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쓰레스홀드 네트워크(Threshold Network), 한국 비트코인 재무 시장 겨냥한 tBTC 인프라 도입 본격화

아시아 기관들의 비트코인 보유 전략이 단순한 축적에서 생산적 운용으로 전환되는 가운데, 한국은 6,630억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거래량, 1,600만 명의 이용자, 그리고 테라 사태 이후 마련된 명확한 규제 체계를 기반으로 신뢰 최소화된 비트코인 인프라 도입에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   일본의 호텔 운영사 메타플래닛은 현재 20,136개의 비트코인(약 23억 달러 규모)을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한국 최초로 4천만 달러 규모의 기업 비트코인 재무를 출범시켰다. 이러한 흐름은 아시아 지역 기업들이 단순 보유를 넘어 수탁을 유지하면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국은 「디지털자산기본법(2025년 6월 시행)」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2024년 7월 시행)」을 통해 제도적 명확성을 확보했으며, 이는 탈중앙화되고 신뢰 최소화된 인프라 도입을 뒷받침한다. 5,200만 인구 중 약 3분의 1이 암호화폐 계좌를 보유할 정도로 리테일 채택이 광범위하며, 삼성과 SK 그룹을 비롯한 주요 기업들이 블록체인 부서를 운영하며 암호화폐를 전략적으로 보유하는 재무 전략을 검토 중이다.   쓰레스홀드 네트워크(Threshold Network)의 tBTC는 100명 서명자 중 51명이 참여하는 임계값 암호 방식을 활용한 비수탁 1:1 비트코인 자산으로, 이더리움·베이스·BOB·아비트럼 등 주요 체인 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TVL은 7억 달러 이상, 누적 브리지 거래량은 38억 달러 이상으로 디파이에서 가장 검증된 비트코인 인프라로 자리매김했다. 쓰레스홀드의 네이티브 토큰 T의 세계 최대 토큰 보유처 중 하나인 업비트는 글로벌 T 거래량의 10% 이상을 담당하며, 한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을 보여준다.   과거 2018년 최대 54.48%까지 벌어졌던 “김치 프리미엄”은 2025년 8월 기준 -0.18% 수준까지 축소되며 시장의 성숙도를 입증했지만, 여전히 기업 재무 배치를 위한 인프라는 부족한 상황이다. 테라/루나 붕괴로 400억 달러가 증발한 경험은 알고리즘 기반 고수익 모델의 위험성을 드러냈고, 한국 기관들은 검증 가능한 수익과 분산 보안 모델을 요구하고 있다.   tBTC는 이러한 요구에 맞춰 담보 대출, 거래 수수료 기반 유동성 공급, 멀티체인 아키텍처를 통한 운영 효율성, 그리고 실질적 경제 활동에 기반한 보수적 BTCFi 전략을 제공한다. 이는 비현실적인 알고리즘 수익률이 아닌, 대출 수요·담보 활용·프로토콜 수수료에 기반한 리스크 조정형 수익을 보장한다.   최근 2만 명 이상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된 KBW 2025는 한국이 기관 비트코인 재무 인프라를 본격적으로 발전시킬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쓰레스홀드 네트워크는 행사 기간 동안 국내외 기관들과 교류하며 신뢰 최소화 비트코인 인프라 도입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전달했다. 또한 현지 파트너십, 인플루언서 캠페인, 네이버 검색 최적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미 한국 시장 기반을 다져온 쓰레스홀드 네트워크는 이번 KBW를 계기로 국내 입지를 한층 강화하게 되었다.   아시아에서 가장 포괄적인 규제 체계를 갖춘 한국은 기관과 리테일 모두에서 차세대 BTCFi 확산을 주도할 수 있는 독보적 위치에 있으며, tBTC는 비트코인 재무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현식 기자threshold 네트워크 비트코인 인프라 비트코인 보유 인프라 도입

2025.09.26. 1:0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