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로맨스 사기꾼에게 10만불 보내려고 집까지 판 75세 조지아 여성

75세의 조지아 여성이 페이스북에서 만난 온라인 연인에게 10만 달러를 보내기 위해 집까지 파는 일이 벌어졌다고 ABC 방송이 보도했다.   4월18일 아테네 클라크 경찰에 한 사기 신고가 접수됐다. 신원이 공개되지 않은 이 여성은 자신이 온라인에서 만난 남성에게 사기를 당했다고 호소했다. 여성은 지난 3월 페이스북에서 한 남성과 대화를 시작했다.     얼마간의 시간이 흐른 뒤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심각'해지면서 남자는 여성에게 돈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경찰 리포트에 따르면 남자는 돈을 요구할 때마다 현금만 필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여성은 자신의 집을 팔아 마련한 총 9만5000달러를 사기꾼 남성에게 보냈다. 그녀는 UPS와 페덱스를 통해 네브래스카주 랄스톤의 주소지로 현금을 배송했다. 이 여성은 사기꾼 남성을 직접 만난 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작년에만 미국인들은 로맨틱한 파트너로 위장한 사기꾼들에게 13억 달러를 잃었다. 전문가에 따르면 사기꾼들은 사람들의 외로움을 이용하고 시간을 들여 관계를 구축한 다음 돈을 요구하는 과정을 밟는 것으로 알려졌다.   법의학 신경 심리학 전문가인 스테이시 우드는 "그들이 돈을 요구하는데까지 6개월이 걸릴 수도 있다"면서 "그것이 약속"이라고 말한다.   올해 초 경찰은 온라인 데이트 사이트에서 만난 87세의 홀로코스트 생존자에게 280만 달러를 사기친 혐의로 한 여성을 체포했다. 피치스 스테르고라는 이름의 이 여성은 게이트 단지의 주택, 콘도미니엄, 보트, 그리고 콜벳과 서버번을 포함한 수많은 자동차를 구입하면서 87세 상대 남성의 평생 저축을 탕진했다.   애틀랜타 중앙일보 디지털뉴스팀로맨스 사기꾼 로맨스 사기꾼 조지아 여성 사기꾼 남성

2023.05.01. 12:53

[중앙시론] 사기꾼들은 이민자를 노린다

한인 사회에 자주 거론되는 문제 가운데 하나가 사기 문제다. 과거에는 말이 통하는 한인들끼리 직접 오가는 사기가 많았다면, 소셜네트워크 시대가 된 요즘에는 전화, 문자메시지,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비대면 사기가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사실 한인 사회의 문제만은 아니다. 지난 2021년 연방거래위원회(FTC)가 발표한 유색인종 커뮤니티 사기 실태 보고서(Serving Communities of Color)는 이러한 실태를 잘 나타내고 있다. 대다수 이민자와 유색인종들은 언어장벽, 법에 대한 지식 부족, 공권력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미국 출생 주민들보다 사기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이 현실이라고 이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FTC가 최근 발표한 2022년 가장 많았던 사기실태(the top five scams of 2022)는 소개할만한 가치가 있다. 마리아 마요 FTC 소비자대응 과장에 따르면 지난해 FTC에 신고된 사기 건수는 240만 건으로, 2021년의 290만 건에 비해 많이 줄었다. 그러나 사기 피해액은 전년 대비 88억 달러나 늘었다.   지난해 가장 유행한 사기 유형은 위장사기(Imposter fraud)다. 사기꾼들이 정부기관이나 은행, 대형 업체로 위장해 돈을 뜯어내는 방식으로, 피해액은 2021년 4억5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6억6000만 달러로 늘었다.이어 투자사기(investment scams)가 3억8000만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투자사기의 대다수는 이른바 암호화폐(cryptocurrency scams) 사기이며, 1건당 평균 피해액은 5000달러였다.   로맨스 사기(romance scams) 피해도 갈수록 늘고 있다. 여성이나 남성의 이름을 도용해 사귀자거나 결혼하자면서 거액을 송금할 것을 요구하는 사기다. 예를 들어 플로리다에 거주하는 피치즈 스테그로라는 여성은 87세 홀로코스트 생존자에게 통장 금액 전액을 사기 쳤다가 지난 1월 25일에 체포됐다.   이같은 사기는 인터넷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라고 마요 과장은 설명한다. 가짜 정부기관, 가짜 은행 웹사이트, 또는 엉터리 암호화폐 홈페이지나 앱, 또는 가짜 남성 혹은 여성 명의의 계정을 만들어놓고 돈을 요구하는 것이다.     사기꾼들은 특히 이민사회를 노리고 있다고 FTC소속 로사리오 멘데즈 변호사는 지적한다. 예를 들어 라티노 커뮤니티의 경우 타인종에 비해 은행, 대출, 채권추심, 투자사기 등의 신고비율이 높았다. 또한 재택근무로 돈을 벌 수 있다며 수수료를 받아 챙기는 사례도 있었다. 또한 흑인 커뮤니티에서는 학자금 대출 탕감 사기, 대출 사기가 많았다.   FTC는 현재 한국어를 비롯해 11개국 언어로 사기방지 요령을 안내하고 있다고 크리스티나 미란다 FTC 소비자보호담당관은 소개한다. 미국에 처음 도착했거나, 미국문화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사기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FTC의 한국어 사기방지 및 신고 요령은 웹사이트(https://consumer.ftc.gov/features/consumer-education-multiple-languages-korean)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FTC는 온라인(reportfraud.ftc.gov)으로 사기 신고도 접수하고 있다.  FTC는 또한 사기 방지 및 신고요령 핸드북(Spotting, Avoiding and Reporting Scams: a Fraud Handbook)도 만들어 이민자들에 무료배송을 하고 있다. 이종원 / 변호사중앙시론 사기꾼 이민자 사기 피해액 로맨스 사기 사기 유형

