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13, 한인타운 폐가 아지트서 '살인 놀이'
━ 원문은 LA타임스 11월7일자 “MS-13 gangsters used mountains around L.A. as killing grounds, prosecutors say” 기사입니다. LA의 밴나이스, 파노라마 시티, 노스할리우드의 좁은 주택가에 살던 젊은 MS-13 갱단원들은 범행 때마다 도시를 벗어났다. 그들이 ‘놀러 간다’고 표현했던 곳은 LA 북서쪽의 험준한 산악지대였다. 검찰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갱단원들은 목격자도, 도와줄 사람도 없는 산속 헬기착륙장과 전망대 등에서 네 명을 살해했다. 에릭 시달 부지방검사는 화요일(현지시간) 연방 법정에서 열린 재판에서 이같이 밝혔다. 현재 재판을 받는 5명의 피고인은 밴나이스와 노스할리우드 지역에서 두 건의 추가 살인 혐의도 받고 있다. '마라 살바트루차(Mara Salvatrucha)'로도 알려진 MS-13은 40년 전 LA에 정착한 엘살바도르 이민자들에 의해 창설됐다. 이후 이 조직은 중앙아메리카 내 교도소에서 지휘되는 국제 범죄조직으로 변모했다. 검찰은 이번 두 달간의 공판에서 지역 갱단들이 2016년 무렵부터 훨씬 더 폭력적으로 변했다고 주장했다. 엘살바도르에서 넘어온 신입 조직원들이 ‘살바도르식 규율’을 들여왔고, 그 규율은 “충성을 입증하기 위해 반드시 살인을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고 시달 검사는 설명했다. “살인이 잔혹할수록 그만큼 더 큰 존경을 받게 된다”고 그는 배심원들에게 말했다. 검찰에 따르면 한 피해자는 107차례 칼에 찔렸고, 또 다른 피해자는 생존한 채로 내장이 꺼내졌다. 이에 대해 변호인 측은 검찰의 핵심 증인 8명이 모두 살인 혐의를 인정한 뒤 형량 감경을 조건으로 거짓 증언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피고인 측 일부 변호사는 MS-13 단원들을 ‘폭력에 무감각해진 어린 병사’에 비유했다. 또 다른 변호인은 “그는 단지 살아남기 위해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며 “명령에 불복하면 다음 차례는 자신이었다”고 주장했다. 시달 검사는 모든 살인의 동기가 같았다고 말했다. 피고인들은 '홈보이(homeboy)'로 불리는 정식 단원이 되기 위해 피를 흘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대가로 얻은 실질적 이익은 거의 없었다. 정식 단원이 된다고 해서 마약 거래나 갈취 조직의 지분을 얻는 것도 아니었다. 그들에게 허용된 특권이라곤 MS-13의 손 신호를 사용할 수 있고, 하급 조직원을 부릴 수 있는 정도였다고 검찰은 밝혔다. 검찰의 설명에 따르면 LA의 MS-13 단원들은 조직 범죄 능력은 형편없었지만 살인만큼은 잦았다. 그들은 노점상을 협박해 푼돈을 뜯고 대마초를 팔았으며, 주된 활동은 조직 내외부의 ‘적’을 찾아내 제거하는 것이었다. 한 살인은 곧 ‘승진’의 기회였다. 세 개의 MS-13 하위조직(Clique) 지도부가 무단으로 갱단 신호를 쓴 한 남성을 처벌하기로 결정했을 때, 11명이 번갈아가며 그를 칼로 찔러 죽였다고 검찰은 밝혔다. 피해자는 '위니 더 푸(Winnie The Pooh)'라는 별명을 가진 20세 남성 엘빈 에르난데스였다. 그는 MS-13 단원은 아니었지만 그들과 어울렸다. 연방수사국(FBI)가 확보한 페이스북 메시지에서 한 여성은 파크뷰(Park View) 조직의 리더에게 “에르난데스가 갱단 소속이라 주장한다”고 알렸고, 리더는 “법정을 열어 처벌 하겠다”고 답했다. 2017년 6월 4일 밤, 에르난데스는 '디스트로이어(destroyer)'라 불리는 폐가로 끌려갔다. 한인타운 사우스 베렌도가에 불타서 버려진 집이었다. 그곳은 MS-13이 거주하거나 마약을 팔고 살인을 저지르는 장소였다. 