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연방조달청 5일 어바인서 사업설명회…강석희 지역청장 주최

연방조달청이 소규모 민간 업체들도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내용을 소개하는 연방조달사업설명회를 연다.       강석희(사진) 조달청 선임 지역청장(9, 10지구)과 파라 칸 어바인 시장이 함께 주최하는 이번 사업설명회는 5일(내일) 오전 10시부터 어바인 시청에서 열린다. 행사에는 강 청장을 비롯해 연방 조달청 소속 클린트 스킬 고객서비스 디렉터, 어맨다 스위니 부커미셔너, 앤서니 카루소 스몰비즈니스 담당이 참가하며 조달 계약과 관련된 세부적인 내용도 소개한다.     강 청장은 “한인 비즈니스들도 다수 참가해 중요한 정보를 얻어가면 좋겠다”고 전했다.   한편, 설명회 참석 등록은 예약사이트(tinyurl.com/irvinexgsa)를 통해 가능하다. 최인성 기자연방조달청 사업설명회 강석희 지역청장 이번 사업설명회 어바인 시청

2024.09.03. 21:28

썸네일

(주)알피, 무인 원격 노면표시 자동화 로봇 '알봇' 2차 사업설명회 22일 개최

사람을 살리는 로봇기업을 표방하는 (주)알피(RP)는 최근 선보인 노면표시 도장로봇 알봇(RBOT)의 2차 사업설명회를 22일 알피 본사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알피는 알봇의 특장점과 경쟁력 등을 알릴 계획이다.     알피의 알봇은 고속도로, 지방도로, 학교 앞 도로 위에 지표와 문자, 부호 등을 그리는 무인 원격 자동화 로봇이다. 여러 현장에서 알피 도입을 통해 안전성과 경제성, 품질, 친환경성은 높이고 작업시간, 인사사고, 작업비용, 유지보수비, 탄소배출 저감 등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국내 노면표시 공사는 100% 수작업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이로 인한 인명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알봇은 안전한 장소에서 사람이 원격으로 로봇을 조정해 노면표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인명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수작업 대비 70% 이상 작업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시 교통 혼잡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작업자들의 안전이 더욱 중요해진 만큼, 알봇의 존재가치와 활용도는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노면표시 규격화와 표준화 부분에서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전망이다. 자동차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두고 일관성 있는 노면표시 마련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에는 노면 표시에 대한 규정이 없어 노면 글씨체나 크기가 지역, 도로마다 천차만별인 상황이다. 다가올 자율주행 시대에 맞는 노면표시 규격화와 동시에 센서가 쉽게 인식하도록 가독성과 판독성이 높은 노면 표시에 대한 니즈를 알봇이 충족해 줄 수 있다.     알피 박정규 대표는 "안전운행을 돕기 위한 차선 노면문자 작업에서 적잖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는 역설적인 현실이 반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작업자들의 안전과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노면표시 도장로봇인 알봇을 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사람을 살리는 로봇기업이라는 철학을 알봇에 투명시키고자 노력했다.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고, 미래세대에 지속가능한 쾌적한 환경을 물려주는 일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번 사업설명회를 통해 알봇의 경쟁력과 저력을 소개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알봇은 지난해 11월,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와 협업으로 고속도로 노면표시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이는 국내 최초로 무인 로봇으로 노면표시 공사가 가능한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김진우 기자 ([email protected])로봇 사업설명회 노면표시 작업 고속도로 노면표시 노면표시 규격화

