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지역 대형산불이 사상 최악의 재난 사태로 커지면서 피해자와 기부자를 노린 각종 사기 행각도 등장하고 있다. LA 시와 카운티 정부는 산불 피해 지원 서비스 대행 및 구호기금 기부 요청 사기 주의를 당부했다. 현재 팰리세이즈와 이튼 산불 등으로 주택 1만5000채 이상이 전소되는 안타까운 사연이 알려지면서, 전국에서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여러 단체에서 산불 피해 모금 및 생필품 기부 활동이 한창이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를 틈탄 사기 행각도 감지되고 있다. 롭 본타 검찰총장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통해 자선단체나 비영리단체 사칭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부 사기 단체는 공신력을 갖춘 단체와 비슷한 이름을 내세워 기부자를 속이기도 한다는 것이다. 본타 검찰총장은 “피해자를 도우려는 선한 마음을 악용해서 돈을 벌려는 사기꾼이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가주 검찰은 사기꾼들이 주로 연장자, 이민자, 영어 구사 능력이 부족한 주민을 노린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가주 검찰은 비영리단체 기부를 통해 이재민을 돕고 싶을 때는 해당 단체의 정보와 활동 내용을 미리 파악해 사기 단체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LA카운티 정부는 검증된 비영리단체 정보는 관련 웹사이트(www.bbb.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 적십자와 구세군 등 공인기구, 온라인 기부사이트인 고펀드미 인증 단체(www.gofundme.com/c/act/wildfire-relief/california#)에 기부하는 것도 사기 피해 예방 방법이다. KTLA5는 재난지원금 신청 대행 등을 이유로 개인정보나 수수료를 요구하는 사기도 주의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연방재난관리청(FEMA)은 재난지원과 관련해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네이선 호크먼 LA카운티 검사장은 13일 산불 피해 지역에서 절도 범죄를 벌인 용의자 9명과 방화 용의자 1명을 기소했다고 밝혔다. 절도 용의자들은 대피령이 발령된 지역을 돌며 빈집털이 등을 저지른 혐의다. 절도 용의자 중 한 명은 뺑소니 교통사고로 중범죄 혐의도 적용됐다. 유죄 인정 시 징역 10년 이상 무기징역까지 가능하다고 전했다. LAPD와 LA카운티 셰리프국은 팰리세이즈와 이튼 산불 피해지역에서 절도 혐의로 12명 이상 체포했고, 샌타모니카 경찰국도 지난 7일부터 12일 사이 40명 이상을 절도 혐의로 검거했다고 밝혔다. 아주사 경찰국은 호세 에스코바라는 남성을 방화 용의자로 체포했다고 전했다. 홈리스로 알려진 에스코바는 지난 10일 오후 11시37분쯤 풋힐 지역에서 나무에 불을 붙인 혐의를 받고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동정심 주의보 사기 주의보 단체확인 중요la카운티 사기 단체
2025.01.13. 20:22
일리노이 톨웨이국(Illinois Tollway)이 지역 코드 ‘438’로부터 오는 문자에 대한 사기 주의보를 발령했다. 최근 소셜미디어에 지역코드 ‘438’로부터 전송되는 “I-Pass 미납 통행료에 관한 문자”에 대한 제보가 잇따르고 있다. 당국은 이에 대해 “모두 사기 문자”라며 해당 문자에 포함된 링크를 절대 누르지 말 것을 당부했다. 또 톨웨이국은 I-Pass 사용자들에게 온라인(illinoistollway.com)을 이용, 직접 계좌에 대한 조회를 하거나 확실하지 않을 때는 전화(1-800-824-7277) 서비스 센터로 문의하라고 전했다. 아울러, 사기 문자를 받는 주민들에게는 온라인(ic3.gov)을 이용, 적극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다. Kevin Rho 기자사기문자 통행료 사기문자 주의보 pass 미납 사기 주의보
2024.08.07. 12:54
아이폰에 대한 신종 해킹 사기가 유행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 23일 IT 전문가 파스 파텔은 X(옛 트위터)에 누군가 자신의 아이폰을 통해 애플 아이디를 갈취하려는 사기 시도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이 수법은 ‘MFA(다중인증장치) 메시지 폭탄’ 수법으로 알려졌다. MFA는 해킹 방지용으로 설계된 애플의 추가 보안 장치다. 사용자가 애플 아이디 정보를 변경할 때 사용 중인 애플 기기의 추가 인증을 요구한다. 다만 사용자는 재설정 알림에 응답할 때까지 일시적으로 아이폰을 사용할 수 없다. 해킹범들은 이를 악용해 애플 계정의 비밀번호 재설정 알림을 보낸다. 이후 아이폰 사용을 중지시킨 뒤 전화로 인증코드를 넘겨받는 식이다. 특히 이들은 발신번호를 조작해 실제 애플 지원센터의 번호로 위장한다고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만약 아이폰에 요청하지 않은 애플 비밀번호 재설정 알림이 쏟아진다면 해킹일 가능성이 높다며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아이폰 주의보 신종 해킹 사기 주의보 폭탄 신종
2024.03.28. 10:43
연방 학자금 대출 탕감을 도와준다는 식의 사기가 빈번해 주의가 필요하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16일 뉴욕주민들에게 연방 학자금 대출 구제와 관련된 사기 시도에 대해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앞서 지난달 23일 조 바이든 행정부는 연방 학자금 대출을 구제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학자금 대출 상환 유예를 최종적으로 오는 12월 31일까지 연장하고, 자격을 갖춘 개인에 대해 최대 2만 달러까지 학자금 대출을 면제하는 것이 주요내용이다. 이같은 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학자금 대출자에게 금전적 이득을 취하고 개인정보를 빼내는 식의 사기 시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기관을 사칭해 차용인에게 접근한후 “조기구제”, “특별접근”, “자격보장” 식의 문구를 내세워 소요되는 비용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주정부에 따르면 학자금 대출자는 신뢰할 수 있는 정부기관 웹사이트를 이용해야 하며, 손쉽고 빠른 구제를 약속하는 제안에는 응답하지 않아야 한다. 또, 개인정보나 사회보장번호 등을 알려줘서는 안된다. 한편, 호컬 주지사는 15일 주 전역에서 연방 공공서비스 대출 탕감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을 확대하고 용이하게 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학자금 대출 구제 정보 확인 StudentAid.gov. 장은주 기자학자금 주의보 학자금 대출자 사기 주의보 공공서비스 대출
2022.09.18. 1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