2023.03.29. 21:45

[기고] 사기꾼들은 이민자를 노린다

한인 사회에 자주 거론되는 문제 가운데 하나가 사기 문제다. 과거에는 말이 통하는 한인들끼리 직접 오가는 사기가 많았다면, 소셜네트워크 시대가 된 요즘에는 전화, 문자메시지,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비대면 사기가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사실 한인 사회의 문제만은 아니다. 지난 2021년 연방거래위원회(FTC)가 발표한 유색인종 커뮤니티 사기 실태 보고서(Serving Communities of Color)는 이러한 실태를 잘 나타내고 있다. 대다수 이민자와 유색인종들은 언어장벽, 법에 대한 지식 부족, 공권력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미국 출생 주민들보다 사기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이 현실이라고 이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FTC가 최근 발표한 2022년 가장 많았던 사기실태(the top five scams of 2022)는 소개할만한 가치가 있다. 마리아 마요 FTC 소비자대응 과장에 따르면 지난해 FTC에 신고된 사기 건수는 240만 건으로, 2021년의 290만 건에 비해 많이 줄었다. 그러나 사기 피해액은 전년 대비 88억 달러나 늘었다.   지난해 가장 유행한 사기 유형은 위장사기(Imposter fraud)다. 사기꾼들이 정부기관이나 은행, 대형 업체로 위장해 돈을 뜯어내는 방식으로, 피해액은 2021년 4억5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6억6000만 달러로 늘었다.이어 투자사기(investment scams)가 3억8000만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투자사기의 대다수는 이른바 암호화폐(cryptocurrency scams) 사기이며, 1건당 평균 피해액은 5000달러였다.   로맨스 사기(romance scams) 피해도 갈수록 늘고 있다. 여성이나 남성의 이름을 도용해 사귀자거나 결혼하자면서 거액을 송금할 것을 요구하는 사기다. 예를 들어 플로리다에 거주하는 피치즈 스테그로라는 여성은 87세 홀로코스트 생존자에게 통장 금액 전액을 사기 쳤다가 지난 1월 25일에 체포됐다.   이같은 사기는 인터넷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라고 마요 과장은 설명한다. 가짜 정부기관, 가짜 은행 웹사이트, 또는 엉터리 암호화폐 홈페이지나 앱, 또는 가짜 남성 혹은 여성 명의의 계정을 만들어놓고 돈을 요구하는 것이다.     사기꾼들은 특히 이민사회를 노리고 있다고 FTC소속 로사리오 멘데즈 변호사는 지적한다. 예를 들어 라티노 커뮤니티의 경우 타인종에 비해 은행, 대출, 채권추심, 투자사기 등의 신고비율이 높았다. 또한 재택근무로 돈을 벌 수 있다며 수수료를 받아 챙기는 사례도 있었다. 또한 흑인 커뮤니티에서는 학자금 대출 탕감 사기, 대출 사기가 많았다.   FTC는 현재 한국어를 비롯해 11개국 언어로 사기방지 요령을 안내하고 있다고 크리스티나 미란다 FTC 소비자보호담당관은 소개한다. 미국에 처음 도착했거나, 미국문화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사기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FTC의 한국어 사기방지 및 신고 요령은 웹사이트(https://consumer.ftc.gov/features/consumer-education-multiple-languages-korean)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FTC는 온라인(reportfraud.ftc.gov)으로 사기 신고도 접수하고 있다.  FTC는 또한 사기 방지 및 신고요령 핸드북(Spotting, Avoiding and Reporting Scams: a Fraud Handbook)도 만들어 이민자들에 무료배송을 하고 있다.  이종원 / 변호사기고 사기꾼 이민자 사기 피해액 로맨스 사기 사기 유형