2023.02.20. 17:35

썸네일

(주)알피, 무인 원격 자동화 로봇 '알봇' 사업설명회 15‧22일 열어

        사람을 살리는 로봇기업을 표방하는 (주)알피(RP)는 최근 선보인 노면표시 도장로봇 알봇(RBOT)의 사업설명회를 오는 15일(1차)과 22일(2차) 양일에 걸쳐 알피 본사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알피는 알봇의 특장점과 경쟁력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알피의 알봇은 고속도로, 지방도로, 학교 앞 도로 위에 지표와 문자, 부호 등을 그리는 무인 원격 자동화 로봇이다.     여러 현장에서 알피 도입을 통해 안전성과 경제성, 품질, 친환경성은 높이고 작업시간, 인사사고, 작업비용, 유지보수비, 탄소배출 저감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현재 국내 노면표시 공사는 100% 수작업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이로 인한 인명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알봇은 안전한 장소에서 사람이 원격으로 로봇을 조정해 노면표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인명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또 수작업 대비 70% 이상 작업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시 교통 혼잡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작업자들의 안전이 더욱 중요해진 만큼, 알봇의 존재가치와 활용도는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노면표시 규격화와 표준화 부분에서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두고 일관성 있는 노면표시가 마련돼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에는 노면 표시에 대한 규정이 없어 노면 글씨체나 크기가 지역, 도로마다 천차만별인 상황이다. 다가올 자율주행 시대에 맞는 노면표시 규격화와 동시에 센서가 쉽게 인식하도록 가독성과 판독성이 높은 노면 표시에 대한 니즈를 알봇이 충족해 줄 수 있다.     알피 박정규 대표는 "안전운행을 돕기 위한 차선 노면문자 작업에서 적잖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는 역설적인 현실이 반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작업자들의 안전과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노면표시 도장로봇인 알봇을 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사람을 살리는 로봇기업이라는 철학을 알봇에 투명시키고자 노력했다.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고, 미래세대에 지속가능한 쾌적한 환경을 물려주는 일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번 사업설명회를 통해 알봇의 경쟁력과 저력을 소개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알봇은 지난해 11월,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와 협업으로 고속도로 노면표시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이는 국내 최초로 무인 로봇으로 노면표시 공사가 가능한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김진우 기자 ([email protected])로봇 사업설명회 무인 원격 노면표시 작업 고속도로 노면표시

2023.02.13. 17:23

썸네일

TOBI USA…미국, 캐나다 총판 사업설명회

욕실용품 세계 1위 토토(TOTO)의 한국인 유일 대리점인 'TOBI USA'는 미국 캐나다 지역 총판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변기 비데 세면대 욕조 샤워 등을 제공하는 TOBI USA는 시티센터 2층에 위치한 LA 쇼룸에서 매일 오후 2시 예약자를 대상으로 한 사업설명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토토비데는 200만 재미교포에게만 국한된 비즈니스가 아니라 3억 3천만 미국인과 3800만 명의 캐나다인이 그 대상이다. 현재 약 5억 개의 비데 판매를 1차 목표로 세우고 있으며 그 규모는 250억 달러에 달한다. 미국 캐나다 총판에 관심 있는 분들의 도움과 협력을 기대한다"라고 업소 측은 전했다.     이와 함께 TOBI USA는 토토비데의 코리아타운 설치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다. LA 코리아타운부터 다운타운 부에나파크 가든그로브 밸리 토런스 어바인 등 한인 밀집 지역의 식당 미장원 병원 교회 커피숍 등은 토토비데를 1개월 사용 후 구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토토 100년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품으로 통하는 비데는 미국 독일 중국이 개발 경쟁을 포기한 상태다. 또한 UPC 허가가 없는 한국 제품은 영업장소나 공공장소에 설치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TOBI USA는 신제품인 Washlet C2 리모컨 비데인 S500E 전 세계 대통령과 국왕들이 사용하는 변기 겸 비데인 NEOREST NX2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해오고 있다.     사업설명회 예약 및 캠페인 신청 접수는 전화로 하면 된다.     ▶문의: (213)389-2020 (213)716-7897     ▶주소: 3500 W. 6th St LA  알뜰탑 tobi 미국 사업설명회 캐나다 총판 사업설명회 예약 캐나다 지역

2022.11.23. 18: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