는 수이(Sui) 블록체인 기반의 엠버 프로토콜(Ember Protocol) 신규 볼트에 tBTC를 최초 비트코인 담보로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엠버 프로토콜은 고도화된 디파이 전략을 일반 투자자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신규 볼트를 출시했으며, 해당 볼트는 예치 자산을 대출·차입·자동화된 유동성 공급에 분배하는 구조화 수익 엔진으로 목표 연간 수익률(APY) 11.27%를 제시하고, 출시 2일 만에 총 253만 달러 이상의 예치를 달성하며 초기 흥행을 입증했다. 특히 이번 볼트에서 주목할 점은 tBTC가 최초 비트코인 담보로 채택된 것으로, tBTC는 1:1 비트코인 담보와 51-of-100 서명 구조를 통해 보안되는 완전한 탈중앙화 자산으로 사용자는 비트코인 보유 노출을 유지하면서도 디파이 프로토콜 참여와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엠버 프로토콜의 이번 결정은 tBTC의 탈중앙성, 담보 효율성, 멀티체인 유동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신호로 해석되며, 쓰레스홀드 네트워크 공동창립자 맥클레인 윌킨슨(Maclane Wilkinson)은 “엠버 프로토콜의 신규 볼트 출시는 수이 디파이 생태계의 중요한 진전이며, tBTC가 최초 담보로 수용된 것은 비트코인이 디파이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신호다. 쓰레스홀드는 이번 이정표를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번 통합을 통해 엠버 프로토콜은 비트코인 투자자들에게 구조화 수익 기회를 제공하며 사용자 기반 확대가 기대되고, tBTC는 신뢰성과 유틸리티를 강화하며 멀티체인 디파이 생태계에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게 되며, 수이 블록체인은 비트코인 유동성을 공식적으로 연결하며 디파이 인프라 강화 및 채택 가속화의 전기를 마련했다. 쓰레스홀드 네트워크는 이번 엠버 프로토콜 볼트 통합을 ‘Sui x tBTC Phase 2’ 캠페인의 핵심 단계로서, 사용자는 쓰레스홀드 네트워크를 통해 이더리움에서 수이로 tBTC 브릿징이 가능해지고 수이 생태계 내 비트코인 기반 금융 확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한편, 쓰레스홀드 네트워크는 탈중앙화 비트코인 자산인 tBTC를 운영하는 글로벌 프로토콜로, 단순히 비트코인을 온체인으로 옮기는 수준을 넘어, 세계 최초의 완전 탈중앙화 1:1 BTC 기반 자산 tBTC를 통해 누구나 비트코인을 디파이 자본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100명 중 51명의 서명 구조로 운영되는 독보적 보안 모델을 기반으로, 단일 기관이나 커스터디안에 의존하지 않고 진정한 분산화를 실현했으며, 현재 온체인에서 가장 유동적이고 디파이에 최적화된 비트코인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현식 기자threshold 네트워크 비트코인 담보 엠버 프로토콜 threshold network
2025.09.16.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