2023.03.23. 19:57

썸네일

덴버 쉐리프국 사칭하는 사기꾼 조심

 덴버 쉐리프국(DSD)을 사칭해 피해자들에게서 돈을 뜯어내는 경우가 발생했다며 쉐리프국이 주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쉐리프국에 따르면, 사기꾼들은 덴버 쉐리프국이라는 명칭과 전화번호가 피해자의 콜러 ID에 뜨게 해서 피해자가 전화를 받으면 본격적으로 거짓말을 한다. 이들은 피해자들에게 법원 출두 명령에 응하지 않아 소환장을 받았으며, 이에 벌금을 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들은 벌금을 내기 위해서는 현금을 법원으로 직접 가지고 와 쉐리프에게 지불하거나, 돈을 송금해야 하다고 설명했다. 또 이들은 콜러 ID에는 덴버 쉐리프국 전화번호가 뜨게 해놓았지만, 다시 전화를 하려면 다른 전화번호를 주며 이 번호로 전화를 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쉐리프국은 주민들에게 이 사기꾼들을 경계하라고 경고했다. 덴버 쉐리프국은 법원에 출두하지 않는다고 해서 전화를 걸어 금전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 쉐리프가 법원 건물 앞에서 누군가를 만나 현금을 받거나 송금을 요청하지 않는다.쉐리프국은 이런 식의 전화를 받거나 누군가 덴버 쉐리프를 사칭한다면 즉시 지역 경찰서나 콜로라도 주 법무장관 가게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신고는 덴버 검찰청의 사기 신고전화는 720-913-9179로 하거나, 웹사이트 stopfraudcolorado.gov로 하면 된다. 이하린 기자사기꾼 덴버 사기꾼 조심 덴버 검찰청 사기 신고전화

2022.09.02. 13:53

[오픈 업] 의사, 돌팔이, 사기꾼

코로나를 핑계로 진료 일선에서 물러나니 좋은 점이 많다. 예전에는 하루 24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바빴다. 오락은 우선순위에서 밀려 거의 꼴찌에 자리했다. 나뿐 아니라 활동하는 연령대의 많은 여성이 그랬을 것이다.     이젠 크고 작은 짐 보따리를 내려놓고 사회봉사에 신경과 시간을 쓴다. 좋은 친구도 생겼다. TV다. 컴퓨터로 글을 쓰고, 일 처리를 하지만 TV는 다른 방법으로 나를 세상과 연결해준다.   요즘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넷플릭스를 통해 보았다. 데스게임이 소재인 드라마는 폭력과 욕설 장면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빚에 쫓기는 신용불량자와 외국인 노동자, 탈북자, 노인 등 소수자들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서바이벌 게임이다.   드라마에는 빚을 지고 게임에 합류한 의사가 살인과 장기 매매의 하수인으로 나온다. 대부분 영화나 드라마는 의사들을 정의롭고 박애심이 많게 그린다. 드라마에서 나오는 장기 밀매에 협조하는 의사에 관한 내용이 현실성이 있는지 의심이 들었다. 슬프지만 전혀 없는 일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도 해보았다.   의료 사고는 의도적이 아니고, 진단이나 치료과정 중에 생긴 사고로 생명을 잃거나 정신적·육체적 부작용이 생기는 경우를 뜻한다. 한국말로 의인병(醫因症), 영어로는 ‘iatrogenic disorder’라고 한다. ‘iatro’는 의사처럼 치료를 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1920년대에 생긴 단어이다. ‘-genic’은 단어의 끝에 붙어 의미를 부여하는 말로 ‘생기다’, ‘발생하다’의 뜻이다. 합치면 ‘치료에 관련된 사람으로 인해 생긴’이라는 뜻이 된다.     이와 달리, 실력 없는 의사가 능력의 한계를 넘는 의료 행위를 하거나 이익을 목적으로 환자를 모으고 부정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 전자는 돌팔이, 후자는 사기꾼이라 부른다. 제도의 허점을  이용해 자신의 이익을 취하고, 환자를 속이거나 악용해서 상처를 주는 불법행위를 하는 부류는 의사의 탈을 쓴 사기꾼이다.     의사뿐 아니라, 간호사, 소셜워커도 종종 법망을 피해 사기 행각을 한다. 최근에 개봉돼 호평을 받은 ‘퍼펙트 케어(I Care a Lot)’가 이 같은 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의료 범죄를 다룬 블랙 코미디 영화인데, 재미있기보다는 불쾌했다.     며칠 전에 CNN은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거짓 정보를 퍼뜨린 유명 의사 4명에 대해 상세하게 보도했다. 이들이 퍼뜨리던 거짓 뉴스는 무서운 속도로 퍼졌다. 의료사기는 연방수사국(FBI)이 주와 지방 경찰, 사설 기관, 의료사기 예방단체, 보험회사 의료사기 적발 부서 등과 협력해서 수사한다. 올해 10월 한 달 동안 11건을 적발했다고 한다. 사기꾼에게 병원도 메디컬 그룹도 환자도 쉽게 속는 세상이다.     캐나다 맥길 대학교 ‘과학사회 사무실(Office for Science and Society)’은 이러한 거짓 과학·의학 정보를 분석해 대중에게 알리고 있다. 이미 올해 1월에 코로나 백신 관련 거짓 정보에 대해 경고한 바 있다. 이들의 모토는 ‘난센스에서 센스를 분리한다’는 것이다. 개인들도 ‘난센스’를 구별하고 ‘센스’만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깨어 있어야 한다.  모니카 류 / 종양방사선학 전문의·한국어진흥재단 이사장오픈 업 돌팔이 사기꾼 의료사기 적발 의료사기 예방단체 유명 의사

2021.10.31. 12:5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