세 조직의 리더들은 그곳에서 '롤콜'을 열었고, 에르난데스가 자기소개를 하며 손 신호를 보이자, 퓰턴(Fulton) 조직의 리더 월터 차베스 라린이 그를 폭행했다. 이후 그들은 두 대의 차량에 나눠 타고 앤젤레스 국유림의 '투 레이트(Too Late)' 헬기장으로 향했다. 에르난데스는 단순히 구타를 당할 거라 생각하고 엎드렸지만, 11명이 번갈아 그를 찔렀다. 시달 검사는 라린이 숨져가던 그에게 “사신이 널 데려간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라린의 변호인 로버트 슈워츠는 거짓 증언으로 그의 의뢰인이 누명을 썼다고 주장했다. 그는 “라린은 진짜 살인자가 아니라 허세만 부린 인물”이라며 “산에 올라간 건 살인이 아니라 허세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6개월 뒤, 갱단은 다시 살인을 저질렀다. 피해자는 파노라마 고등학교 2학년생 브라이언 안디노(16)였다. 안디노는 4년 전 온두라스에서 어머니를 따라 이민 왔으며, 경쟁 갱단 '18번가(18th Street)' 소속이라고 허풍을 떨었다. 그러나 캠퍼스 경찰은 “그저 강해 보이고 싶었던 10학년생의 허세였다”고 주장했다. 안디노는 학교를 빠져나와 여자 친구와 함께 산으로 향했다. 여학생은 당시 MS-13 추종자와 교제 중이었고, 검찰에 따르면 그녀가 안디노를 유인했다. 실마 위쪽 로페스 캐니언에서 안디노는 여섯 명의 청소년들에게 매복 공격을 당했다. 그중에는 '로스앤젤레스 로코스(Los Angeles Locos)' 하위조직의 리더 로베르토 코라도 오르티스도 있었다. 검찰은 코라도가 신입 지원자를 '시험 평가'한다는 명목으로 범행을 지휘했다고 밝혔다. 피해자는 철사 끈과 야구방망이, '창자 절단기'라 불린 톱니 칼로 살해됐다. 이후 산불이 지나간 뒤에야 탄화된 유골이 발견됐다. 코라도의 변호인은 “그가 한 모든 행동은 살아남기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코라도는 엘살바도르에서 태어나 11세 때 MS-13에 가입했다. 그의 세계에서 '죽이거나 죽는' 규칙은 절대적이었다. 9개월 후, 코라도는 또 다른 청년 로저 차베스(19)를 데리고 말리부 인근 산으로 올라갔다. 차베스는 온두라스에서 이민 온 뒤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정비 기술을 배우던 중이었다. 친구의 제안으로 대마초를 피우러 갔다가 함정에 빠졌다. 그는 경쟁 갱단과 연관이 있다고 자처했지만 실제론 무관했다. 그날 밤, 코라도는 그를 뒤통수에 총을 쏴 살해했고, 다른 단원들에게 총을 돌려가며 쏘게 했다고 검찰은 말했다. 차베스의 시신은 이듬해 산불로 드러났다. 2018년 12월 6일, 22세의 오스발도 에르난데스도 희생됐다. 밴나이스 자택 근처에서 운동을 마치고 돌아오던 그는 MS-13 단원들에게 붙잡혔다. 그는 갱단과 무관했지만, 퓰턴 조직 리더 라린의 지시에 따라 신입 단원들이 접근해 “어디 소속이냐”고 묻자 “젠장 …”이란 말을 끝으로 총에 맞아 숨졌다. 이어 2019년 1월, 19세 단원 오스카 푸엔테스가 또다시 희생됐다. 그는 마약 중독과 조직 회의 불참으로 규율을 어겼다는 이유였다. 그의 시신은 산불이 난 뒤 두개골만 발견됐고, 이마에는 총상이 남아 있었다. 검찰은 푸엔테스가 살해된 몇 시간 뒤, 가해자들이 다시 공원으로 돌아가 노숙자들을 깨워 문신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들은 노숙자 브래들리 해너웨이의 몸에서 '818'(샌퍼낸도 밸리 지역번호)과 ‘Forever Grateful’이라는 문신을 보고 이를 경쟁 갱단 표식으로 착각, 그를 총으로 쏘아 죽였다. 시달 검사는 “그의 유일한 죄는 그들이 ‘자신들의 공원’이라 부르는 곳에서 잠들어 있었다는 것뿐이었다”고 말했다. 배심원단은 11월5일부터 평의에 들어갔다. 유죄가 인정될 경우 피고인들은 모두 종신형에 처해질 수 있다. 글=매튜 옴세스한인타운 아지트 사이 갱단원들 신입 조직원들 국제 범죄조직
2025.11.12. 18:13